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기록

0922 만뢰몽각단맥 바라박산~매봉산~동성산~광덕산~몽각산 2016.03.09..수요일 맑음

만뢰몽각단맥 바라박산~매봉산~동성산~광덕산~몽각산

바라박산246.8m, 매봉산170m, 동성산238m, 광덕산297.7m, 몽각산403m

 

2016.03.09..수요일 맑음

참석인원 : 적막이랑 둘이서

 

청주집 06:00 -삼화전기앞 버스정류장 06:07 ~06:12 -오창버스정류장 06:53~07:20 - 성재3(강정) 입구 07:57 -도보 -송정3교차로(1.5km, 해발 약60m) 08:20~08:50 -UNIGEN공장입구(2.2km, 56m) 08:57 -좌측 임도고개(2.7km, 74m) 9:04 -안동김씨묘 09:06 -능선 삼거리(3.2km, 140m) 9:16 - 송전탑(3.35km, 175m) 09:19 -18번송전탑(3.49km, 190m) 19:24 -207(3.8km) 09:31 -송신탑 09:33 -바위봉(4.27km, 237m) 09:44 -바라박산(4.46km, 247m) 09:50 ~10:08 -안부 고개(좌측 축사, 5.23km, 110m) 10:26 -고개에서 능선으로 오르면 길 좋아짐 -510번도로 고개(6.24km, 71m) 10:48 -큰길 우측으로 내려서서 도로 옆 널찍한 길 따라 가다 우측 산소 있는 쪽으로 가면 등산로 나옴 -고흥류씨묘역 - 능선 삼거리(우측으로, 6.40km, 128m) 10:55 -유관순유적지 삼거리 11:05 -유관순열사 봉화탑(7.23km, 167m) 11:07 ~11:10 -매봉산 정상 삼각점(7.25km, 170m) 11:12 -수련장,유관순열사 생가 삼거리(우측으로) -다음 삼거리(좌측으로, 생가는 우측) -현대기아 연수원정문(8.0km, 82m) 11:27 -연수원 우측 논두렁길 지나 민가에서 능선으로 -연수원 끝지나 삼거리(좌측으로) -개경전씨묘 11:46 -21번 충절로 고개(8.90km, 90m) 11:51 -고개 반대편 에이플러스 공장앞 절개지로 올라 -능선으로 길 전혀 없음 -JMC공장이 앞을 막고 -JMC중공업 입구 21번 도로(9.38km, 75m) 12:01 -길따라 조금 가다 좌측 민가쪽으로 -산소로 올라 태양광시설옆 능선으로 -34번 송전탑 삼거리(좌측 지맥길, 우측 화계리, 10.20km, 193m) 12:24~12:50(중식) -(10.62km, 215m) 12:56 -32번 송전탑 봉(10.85km, 205m) 13:00 -31번 송전탑(11.11km, 175m) 13:03 -광터골고개(좌 도원리, 우 화계2, 11.23km, 163m) 13:06 -210(11.44km) 13:14 -동성산(송전탑, 12.05km, 238m) 13:23 -청주한씨묘(12.37km, 210m) 13:32 -송전탑 삼거리(우측 하산로 양호,방고개저수지) -고사리밭 -동래정씨묘 -좌측 하산로(12.74km, 205m) 13:40 - 청주한씨묘 - 225(12.89km) 13:43 -방고개(좌 매성리, 우 광덕리 방고개저수지, 13.12km, 208m) 13:46 -242(송전탑, 우꺽임, 13.5km) 13:54 -삼거리봉(좌측으로, 우측 광덕2, 13.66km, 257m) 13:15 -안부사거리(우 광덕2, 13.99km, 248m) 14:00 -쌍묘 삼거리(우측 광덕2, 14.16km, 267m) 14:03 -임도고개(14.40km, 262m) 14:06 -좌걲임봉(14.55km, 296m) 14:10 -광덕산 정상(14.69km, 298m) 14:12 -우측 벌목지, 행암리 -좌꺽임지역 14:16 -우측으로 둥그렇게 능선이 이어지고 -안부 지나 우측 개집(15.43km, 254m) 14:25 -임도고개(벌목지, 15.62km, 236m) 14:29 -전주이씨묘(향나무, 16.13km, 274m) 14:41 - 능선삼거리(좌측으로, 16.61km, 335m) 14:51 -임도길(좌측으로, 16.7km, 360m) 14:52 -몽각산 정상(16.96km, 403m) 14:55 -안부 삼거리(우측 덕성리 바타니마을, 17.38km, 350m) 15:07 -임도따라 -14번 송전탑(18.2km, 410m) 15:21 -임도삼거리(분기점, 18.42km, 425m) 15:24 -좌측 임도따라 -186번 송전탑(임도길은 여기서 끝, 19.16km, 455m) 15:34 -토종벌 집까지는 다닌길 있음 -이후로 길 없음 -524(고사목, 19.42km) 15:47 -송전탑(19.75km, 480m) 15:51 -임도따라 -임도 모퉁이(20.11km, 470m) 15:58 -264.1(삼각점, 21.53km) 16:21 -보탑사 도로(화랑정, 22.02km,147m) 16:33~16:45 -보탑사 삼거리(23.83km, 130m) 17:08 -사석삼거리(25.41km, 115m) 17:30 ~18:05 -711번 버스 -삼화전기앞 버스정류장 19:16 - 19:23

~~~~~~~~~~~~~~~~~~~~~~~~~~~~~~~~~~~~~~~~~~~~~~~~~~~~~~~~~~~~~~~~~~~~~~~~~~~~~~~~~~~~~~~~~

만뢰 몽각단맥

금북만뢰지맥이 만뢰산어깨를 지나 내려온 진천읍, 천안시 동면, 병천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 390m 지점인 질고개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천안시 병천면과 동면의 경계를 따라 사자골고개(310)-夢覺(403, 0.9)으로 올라 또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徐林(316.8, 단맥)으로 가고 행암고개(250)-廣德(290, 2.3/3.2)-두촌고개(250)-방고개(190)-銅城(237.8, 2.4/5.6)-광터골고개(150)-21번국도 탑원도로(90, 3/8.6)로 내려선다

 

유관순열사 생가 도로(70, 1.1/9.7)-梅峰(169.6, 0.7/10.4)-596번 지방도로(70, 0.8/11.2)-바라박산(250, 1.6/12.8)을 지나 병천면 송정리 와촌마을 몽각산이 발원지인 녹동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곳(50, 2.2/15)에서 끝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夢覺(403) : 천안시 병천면, 동면

廣德(290) : 천안시 병천면, 동면

銅城(237.8) : 천안시 병천면, 동면

梅峰(169.6) : 천안시 병천면

바라박산(250) : 천안시 병천면, 수신면

(신경수님 자료에서 옮김)

 

동성산 (237m)은 천안시 병천면 병천 면사무소에서 북면 방면으로 시도 6호선 도로로 약 4km 정도 가면 천안시 병천면 도원리 가정 마을이 나오는데, 그 마을 동쪽의 산이다. 정상부에 동성산성(銅城山城)이 위치한다. 동성산성은 표고 237m의 동성산 정상부에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광덕산(298m)은 충남 천안시 동면 광덕리 산54/행암리 산64 에 소재한 산이다. 광덕산성은 동면사무소를 지나서 진천 방향으로 국도 21번 도로로 가다가 삽다리를 넘게 되면 바로 광덕리의 돌 팻말이 나온다. 팻말에서 약 2km 정도 들어가면 광덕리 두촌 마을이 나오는데, 광덕산성은 두촌 마을의 배산인 광덕산 정상에 위치한다.

 

몽각산(398m)은 충남 천안시 동면 행암리에 있는 산이다. 광덕산과 같은 줄기에 있으며 만뢰지맥 배성고개 와 질고개 사이능선에서 서쪽으로 분기되는 능선상에 있다. 몽덕산으로 표시된 지도도 많다.

 

덕유산(德裕山415.6m)은 만뢰지맥 장교현에서 가라앉은 능선이 다시 살아나는 능선상 산이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장송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에 걸쳐있으며 환이산과 마주한다.

 

환희산(402.6m)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장송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에 걸쳐 있으며, 목천에서 진천으로 가는 환희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북쪽으로는 지장골 고개 건너 덕유산(德裕山)이 마주 보인다. 만뢰 지맥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산이다.

 

국사봉(288m)은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에 있는 산으로 만뢰지맥에서 떨어져 있다. 정상부 가장 높은 곳에는 건물지가 있었던 흔적도 있으며, 잔돌과 직경 50 정도의 자연석이 무더기로 흘러 내려 있어 성벽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

청주집 06:00

오늘 산행은 만뢰지맥 2, 만뢰 작성단맥 1회에 이어 네 번째로 만뢰몽각단맥 길을 가려한다. 만뢰 몽각단맥은 만뢰산에서 장교현으로 가기 전 503봉에서 내려서면 임도삼거리가 나온다. 이곳을 분기점으로 하던지 임도삼거리에서 가운데 능선으로 진입하여 묵묘가 있는 봉에서 시작하던지 14번 송전탑이 있는 곳에서 시작하던지 큰 차이는 없으나 임도 삼거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우리는 오늘 몽각단맥을 역으로 진행하려 한다. 병천천이 녹동천과 만나는 지점인 송정3교차로 부근에서 시작하여 바라박산 ~매봉산 ~동성산 ~광덕산 ~몽각산을 거쳐 503봉에서 분기하여 524봉을 거쳐 김유신장군 생가가 있는 지점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하산을 하려 한다. 거리가 대략 20키로는 넘을 것으로 생각을 한다. 오늘 적막님은 천안에서 직접 병천을 거쳐 산행출발지로 오고 난 청주에서 오창을 거쳐 송정3교차로로 가기로 하고 새벽 일찍 산행준비를 마친 후 집에서 6시 출발을 한다.

 

송정3교차로(1.5km, 해발 약60m) 08:25~08:50

집에서 나오니 아침 공기가 매우 차다. 요즘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다가 모처럼 영도 이하로 떨어지는 꽃샘추위라고 한다. 삼화전기앞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5분을 기다리니 진천으로 가는 711번 첫 버스가 온다. 이 버스를 타고 오창에 도착하니 6 53분이다. 다음차를 타고 올까하다가 버스시간이 촉박할 것 같아 첫 버스를 타니 시간이 너무 많이 남는다. 아침 날씨가 춥지만 않아도 괜찮겠는지 모처럼 찾아온 추위에 콧물이 나오고 손이 시리다. 25분 정도를 기다려 성재3(강정마을)로 가는 71번 버스를 타니 손님은 딸랑 2명인데 이분도 조금 가다가 내리고 나혼자 이 버스를 타고 종점까지 갔다. 기사님한테 복다회리에서 한냉으로 들어가는 삼거리에 서냐고 물었는데 전달이 잘 안되었는지 이 버스는 가좌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백현리를 거치고 성재2리를 거쳐 한냉 쪽으로 나온 후 성재3리 마을로 가는 버스였다. 내가 가려하는 목적지는 걸어서 1.5km를 가야 한다. 미리 송정교차로 부근으로 가기 않는다고 했으면 성재3리 가기전에 내렸을 것인데 종점까지 갔다가 돌아 나오며 내려서 송정3교차로 까지 가느라 시간이 다소 더 걸렸다. 이러는 사이 적막님과 서로간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적막님은 복다회리 정류장에서 직진방향인 오창 쪽으로 이동을 하여 두릉리(오창3공단)라고 하는 곳 까지 이동을 하여 전화통화도 되지 않고 하여 카톡으로 간신히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내가 위치를 이동하여 간신히 통화가 되어 만날 수 있었다. 출발지와 바라박산에서 지체된 시간을 포함하면 50분정도가 지체가 된 것 같다.

 

바라박산(4.46km, 247m) 09:50 ~10:08

송정교차로에서 의사전달이 안되어 전화 통화하느라 지체가 된 후 8 50분경 출발을 하여 청주 옥산으로 들어가는 길 쪽으로 조금 가면 우측 UNIGEN공장 쪽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들어가면 공장 정문입구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는 세멘트 농로가 나온다. 이 농로를 따라 들어가면 민가가 있는 지점에서 우측으로 임도고개로 오른다. 고개에서 우측 능선을 따라 오르면 안동김씨 묘역을 지나 10여분을 더 오르면 능선에 닿는다. 능선에서 좌측 편에 있는 봉을 잠시 살펴 본 후 다시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첫 번째 송전탑을 지나고 5분을 더 가면 18번 송전탑을 지난다. 이후 6~7분을 더 가면 능선에서 조금 높다란 해발 약207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내려서면 높다란 송신탑이 있고 이후 조금 더 가면 사면으로 이어지는 길이 많치만 봉으로 직등을 하면 평평한 높다란 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좌측으로 둥그렇게 돌아가면 조망이 좋은 바위봉에 닿는다. 주변의 잡목을 베어내어 조망 좋다. 우측으로 수신면 발산리 마을들이 보이고 성재리 방향으로도 마을들이 보인다. 여기서 잠시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간벌을 하고 나무를 치우지 않아 작은 가지들이 걸치적거린다. 작은 나무들은 치워가며 오르니 정상은 평평하니 길쭉하게 이어진다. 공터가 있는 지점까지 다녀서 싸리가지에 묶여 있는 오래된 표지기가 있는 곳에서 15분여를 기다리니 무릉리 까지 다녀서 급하게 뛰어 왔다는 적막님이 도착을 한다. 간단하게 기념사진을 찍고는 매봉산방향으로 향한다.

 

510번도로 고개(6.24km, 71m) 10:48

서쪽을 향해가던 등산로가 바라박산에서 북쪽으로 방향이 바뀐다. 가던 길을 되돌아 조금 온 후 좌측으로 사면을 따라 내려간다. 간벌을 하여 넘어진 나무로 인하여 길도 없고 한동안 곤욕을 치르며 내려서면 능선으로 길이 보이기 시작한다. 송정교차로에서 청강교를 건너 바라박산 까지는 그런대로 길이 좋았지만 바라박산에서 매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으로는 길이 별로 좋지를 않다. 바라박산에서 내려오는 첫머리는 길이 거의 끊긴 상태다. 능선에 길이 나타나며 다소 좋아지지만 이후로도 길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20여분 후 안부고개에 닿는다. 좌측으로 파란지붕의 커다란 축사가 있고, 우측으로 용두교 부근으로 가는 소로길이 보이는 지점이다. 여기 안부 고개에서 오르는 곳이 가시밭길로 길이 거의 없다. 가시덤불을 헤치고 언덕으로 올라서면 평평한 지대의 가시밭 공터를 지나며 부터는 길이 다소 좋아지기 시작한다. 소나무숲길이 나오고 우측으로 유관순생가로 들어가는 삼거리부근의 주유소가 우측으로 보이고 좀 더 가면 차 소리가 크게 들리며 앞쪽으로 높다란 절개지가 나온다. 절개지를 따라 내려서면 철조망이 가로 막고 있어 정면으로는 내려설 수 없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내려서야 한다. 우리는 우측편이 좀 더 가깝고 하여 우측 사면을 따라 내려서서 철조망 끝 지점에서 차가 없는 틈을 이용하여 중간 팬스를 넘어 반대편으로 넘어갔다. 이도로는 오창방면에서 병천, 천안으로 이어지는 510번 도로로 몇 해 전 도로를 확장하여 상당히 큰 도로가 되었다.

 

현대기아 연수원정문(8.0km, 82m) 11:27

510번 도로를 건너서 반대편 도로 위로 올라서면 널찍한 비포장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조금 가다가 우측으로 산소가 있는 쪽으로 들어가면 산소 옆으로 등산로가 이어진다. 안내도는 없으나 제대로 찾아온 것 같다. 등산로를 따라 올라서면 고흥류씨묘역이 있으며 좀 더 올라서면 능선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10여분 후 유관순기념관에서 올라오는 널찍한 등산로 삼거리와 만난다. 여기부터는 거의 대로수준으로 길이 이어지다가 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유관순 열사 봉화탑이 있는 정상에 올라선다. 1919 3 31일 밤 봉화를 올렸던 곳이다. 다음날인 4 1일 아우내 장터로 모여 유관순열사가 장터 높은 곳에 올라 독립을 호소하는 연설을 하자 수많은 군중들이 일제히 독립만세를 불렀다. 이 뜻을 기리고자 1977년 이곳에 봉화대와 봉화탑을 건립하였다. 매년 2월 말일 봉화제를 개최하여 유관순 열사와 만세운동을 기념하는 장소다. 유관순 열사는 이화학당시절인 17세의 나이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일본헌병에 잡혀 천안헌병대로 압송 후 공주감옥으로 다시 서대문감옥으로 이송되어서도 아침저녁으로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일제의 무자비한 고문으로 인한 장독으로 다음해인 19209 28일 서대문감옥에서 18세의 꽃다운 나이로 순국하였다.

봉화대에서 조금 지나면 삼각점이 있고 삼각점 안내문이 있다. 이곳은 산은 낮지만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역사의 장소로 길이 보존해야할 곳이다. 매봉산 삼각점을 지나 능선을 따라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좌측은 수련장, 우측은 유관순열사 생가로 가는 길이다. 여기서 우측 생가 쪽으로 가면 다시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우측 통나무 계단이 보이는 곳으로 내려가면 용두리로 유관순 생가가 있는 곳이고, 좌측으로 내려서면 현대기아 연수원 정문 앞으로 내려서는 길이다. 우리는 좌측 길로 내려와 연수원 정문 앞에 닿는다,

 

34번 송전탑 삼거리(좌측 지맥길, 우측 화계리, 10.20km, 193m) 12:24~12:50(중식)

연수원 우측으로 들어가 논두렁길을 따라 가다가 좌측에 보이는 민가로 들어가 능선아래에 난 임도 길로 올라간 후 조금 이동하여 민가에 닿기 전 좌측 능선으로 올라선다. 능선으로는 나즈막한 철판으로 만든 담이 쳐져 있어 이쪽저쪽으로 넘어 다닐만하다. 능선 반대편으로는 절개지로 아래쪽에 연수원 건물이 들어차 있다. 절개지 능선으로는 다니지를 않아 가시나무 밭으로 이리저리 피해서 가다가 절개지 둑을 타고 가니 편하다. 절개지 아래 연수원 건물에는 연수원들이 왔다갔다하는 모습이 보인다. 절개지 둑 끝 부근 위쪽으로 커다란 물통이 보이고 잠시 후 능선과 만나 앞쪽으로 나가면 언덕으로 오르는 지점에 개경 전씨묘역이 나온다. 묘역을 넘어서 가시밭길을 지나고 잠시 후 포크레인 작업을 한 농원을 따라 내려서면 병천에서 동면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21번 충절로 고개에 닿는다. 고개 좌측에는 세림티엔디라고 하는 공장이 있고, 우측 편으로는 에이플러스라고 하는 공장이 있다. 우리는 우측편 에이플러스 공장입구의 파란그물망이 쳐져 있는 절개지를 따라 올라선다. 이후로도 길은 없다. 가시나무가 뒤엉켜서 뚫고 지나기가 어렵다. 적막은 정면 돌파를 하고 난 우측 아래쪽 산소가 있는 곳으로 돌아서 능선으로 오른다. 이후 조금 가면 앞쪽으로 커다란 크레인이 나오며 절개지다. 우측으로 돌아서 내려서면 공장입구 주차장이다. JMC중공업이라는 간판이 붙었다. 능선을 파헤쳐 공장을 지은 것이다. 이 부분은 전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으로 이런 줄 알았더라면 이 길을 택하지 않았을 것 같다. 현대기아 연수원부터 도로를 따라 아마 이곳 까지 왔으면 좋았을 것 같다. 이제 21번 국도로 나가 몇 미터를 전진하면 좌측으로 민가가 보인다. 민가로 들어가면 뒤편 산소로 가는 길과 연결이 된다. 산소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능선 좌측으로 태양광시설이 된 곳이다. 여기를 간신히 빠져나가 위로 오르는 곳도 길은 없다. 그저 길 비슷한 곳으로 오르니 오래전 붙여 놓은 모 산악회 클럽의 표지기가 보인다. 이렇게 능선으로 오르기 시작하여 15분후 높다란 송전탑이 있는 곳에 도착을 하면 우측에서 올라온 좋은 길과 만난다. 여기 송전탑이 34번이고 우측아래 마을은 화계리다. 우리는 송전탑아래 양지바른 잔디밭에 자리를 잡고 점심식사를 한다. 식사를 하는 동안 마을분 2분이 지난다.

 

동성산(송전탑, 12.05km, 238m) 13:23

34번 송전탑에서 이어지는 길은 매우 좋다. 지도에 광터골 고개로 가기 전 3개의 봉으로 되어 있는데 5~6분후 첫 번째 봉에 닿는다. 거의 평탄한길로 걷기에 매우 좋은 곳이다. 마을 분들은 여기 첫 봉까지 다녀가는 것 같다. 이후로는 다닌 흔적이 줄어들지만 길은 좋다. 다시 5분여를 가면 32번 송전탑이 있는 봉에 닿는다. 이후 3분을 더 가면 31번 송전탑이 있는 봉을 마지막으로 내려서기 시작하면 3분이 지나 광터골 고개에 닿는다. 궁터골고개라고 적혀 있기도 하다. 이고개의 좌측은 풍산공원묘지로 가는 길목의 도원리이며, 우측으로는 화계2리로 내려선다. 이제 이곳부터 오르기 시작하면 10여분을 올라 해발 약210봉에 닿는다. 이후 평탄해진 능선 길로는 푸르른 잣나무가 심겨져 그 가운데로 지난다. 이렇게 하여 10여분을 지나면 덤불속에 삼각점과 삼각점 안내문이 있고 작은 가시나무에 몇 개의 동성산표지판이 붙어 있다. 조망은 전혀 없는 곳이다.

 

광덕산 정상(14.69km, 298m) 14:12

동성산에서 직진으로 나가다가 우측으로 방향이 틀어지며 이어진다. 등산로는 조금 전보다 길이 좋지를 않다. 안부로 내려 선후 다시 오르는 길에 대리석으로 작게 만든 청주한씨 납골묘가 있다. 꽃병이 놓여 있으며 잘 가꾼 산소다. 우측 사면 아래로는 여러기의 묘지군이 있으며 똑같은 형태의 꽃병이 산소마다 있는 것으로 보아 이곳도 청주한씨 가족묘역으로 보인다. 이후 능선을 따라가면 송전탑이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우측 방고개 저수지 방향으로 내려서는 길이 매우 양호하고 널찍하다. 여기서 앞쪽 능선으로 오르면 고사리밥이 지천으로 널려 있으며 잠시 후 남쪽을 향한 양지바른 곳에 자리 잡은 동래정씨묘역으로 상석과 비석 망주석이 설치된 것으로 보아 매우 번성한 집안으로 보인다. 여기서 되돌아보면 동성산이 마주한다. 이후 조금 더 오르면 좌측으로 길이 있는 지점을 지나고 청주 한씨묘역을 지나 해발 약225봉을 지나 내려서게 되면 방고개에 닿는다. 널찍한 고갯길로 예전에는 많이 넘어 다녔을법한 고개이지만 고개아래쪽으로 나무가 자라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은 전혀 넘어 다니지 않는 길로 보인다. 좌측은 매성리 작성산 아래 골프장으로 들어가는 길목 부근으로 이어지고, 우측으로는 광덕리 방고개저수지로 내려서게 된다. 여기서 다시 오르게 되면 송전탑이 있는 해발 약242봉을 지나 우측 광덕리에서 올라온 길이 있는 삼거리봉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진행을 하면 5분후 안부사거리에 닿고 3분을 더 가면 쌍묘가 있는 곳에서 우측 광덕2리로 내려가는 길이 보이고 다시 좀 더 가면 임도고개에 닿는다. 여기서도 좌측은 매성리, 우측은 광덕리로 이어진다. 4분후 좌꺽임봉에 올라선 후 2분을 더 가면 광덕산 정상에 닿는다. 광덕산 정상은 오래된 소나무로 둘러 쌓여 조망은 그리 좋지 못하다. 좌측으로는 작성산이 어깨를 마주하고 작성산 아래 골프장이 이곳으로 오면서 몇번 보였었다.

 

몽각산 정상(16.96km, 403m) 14:55

광덕산에서 우측 행암리 쪽으로 벌목지가 펼쳐지며 산 아래 행암리 마을이 보인다. 잠시 후 능선은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이 되어 능선은 우측으로 둥그렇게 돌아가게 된다. 서서히 내려서서 안부에 닿은 후 다시 오르는 길에 산소를 지키는 개집이 있어 우리를 보고는 우렁차게 짖어 댄다. 개집을 지나 우거진 숲길을 지나면 벌목지 앞쪽으로 움푹 패인 임도고개가 나온다. 벌목을 하며 새로 낸듯한 고개다. 고개를 지나서 벌목지 능선으로 오르면 우측으로 행암리 마을이 있고 좌측으로 벌목지를 지나 관성리 마을이 보이고 뒤편으로 풍산공원묘지가 있는 개죽산이 보인다. 높다란 송전탑을 지나 오르면 향나무가 심겨진 전주이씨 묘가 나온다. 이후 능선을 따라 10분을 더 진행하면 산초나무 가시밭길을 지나 행암리와 덕성리 사이로 이어지는 능선삼거리에 닿는다. 이후 길은 좋아지며 1분을 더 오르면 널찍한 몽각산으로 오르는 임도 길에 닿는다.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오르면 3분이 더 지나 산불감시탑이 있는 몽각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은 잡목 숲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오동나무가지에 정상표지판이 붙어 있다. 조망은 좋지 않다.

 

임도삼거리(분기점, 18.42km, 425m) 15:24

몽각산 정상에서 내려서는 곳이 가파르다. 이젠 눈도 녹아 없으나 낙엽이 많이 쌓여 미끄럽긴 하다. 경사지를 내려서면 안부삼거리로  우측으로 덕성리 바타니마을로 내려서는 길이 있다. 이곳부터 이어지는 길은 서서히 넓어지다가 얼마안가 드릅나무가 많이 보이는 곳부터는 널찍한 임도 길로 이어진다. 임도를 따라 오르기 시작하면 10여분 후 우측으로 돌아가는 지점의 높다란 송전탑을 지나서 3~4분을 더 가면 만뢰지맥길이 갈리는 14번 송전탑이 있는 지점에 닿는다. 이곳이 실질적인 분기봉이다. 여기서 임도를 따라 3~4분을 더 가면 임도삼거리의 배성고개에 닿는다.

 

524(고사목, 19.42km) 15:47

임도삼거리에서 좌측편 임도를 따라 간다. 처음 가보는 길이지만 김유신생가로 내려가는 능선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해서 무조건 따라가 본다. 임도는 널찍하니 좋다. 임도위로는 만뢰지맥 길의 503봉이 있으며 524봉으로 가는 능선 아래로 임도가 이어진다. 임도를 따라 10분을 가면 186번 송전탑에서 임도 길은 끝이 난다. 여기서 앞쪽으로 보이는 희미한 길을 따라 가면 토종벌꿀 집이 있는 곳에서 길은 끊기고 이후로는 능선을 따라 직등을 하게 된다. 능선으로 길은 전혀 없다. 그러나 거리는 그리 길지 않아 5분여를 오르니 503봉에서 524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닿은 후 2~3분을 더 오르면 524봉으로 정상에는 고사목이 한그루 서있을 뿐 표지기 하나 붙어 있는 않는 밋밋한 봉이다.

 

보탑사 도로(화랑정, 22.02km,147m) 16:33~16:45

524봉에서 낙엽이 수북히 쌓여 있는 능선으로 내려서기 시작한다. 4분여 내려서면 송전탑이 있는 지점을 지나 임도길이 이어진다. 임도를 따라 가면 우측으로 벌목지가 이어지고 우측으로 시원스럽게 조망이 펼쳐진다. 금시 지나온 524봉까지 조망이 되고 덕유산, 환희산으로 이어지는 만뢰지맥 길과 그 아래 펼쳐지는 산하와 진천 사곡으로 이어지는 계곡으로 상계리 마을이 보이고, 건너편 산으로 문암산 정상의 공군부대가 보인다. 임도는 세멘트포장이 되어서 잠시 후 임도가 다시 사면을 따라 만뢰지맥 능선으로 돌아가는 지점에서 능선 길로 올라서는 지점이 벌목을 하여 잔가지를 치우지 않아 지나기가 어렵지만 길지를 않아 잠시 지나면 곧 등산로가 이어지며 등산로 좌측으로는 철조망이 쳐져 있으며 위험 고압선 전류, 접근금지 표지판과 또 하나는 맹견방사 엽총소지 무단출입시 엽총발사라는 험악한 표지판이 철조망에 붙어 있다. 아무리 사유지라고 해도 어째 엽총을 발사한다고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만약 누가 고의든 타의든 철조망을 넘어 진입했을 시 엽총을 발사해서 사망을 했다고 하면 이 문구 하나로 법적인 책임이 없어지는지가 궁금하다. 철조망이 끝나는 지점을 지나고 이어지는 능선 길도 나쁘지는 않다. 임도가 끝나는 지점에서 25분 정도를 내려서니 삼각점이 있는 264.1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좌측 편으로 능선을 따라 내려서면 쓰러진 나무로 인하여 발길을 잡긴 하지만 거리는 그리 길지 않아 10여분 후 산골맛집 식당이 있는 곳으로 내려서서 다리를 건너면 화랑정이 있는 도로에 닿는다.

 

사석삼거리(25.41km, 115m) 17:30 ~18:05

화랑정 옆쪽 화랑무예태권도성지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도로를 따라 진행을 하면 23분후 보탑사 삼거리에 닿는다. 화랑정에서 1.8km가 나온다. 여기서 다시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사석삼거리 버스정류장에 도착을 하니 1.6km 22분이 소요된다. 사석삼거리 작은 슈퍼에서 진천에서 천안으로 가는 직행표를 판다. 진천에서 매시 40분에 출발을 하여 여기에는 5분이 소요되어 45분경 도착한다고 한다. 마침 병천으로 가는 17 40분 버스가 있어 직행표를 삿다가 다시 반환한 후 병천에서 막 도착한 17 40분차로 적막님을 보내고 난 25분을 더 기다려 청주로 가는 711번 버스를 18 05분 승차하여 집에 도착을 하니 19 23분이다.

 

오늘 산행은 그리 난이도가 높지를 않았지만 거리는 저번에 진행한 작성단맥 길보다는 다소 길었다. 몽각단맥 분기점인 배성고개 삼거리에서 우리는 덕성리로 하산을 하지 않고 524봉을 거쳐 김유신장군 생가지가 있는 능선으로 하산을 하여 화랑정에 도착하여 사석까지 걸어 나와 집으로 돌아 왔다.

오늘 쌀쌀한 날씨에 함께한 적막님 가시밭길 산 이름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산길 걷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산행시간 : 9시간 30분 소요

산행거리 : 25.41km

 

청주 ~오창 시내버스비 : 1300

오창 ~성재3리 버스비 : 1300

사석 ~청주 버스비 : 1300

~~~~~~~~~~~~~~~~~~~~~~~~~~~~~~~~~~~~~~~~~~~~~~~~~~~~~~~~~~~~~~~~~~~~~~~~~~~~~~~~~~~~~~~~~

 

금북만뢰몽각단맥

갈 때

청주~진천 711번 버스 : 6:00,6:20,6:39,7:05,7:18,7:31 1300원 오창 약50분 소요

오창 ~성재3(강정) 공용71 : 7:20 ~7:55

 

병천~송정리 ; 5km(병천~가좌리행 430, 송정2리 복다회리 정류장 하차), 병천~청주 721

430번 병천~가좌리 : 6:30, 7:30, 10:00, 12:30, 14:50, 16:30, 18:30

430번 가좌리~병천 : 7:00, 8:00, 10:30,13:00,15:20,17:00,19:00(용두리~송정리~두릉리~성재리~가좌리)

 

올 때

김유신 탄생지 ~진천종합버스터미널 : 8.55km, 김유신 탄생지 ~보탑사 삼거리 : 2.1km

김유신 탄생지~보탑사삼거리~사석삼거리 : 3.55km(사석삼거리 치안센타 앞에서 청주역 가는 711번 승차)

 

진천~병천행410, 진천 출발 7:55,12:45,18:55, 병천~진천두내장앞: 7:15,12:00,18:10, 45

병천 ~사석 411: 11:10, 17:20, 사석~병천 : 11:30, 17:40

진천 병천 천안 : 6:30~6:55~7:20, 7:40,둥 매시 40 *16:50,막차18:50

천안 병천 진천 : 7:40~8:05~8:30, 9:10 이후 매시 10 *막차 20:00

병천~청주역 : 9:53~11:18, 17:45~19:10

 

진천 ~연곡리 : 7:00, 9:50, 14:40, 18:40, 연곡리~진천 : 7:20, 10:10, 15:10, 19:10

진천~사석 7:40,11:00, 14:30, 17:30 지암~진천 : 계산8:00, 지암11:20, 계산리,지암 15:00, 지암17:50

덕성리413:15:20,15:45,16:05, 바타니412: 17:00,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