봉황산 740.8m , 승무산 559m(중부산) (화령,화남,화북)
2008.4.21 월요일 맑음
진용이와 함께
청주 9:00 - 동관 10:50 ~10:55 -대간길 합류지점 11:48 -봉황산 12:10 ~12:40(중식) -산불감시초소 13:00 - 마지막 바
위봉 13:25 -돌고래송어장 13:50(도로.하송리) -도보 - 동관리 14:40 --화북농협앞 14:55 -돌고래바위 15:03 -사모바위
15:25 -정상 14:38~15:45 -화북농협앞 16:10 -청주 17:40
~~~~~~~~~~~~~~~~~~~~~~~~~~~~~~~~~~~~~~~~~~~~~~~~~~~~~~~~~~~~~~~~~~~~~~~~~~~~~~~~~~~~~~~~
****봉황산(화령,화남) ****
봉황산은 상주 화령 북쪽에 우뚝 솟은 산으로 화령과 화남을 두고 가운데로 흐르는 백두대간의 줄기에 솟은 산이다.
1300여년 전 봉황새가 이 산에 날아 들어 30여년 정도 살았다는 전설에서 유래 했다 한다.
인근에서는 “정상을 봉황머리처럼 원만하게 뻬어 올리고 좌우 양 날개를 길게 펼핀 형국이 봉화새 같아서”라고도 한다.
화령은 행정구역상 화서면이라 부르지만 지역 사람들에게는 화령으로 더 알려져 있다.
옛날 화령현 소재지였던 까닭이다.
그 당시 무사들이 살앗다는 무동,현감이 살았다는 항헌,관곡을 보관했던 창고가 있었던 창안 등의 지명이 지금도 남아 있다.
이 일대 특징은 지대가 250~400m로 높은 고원지대 여서 조그만 야산들도 300m가 넘고 사방어디에서나 올라 오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흐름은 화서 화동 모서 모동면을 지나 추풍령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상주에서는 이를 중화지구대라 이른다.
일교차가 심해 과수 농사가 잘되어 사과 포도 배는 당도가 높아 인기가 있다.
**** 승무산 (화북) ****
승무산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의 농암천 북쪽에 솟아 있는 바위산으로 모산은 백두대간 상의 청화산이다. 지리산에서 백두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이 청화산에서 남쪽으로 가지를 쳐 477m봉과 532m봉을 일구고, 532m봉에서 다시 남쪽으로 가지를 쳐 솟구쳐 올린 산이 바로 승무산이다.
승무산이라는 이름은 도선국사와 관련이 있다. 도선국사가 이 산에 올라 속리산과 청화산, 시루봉과 도장산 등을 바라보면서 이 산에서 보는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감격을 이기지 못하고 춤을 추었다는 전설에서 승무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아울러 승무산의 동쪽 골짜기에는 광정마을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이 마을은 소의 복부를 닮은 형국이라고 해서 우복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속리산 증항연지 피난만무일상지지(俗離山 甑項連地 避難萬無一傷之地)'라는 말은 바로 우복동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우복동은 십승지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속리산에 우복동은 두 곳이 있다. 하나는 구병산 아래에 있는 구병리이고, 다른 하나가 바로 광정마을이다. 광정마을은 동쪽에 시루봉이 있고, 서쪽에 승무산이 있으며, 북쪽에는 청화산이 있어 전체적인 산세가 학이 알을 품고 있는 청학포란형이라고 한다. 청화산이 학의 머리와 몸통이라면 승무산은 오른쪽 날개에 해당되는 것이다.
청하산 정상 바로 아래, 학의 가슴에 해당되는 곳에는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원효대사의 영정을 모신 원적암이라는 암자가 있다고 한다. 원적암 뒤뜰에는 학의 알이라고 할 만한 둥근 형태의 계란바위가 있어 신비감을 자아낸다.
● 승무산 등산로
* 승무산 등산로는 단촐하다. 산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화북면사무소 옆에 있는 중화농협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용유교를 거쳐 정상까지 올라간 다음, 524m봉을 거쳐 광정마을로 하산하면 된다. 하산 후에는 우복동 입구까지 간 다음, 도로를 따라 화북면 소재지까지 되돌아 와야 한다.
~~~~~~~~~~~~~~~~~~~~~~~~~~~~~~~~~~~~~~~~~~~~~~~~~~~~~~~~~~~~~~~~~~~~~~~~~~~~~~~~~~~~~~~~~~~~
청주출발 9:00
오늘 산행은 청주에서 떠나 갈령재를 넘고 동관에서 비재로 가는 길목의 주유소를 조금지나 오른편에 다리를 건너 있는 첫동네인 동관리에서 시작을 한다.
동관리 10:50~10:55
이곳에 오래 사신 분에게 길을 물으니 지금은 다니질 않아 길이 거의 다 없어 졋다고 한다.
동네마을 안길을 따라 오르다 세멘트 포장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능선을 타고 오르면 희미하게 나마 주능선까지 이어 졋다 한다.
그분의 말을 따라 마을 안길을 따라 오르니 세멘포장길이 끝나는 지점에 두갈래 길이 있다. 왼편길을 잡아 가면 잘지은 집이 한 채 있고 그집전에 계곡쪽으로 접어 들으니 능선으로 오르는 희미한 길이 있다.
이길을 따라 오르니 능선에 닿고 오래도록 다니질 않아 나뭇가지가 걸리긴 하지만 길은 뚜렷하게 남아 있어 주능선길인 백두댁간길 까지 가는대는 문제가 없다.
백두대간 합류지점 11:48
동관리에서 능선을 따라 오르는길에 아직도 진달래꽃이 만발을 하엿다. 이곳엔 버섯도 따러 다니질 안나 길이 많이 나있는편은 아니다.
동네를 출발하여 1시간여가 지나서 주능선길인 백두대간길과 만난다.
봉황산 정상 12:10~12:40
대간길은 많은 님덜이 다닌 탓에 길이 반들반들하다.
평평한 길을 따라 가다 조금 내려 서는 듯하더니 다시 오르고 바위지대를 만난다.
이무렵 반갑게 대간꾼덜인지 봉황산을 온것인지는 모르지만 한무리에 사람덜을 만나게 된다.
바위지래를 우회를 하여 아래쪽으로 길은 나있고 우리는 바위를 타고 올라선다.
다시 인적이 있는 지점에 이르니 한무리에 사람덜이 봉황산 정상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덕분에 둘이서 사진도 한 장씩 찍는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좋다. 북으로 속리산 연능과 바로 앞에 청계산(대궐터산)이 손에 잡힐듯하며 산아래 화령동네가 있다.
산불감시초소 13:00
정상에서 30여분간에 걸쳐 식사를 마치고 앞으로 갈길을 정한다.
산불감시초소에서 왼편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타고 마지막 보이는 암봉에서 하산하기로 정한다.
이제 길은 내리막길이다.
멀게만 보이던 산불감시초소가 금시 와 닿는다.
이곳에서 보니 정상에서 보던 암봉이 안보인다.
마지막 암봉 13:25
산불감시초소에서 조금을 내려서 대간길이 오른편으로 꺽이는 지점에서 능선을 타고 가니 잡목에 걸리고 길은 올라올때 보다 더 나쁘다.
25분여를 진행한 끝에 마지막 바위봉에 올라선다.
돌고래 송어장 13:50(도로,하송리)
마지막 바위 봉에서 조금을 되집어 내려서 능선을 타고 오는길도 좋지를 않다. 간신히 마지막 까지 내려 오니 돌고래 송어장이다.
다리를 건너 바로 큰 도로가 나오고 하송리 마을이 있다.
동관리 14;40
도로를 따라 걷는다.
걷는 중에 길가에 자라난 달래도 캔다.
그러는 사이 봉황산 줄기에서 만난님덜은 다시 만난다.
우린 북으로 그님덜은 남으로 ~ 그님덜이나 우리나 손에는 달래를 한웅큼씩 들고 ~~
~~~~~~~~~~~~~~~~~~~~~~~~~~~~~~~~~~~~~~~~~~
화북농협앞 14:55
승무산 산행은 화북면 사무소 앞 길건너 용유교을 건너와 건물 우측으로 조그만 사라리를 타고 오르면 등산로가 나있다.
건물을 막 올라서면 무덤이 나온다.여기서 약10여분 올라서니 돌고래모양으로 닮은 바위가 나타 난다.
돌고래바위를 뒤로하고 계속 올라가면 여러모양의 바위가 계속 나타난다.이능선에는 유난히도 무덤도 많고 바위도 계속 이어진다.40여분 이상 올라 가면 전망이좋은 마당바위에 닿는다.마당바위에서 잠시 땀을 시키고 10여분 능선길로 오르면 삼각점이 밖혀 있는 정상이다.
정상 14:38
정상에는 무덤이 있고 표지석은없다. 묘 뒷편에 삼각점만 남아있다.정상에 조망은 속리산과 남동쪽에 도장산이 하늘금을 이른다.우복동 서쪽을 감싸고 있는 승무산 정상은 천하일품이다.
화북농협앞 16:10
우리는 정상에서 오던길로 되집어 내려선다.
이후는 북능을 타고 광정마을로 하산길이다.
하산은 북릉을 타고 내린다.3분 거리인 바위 지대에서 산길이 다소 까다롭다.바위 왼쪽 아래 곱경사길를 곤두박질 하듯 내려선 다음 50m가량 더 내려선 다음 오른쪽 수직 절벽을 끼고 돈 후예야 능선길이 나타난다..524m봉을 넘어선 다음 노송군락를 지나면 북쪽아래로 단애을 이른 전망바위을 밝는다.여기서 북쪽으로이어지는 청화산과 동쪽으로 보이는 우복동 광정마을로 이어진다. 마주막 전망바위 을 지나 약 25여분 내려와 동쪽으로 흐르는 계류를 따라20 여분내려오면 광정마을 느트나무 앞 이다.용유교-돌고래바위-마당바위을 경유해 정상에 오른다음 524m봉-광정마을-동천암을 경유해 다시 화북에 이루는 총 산행 거리는 7km로 산행 시간은 3시간30여분 걸린다
항상 화북을 지나치며 산행시간이 짧아 못가던 승무산을 탄 것으로 만족한다.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38 여항산~서북산~대부산~봉화산 (마산 함안) 2008.5.6 화요일 맑음 (1) | 2022.12.13 |
---|---|
0337 위봉산~되실봉~서래봉~서방산~종남산(완주) 2008.5.2 금요일 맑음 (0) | 2022.12.13 |
0335 08-20 도봉산 칼바위 우이암 할미바위 2008.4.17 목요일 맑음 (0) | 2022.12.13 |
0334 제암산~사자산~일림산 (보성,장흥) 2008.4.11 금요일 맑음 (1) | 2022.12.13 |
0333 도봉산 칼바위 도봉산역에서 2008.4.5 토요일 맑음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