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용지맥1 감우리~부용지맥분기봉~부용산~수레의산~덕고개
분기봉 477m, 부용산 644.3m, 수레의 산 679.4m
2016.03.15. 화요일 맑음
참석인원 : 적막이랑 둘이서
청주 집 06:15 -청주역 06:30 ~07:41 -열차 3100원 -음성역 08:18~08:20 -택시1만원 -음성 감우리 큰곰집앞 08:32~08:35 -임도고개(0.865km, 해발 약355m) 08:52 -부용지맥분기봉(1.37km, 해발 약477m) 09:08 -감우재(2.6km, 약212m) 09:32 -충혼탑위 임도고개(2.86km, 약265m) 09:40 -능선삼거리(좌측으로, 3.09km, 해발 약290m) 09:46 -등산로 좋아짐 -능선삼거리(우측으로, 3.37km, 약330m) 09:52 -약365봉(3.64km) 09:56 -385.3봉(삼각점, 좌꺽임, 3.97km) 10:05 -370봉(4.3km)10:11 -우측 아래로 임도 - 우측으로 벌목지 -벌목지 위봉(우꺽임, 7.71km, 약350m) 10:19 -사정고개(5.18km, 약295m) 10:29 -능선으로 올라서면 철조망 -가섭지맥 분기봉(6.12km, 약480m) 10:55 -안부 이정표(6.23km, 약475m) 11:01 -약493봉(6.30km) 11:04 -약493봉(6.4km) 11:06 -약483봉(우꺽임, 6.6km) 11:09 -약475봉(6.9km) 11:18 - 약503봉 삼거리(이정표, 좌측으로, 7.16km) 11:21 -안부사거리(7.59km, 약437m) 11:29 -부용산 정상(정상석3개, 8.46km, 644.3m) 11:56 ~12:01 -좌꺽임봉(8.84km, 약573m) 12:11 -2~3분 지나 좌측사면으로 -길없음 -길흔적 나옴 12:23 -산소(9.27km, 약420m) 10:28 - 이후 길 좋아짐 -안부사거리(좌 오생리, 우 수월리, 9.73km, 약295m) 10:34 -좌꺽임 12:36 -292봉(삼각점, 9.96km)12:38 -세멘트임도(10.45km, 약220m) 12:44 -임도위 산소 12:45 ~13:08 (중식) -새터말 마을 안길따라 -못고개(10.87km, 약190m) 13:16 -길건너 우측 임도따라 -묘지군 -절개위 배수로 따라 -반대편 절개지 위로 -고속도로와 중원대로 절개지 코너 따라 -고속도로 아래 중원대로(11.5km, 약180m) 13:35 -중원대로 건너서 반대편 고속도로 절개지로 -가시밭길 지나고 -납골묘위 봉(11.8km, 약247m) 13:34 -이후 2~3분 지나면 길 나옴 -좌측으로 빨강지붕건물들 보임-좌측 벌목지 -벌목지위 좌꺽임봉(12.2km, 약290m) 13:55 -우측으로 연수원건물 보임 -좌측 하산로 삼거리(우측으로, 12.55km, 약264m) 13:59 -잠시 내려서서 안부 사거리(좌 북각동, 우 모남리, 12.68km, 약245m) 14:02 -골프장 전기철선(13.0km, 약282m) 14:08 -안골고개(좌 골프장, 우 연수원, 13.21km, 약295m) 14:13 -쉼터 삼거리(14.05km, 약510m) 14:36 -530봉(14.14km) 14:39 -수레의 산 정상(14.94km, 679.4m) 15:07 ~15:20 -659봉 삼거리(우측으로, 15.28km) 15:29 -오갑지맥 분기봉(15.82km, 641m) 15:40 -안부사거리(16.25km, 약485m) 15:52 -497.7봉(삼각점, 16.51km) 15:59 -494봉(17.0km) 16:07 -38번 송전탑(17.31km, 약492m) 16:13 -좌꺽임봉(17.7km, 약475m) 16:22 -좌측 벌목지위 임도(18.03km, 약365m) 16:29 -벌목지위로 임도 지나고 -웃고개 -약373봉(18.58km) 16:41 -안부고개(양쪽으로 길흔적 없음, 18.87km, 약300m) 16:49 -좌꺽임봉(19.06km, 약320m) 16:55 -절개지 우측으로 내려서서 -능안고개(숭선고개, 19.3km, 약265m) 17:01 ~17:08 -송전탑(19.58km, 약327m) 17:16 -377봉(좌측으로, 우측 끝은 채석장, 19.87km) 17:24 -철탑길 따라 -419봉(20.57km) 17:40 -송전탑(우꺽임, 20.84km, 약405m) 17:46 -송전탑봉(우꺽임, 21.5km, 약314m) 17:59 -철탑길 따라 -안부사거리(27.1km, 약227m) 18:04 -송전탑(좌꺽임, 21.81km, 약284m) 18:06 -우측으로 둥그렇게 돌아서 -고속도로 굴다리(22.57km, 약190m) 18:24 -농업법인 마당에서 우측 복숭아 밭으로 -능선에 닿으면 곧 절개지 -신 도로(22.94km, 약181m) 18:34 -신도로 절개지로 -가시밭길 -봉넘어 내려서면 -덕고개(23.20km, 약195m) 18:43 -한흥건철앞(23.30km) 18:45 ~18:49 -택시 7000원 -신니면 버스정류장 18:53 ~18:58 -버스비 1300원 -주덕역 19:10 ~19:28 -청주역 20:16 ~20:20 -청주 집 20:35
~~~~~~~~~~~~~~~~~~~~~~~~~~~~~~~~~~~~~~~~~~~~~~~~~~~~~~~~~~~~~~~~~~~~~~~~~~~~~~~~~~~~~~~~~~~






보현산 483m
음성군 동음리와 소여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한남금북 정맥줄기에 있는 산이다. 눈보라 날리며 검은 비구름이 강원도 차령산맥을 타고 음성을 휘감아 돌아 그대가 서있는 발 앞에 멈추어 금강에 피어오르는 흰구름이 금강 줄기를 타고 이곳에서 만나 계절풍으로 조화를 이루어 남서쪽은 금강수 동북쪽은 한강수 수계를 이루어 금강에 최북쪽이고 한강에 최남쪽이라 한남금북 정맥을 이루어 놓아 동서남북 풍수방향 조화를 이루어 음성에는 조수재해가 없다.
이곳 주민들은 정초에 산신제를 모시고 있어 명산으로 받들고 있다. 지도 지적 공부상에는 보현산으로 표기 되어 있다. 일명 萬生山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옛 문헌에 萬生山 可㓉 萬人之地라하여 수많은 난늘 피하여 목숨을 유지한 사람의 수가 만 명은 된다는 뜻이다. 뒤로 차령산맥이 다시 서쪽으로 이어져 협곡을 막은 맹동 통동저수지로 이어져 진천 초평저수지로 이어져 있다. 이곳이 속리산- 경기도 칠장산, 강원도 치악산-진천초평 동서남북 사거리 분기점이다. 아래 감우재 고개 전설에 영남 소장수가 한양소전에 가는길에 고개에 와서 쉬는 참에 소 신발을 만들어 놓은 짚신이 갑자기 소낙비에 떠내려가서 한 짝은는 우측 소여리 음성 소이 괴산 불정 달래강 목계 여주 벽절앞 바위틈에 멈추어 있고, 한 짝은 좌측 감우리 금왕 생극 장호원 여주 큰 하천에 있다는 것을 알고 소장수가 기다리고 있다가 벽절에서 기다리고 있는 짝을 만나 소장수가 건져서 하나님이 내려주신 짚신이라 크게 감동하여 소 장터에 소문을 내어 많은 돈을 받고 팔아 부자가 되었다.는 전설이다. 이고개가 빗방울이 반쪽으로 갈라져서 좌우로 간다하여 이별의 고개로도 전해지고 있다.
부용산 644.4m
높이 644.4m의 부용산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와 음성읍 사정리, 생극면 오생리,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에 걸쳐있는 산이다.
충청북도 음성의 가섭산의 바로 옆에 있는 산으로 능선산행지로 최적인 곳이다. 가섭산과 접하고 있으며, 산형이 부용(芙蓉)처럼 생겨서 부용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남쪽으로는 사정고개를 경계로 북쪽으로는 완만한 구릉을 지나 오생리 농경지대와 연결되었으며, 용대골과 황새골을 주계곡으로 여기에 흐르는 물은 금석저수지의 수원이 이루고 있다. 저지대는 완만한 반면 해발 500m 이상의 상정부는 준엄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 명산이다.
음성에서 시작하여 약 8km정도 되는 주능선은 능선산행에 적합하다. 음성시내에서 부용산을 거쳐 금왕시내까지 도보로 이동할 경우 약 13-14km정도의 거리로 능선종주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산이다.
산행시작은 음성읍 용산리저수지 좌측에 있는 궁도장인데, 이곳에는 50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과 큰 산행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산행의 끝은 부용산 서쪽 금석저수지인데 댐 아래 도로변에 산행안내판이 세워져있다. 부용산은 산행안내판이 비교적 잘 세워져 있고, 등산로 상태도 걷기에 좋다.
정상에는 산행기록을 남기는 등산일지를 저장하는 철제박스가 놓여있어 이 산만의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다. 산행은 다소 쉬운편이며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요도천으로 남쪽으로 물은 음성천으로 유입하고 서쪽물은 응천으로 유입하나 특이하게 모두 끝에 가서는 한강으로 합류된다.
등산코스
-제1코스 : 4.1km, 소요시간 2시간30분
궁도장→송림쉼터→숫고개→무수막→정상→궁도장
-제2코스 : 6.2km, 소요시간 3시간 30분
육령리 예순터 →정상→숫고개 →궁도장
수레의 산 679m
충북 음성군 생극면에 있는 해발 679m의 수레의 산은 이름부터가 독특하다. 산 서쪽 계곡에는 청소년수련원과 차곡저수지가 있고 수량이 많으며 수리산에서부터 산서릉의 459번 도로 까지 임도가 잘나 있다. 박쥐굴,굴법당,공기바위,병풍바위,상여바위,전설의못등 볼거리가 많다. 산행시간이 짧고 등산로가 잘 닦여 있어 가족산행지로 좋다.
가장 전망이 좋은 곳은 상여바위 꼭대기 이고 전설의못은 능선상에 있는 연못으로 청학포란형의 권근 3대묘와 연루 되어 묘를 쓸때 해발 505m의 이곳에 물을 올렸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산행코스
생3리(안터)(20분,1km )-> 하절터(20분, 1km) -> 헬기장(60분, 3km) -> 정상(20분, 1km) -> 상절터(20분, 1km) -> 굴법당(40분, 2km)-> 생3리(안터) <산행거리9km, 약3시간 소요 >산행코스2 : 청소년 수련원(60분, 3km) ->헬기장(60분, 3km) -> 정상(40분, 2km) -> 상여바위(40분, 2km) -> 전설의 못(40분, 2km) -> 청소년수련원 <산행거리 12km , 약4시간 소요 >
교통 청주에서 5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장호원행 시외버스 이용 생극에서 하차
생극에서 차곡리청소년 수련원 까지 택시 이용 15분 소요
수레의산은 음성군 생극면과 신니면 사이에 있는 산으로 남으로 가엽산(가섭산·710m)~부용산(644m)으로 이어지고, 북으로 수리산(505m)~원통산(645m)~오갑산(609m)으로 뻗쳐있다. 이 산은 숲이 울창하고 산길이 좋은 데다 산허리를 임도가 지나고 있어 오르내리기에 편리하다. 어디서 올라도 점심시간을 포함해 3~4시간이면 어려움 없이 주봉은 물론 전설의 샘(못)까지 돌아 내려올 수 있다. 내내 짙은 숲속을 걷기 때문에 산뜻한 기분이 끝까지 이어지고, 군데군데 상여바위 병풍바위 박쥐굴 공기돌 굴법당들도 볼 수 있다. 특히 전설의 샘 위에 있는 상여바위는 푸른 숲에 둘러싸인 채 우뚝 솟아 특이하고, 그 위에 오르면 조망이 시원하다. 전설의 샘이 말해주듯 산에는 물이 많다. 골짜기마다 개울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있고, 매우 차가워 손을 오래 담그고 있기 어렵다.수레의산 정상 능선 바로 밑에는 ‘전설의 못’이 있는데, 못에는 양촌 권근의 묘소와 연관된 전설 있다. 1409년(태종 9)에 예문관대제학을 지내던 권근이 죽자 유명한 지관들이 총동원되어 생극면 방축리 능안이라는 곳에 산소 자리를 골랐는데, 한 노승이 산세를 두루 살피더니 산소자리에서 물이 날 것이라는 것을 예언하면서 수리산 정상 샘터에 연못을 파면 산소자리의 물이 줄어들 것이라고 하였고, 시킨 대로 하였더니 정말 그대로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물이 옮겨졌다고 하여 처음에는 물‘수’, 옮길‘이’를 써서 산 이름을 ‘수이산’이라 하다가 발음이 변해 ‘수리산’이 되었다고 하며, 또는 못을 보살펴 손질한다고 해서 ‘수리산’이라고 부른다고도 한다. 안동 권 씨 가문이 3년마다 못을 정비하고 있으며, 심한 가뭄이 들 때 이곳에 올라와 기우제를 올리면 해갈비가 온다고 한다. 상여바위에도 노승이 아주 못된 불효자를 타일렀으나 듣지 않자 도술로 불효자의 죽은 어머니의 상여와 함께 그 불효자를 바위가 되게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수레의산 자연휴양림에서 왼편으로 임도를 따라 15분쯤 가면 안내판이 있다. 여기가 수레의산(헬기장)으로 오르는 산길 들머리다. 물이 흐르는 골짜기 어귀에서 시작한 산길은 잘 정비된 너덜 길로 이어진다. 들머리로부터 20분쯤 오르면 잘록이에 있는 헬기장에 이른다. 헬기장에서 등성이 길로 30분쯤 오르면 수레의산 정상이다. 삼각점 외에 안내표석이 2개나 세워져 있다. 그러나 고스락은 나무들이 에워싸고 있어 조망은 좋지 않다. 정상표지석에는 ‘헬기장 1.6km, 상여바위 4.3km’로 되어 있으나, 고스락에서 상여바위까지는 채 25분도 걸리지 않는다. 전형적인 육산형태를 하고 있는 수레의산에서 상여바위는 훌륭한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다. 자연휴양림과 그 옆의 소류지가 내려다보이고, 부용산, 가엽산, 국망산, 보련산으로 펼쳐지는 산줄기와 중원들녘이 시원스럽다. 상여바위를 지나 조금 오르면 도도록하게 솟은 작은 봉우리가 나선다. 이곳에서 100여m 를 내려서면 나무 사이로 연못의 물이 보인다. 전설의 연못은 꽤 넓어 84㎡ 정도는 넘을 것 같았다. 그 넓이보다 물이 고일 수 없는 높은 등성이에 천연 연못이 있다는 게 신기하다. 하산은 전설의 연못에서 시작된다. 연못이 있는 잘록이에서 등성이를 따라 원통산으로 가는 능선 길은 희미하다. 참나무 숲길을 12~13분 내려가 두 골짜기가 만나는 곳에서 길은 골짜기 개울을 따라간다. 개울을 따라 다시 15분정도를 내려가면 임도에 닿는다. 상여바위에서 내려오는 길도 여기서 만나기 때문에 안내표지에 연못과 상여바위 두 방향으로 화살표가 붙어 있다.
◇제 1코스: 휴양림-헬기장-정상-병풍바위-상여바위-전설의 못-휴양림 (약 167분소요)
◇제 2코스: 휴양림-헬기장-정상-휴양림 (약 79분소요)
◇제 3코스: 휴양림-헬기장-정상-병풍바위-상여바위-전설의 못-휴양림 (약 180분소요)
◇제 4코스: 휴양림-헬기장-정상-병풍바위-상여바위-휴양림 (약 145분소요)
교통접근 거점은 장호원(감곡-장호원에서 다리 건너)과 생극면 신양리(면사무소 소재지)로 잡아야 한다. 신양리에서 3번 국도를 타고 충주 방향으로 5분 정도만 가면 생1리 주막거리가 나선다. 이 주막거리에서 묘구재를 넘어 수레의산자연휴양림이 있는 차곡리 수레울 마을로 들어가는 포장도로가 시작된다. 장호원(감곡)에서 30분 간격으로 떠나는 충주행 버스(충주교통043-845-5176)를 타면 생1리 주막거리에서 내릴 수 있다. 생극(생극터미널878-3036)에서 차곡리 수레울까지 하루 3회(9:20, 15:10, 17:40. 요금1천100원) 군내버스 운행. 생극택시(878-3288, 윤준영011-482-3674)
~~~~~~~~~~~~~~~~~~~~~~~~~~~~~~~~~~~~~~~~~~~~~~~~~~~~~~~~~~~~~~~~~~~~~~~~~~~~~~~~~~~~~~~~~~



청주 집 06:15
이번 산행은 음성에서 충주로 이어지는 부용지맥으로 보현산 분기봉~ 부용산 구간과 서울보증보험 연수원 ~가섭지맥 분기봉 까지는 전에 다녀온 구간이지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임하려 한다. 오늘 산행은 음성역 까지 열차를 이용하고 음성역에서 산행출발지 까지 택시로 이동하기로 한다. 천안에서 적막님은 열차로 오송역을 경유 음성역으로 가고 난 청주역에서 승차하기로 한다. 아침 일찍 일어나 산행준비를 마친 후 집에서 6시 15분 출발을 한다.
음성 감우리 큰곰집앞 08:32~08:35
집을 나서서 승용차로 청주역에 도착을 하니 6시 30분이다. 오면서 적막님으로부터 고속열차가 늦어서 못 탈 것 같다는 전화를 받고 청주역에 도착하여 충북선 열차의 지연시분을 보니 정시다. 일단 적막님이 오송역에서 충북선 첫차를 탓는지를 확인 후 표를 끊으려 대기 하고 있는 중 열차를 못 탔다는 전화가 온다. 다음 차는 50분을 기다려야 한다. 할 수 없는 일이기에 다음차로 가기로 하고 청주역 이곳저곳을 둘러본다. 전에 있던 콘테이너 적치장도 부강으로 이사를 갔는지 텅 비어 한적하다. 이리저리 둘러보아도 고작 20분도 안 걸린다. 대합실에 쭈그려 앉아 인터넷 검색을 하며 시간을 보낸 후 차시간이 되어 청주역을 7시 41분 발차하는 열차에 몸을 싣는다. 적막과 만난 후 이런저런 애기를 하는 중 음성역에 도착을 한다. 역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택시를 타고 감우리 큰곰집으로 향하니 12분이 소요되어 택시비 1만원이 나온다.
부용지맥분기봉(1.37km, 해발 약477m) 09:08
감우리 큰곰집 앞에 도착하여 산행준비를 한 후 전원주택단지로 이어지는 임도를 따라 오르기 시작한다. 전에 이곳을 지날 때 계곡도랑 공사를 하더니 ‘계류보전’이란 표지석을 세워 놓았다. 임도를 따라 서서히 오르면 위쪽으로 가면서 지그재그로 오른다. 감우리에서 시작하여 20분이 못되어 임도고개에 닿는다. 반대편 동음리 승주골로 이어진다고 해서 승주고개라도 한다. 이 고개에서 양쪽으로는 한남금북정맥 길로 남쪽은 속리산 천왕봉으로, 북쪽은 칠장산으로 이어지게 된다. 우리는 여기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진행하면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여 보현산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부용지맥 분기봉이 가까워지며 잠시 가파르게 오르게 된다. 분기봉으로 오르며 북쪽 정맥길 쪽으로 음성 꽃동네의 커다란 건물이 보이기도 한다. 분기봉에는 미선나무와 마을이야기가 적힌 안내문이 있고 부용지맥 분기봉 표지판도 소나무에 걸려 있다. 보현산 정상은 남쪽으로 여기보다 조금 더 높은 봉이지만 아무런 표식이 없어 이곳을 보현산 정상으로 인식하였었다. 지금 실제 보현산 정상에는 정상석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감우재(2.6km, 약212m) 09:32
승주고개에서 보현산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까지는 정맥 길이기에 등산로 상태가 매우 좋았지만 부용지맥으로 향하며 길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산초나무가 능선으로 자라고 낙엽이 있어 가파른 경사지를 내려서는데 썩 좋지는 않지만 그래도 여기 내려서는 곳은 양호한 편으로 짧막한 지그재그 길로 무난하게 내려 설수 있다. 가파른 경사를 내려서면 좌측으로 벌목지가 나온다. 벌목지 너머로 부용산까지의 능선이 시원스럽게 조망이 된다. 벌목지 옆을 지나고 부터는 완만한 능선으로 이어져 마지막 안테나가 있는 절개지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벽돌공장에 닿는다. 벽돌공장 정문으로 나가면 음성에서 금왕 생극 장호원으로 이어지는 생음대로 아래로 지나는 굴다리가 있다. 우리는 거기까지 가지 않고 차가 없는 틈을 이용하여 국도를 건너서 감우재 전승기념관 앞쪽에 닿는다. 감우재 전승기념관에는 무공수훈자 전적비와 음성 감우재 전승비를 비롯하여 타임캡슬, 충혼탑, 충혼관등이 있다.
사정고개(5.18km, 약295m) 10:29
감우재에서 전승비, 충혼탑을 경유하여 오르면 뒤편으로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라 고개에 닿은 후 우측능선으로 오르기 시작하면 처음엔 길이 잘 보이지 않치만 능선으로 조금 올라서면 길은 확연히 드러난다. 능선 길을 따라 진행하면 임도고개에서 6~7분후 소여리 방향과 이어진 능선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가면 등산로는 매우 좋아지며 잠시 평탄하게 이어지다가 가파르게 올라 감우리 방향과 이어지는 능선에 닿아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이 된다. 잠시 가파르게 오르면 해발 약365봉을 지나 삼각점이 있는 385.3봉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이 급격히 꺽여서 내려선 후 잠시 오르면 해발 약370봉에 닿고 여기서 내려서며 우측 아래로 임도가 보이고 좀 더 진행을 하면 우측으로 상당히 큰 면적이 벌목지다. 어쨌든 벌목을 하여 조망은 확 트여 다음에 가게 될 가섭산이 마주보이고 안쪽 능선으로 이어지는 임도길이 잘 닦여진 것을 볼 수 있다. 벌목지 옆 능선을 따라가니 그전에 벌목을 하기전보다 한결 수월하게 진행이 된다. 10여분을 벌목지 능선을 따라 가면 벌목지 가장 끝지점 높다란 봉에 닿는다. 해발 약350m로 이봉에서 능선은 우측으로 급격히 꺽이며 내려서기 시작하여 좌측으로 다시한번 능선이 꺽어지는 부분부터 철조망이 나온다. 철조망이 쳐져 있는 능선을 따라 6~7분을 더 내려서면 사정고개로 고개 우측 아래로 민가가 한 채 보인다. 이 임도는 용산리에서 삼성목장을 거쳐 반대편 사정리로 이어진다. 오늘 사정고개에는 여러명의 사람들이 있다. 무엇을 하는 분들인가 살펴보니 벌목을 하시는 분들로 보인다.
안부 이정표(6.23km, 약475m) 11:01
사정고개에서 전에 부용산으로 오를 때 약은 꽤를 부려 임도를 따라가다가 고생을 한 경험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임도를 따라 조금 가다가 낮은 곳에서 능선으로 오른다. 능선에 올라서면 철조망이 쳐져 있다. 철조망 옆을 따라 오르면 10여분이 못되어 철조망은 계곡 아래로 이어지고 능선으로는 길이 좀 더 좋아 진다. 능선으로 간벌을 하여 전보다 길이 좋아 졌지만 역시 이곳으로 오르는 지점이 가파르기 때문에 싶지가 않은 곳이다. 능선에 가까워지며 좌측으로 샛길이 있지만 다음번 생각을 해서 우측 길을 따라 가파른 경사지를 치고 오르면 가섭지맥 분기봉에 닿는다. 다음번 가섭지맥을 할 때는 어느 곳으로 올라야 가장 수월할지를 곰곰이 생각을 해본다. 아마 궁도장길이 가장 편하지 않을까 싶다. 분기봉에서 잠시 내려서면 이정표가 있는 안부에 닿는다. 이정표에는 삼성목장 0.5km, 궁도장 1.5km, 정상 2.2km가 적혀 있다. 사정고개에서 트랭글로 보았을 때 대략 1km 거리다. 가섭지맥 분기봉에서 궁도장까지는 1.4km거리다.
부용산 정상(정상석3개, 8.46km, 644.3m) 11:56 ~12:01
안부에서 오르기 시작하면 비슷한 높이의 봉 3개가 연달아 있다. 해발 약493봉과 똑 같은 높이의 봉을 지나 이보다 조금 낮은 봉을 지나 안부로 내려서서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해발 약475봉에 올라서고 거의 평탄하게 이어지다가 조금 올라서면 해발 약503봉으로 여기에 이정표가 있다. 궁도장 2.5km, 전망대 1.3km, 주막거리 1.4km가 적혀 있다. 예전에 반기문 생가에서 오르기 시작하여 큰산~보현산을 거쳐 부용산에 오른 후 다시 되돌아 와서 여기 주막거리로 하산을 한 적이 있다. 그때 마지막 부용산으로 오를 적에 몹시 힘들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제 내려서기 시작하면 사정리와 용산리로 내려서는 지점의 안부고개에 닿는다. 사정리 1.8km, 용산5리 1.2km, 궁도장 2.9km, 정상 0.8km가 적혀 있는 이정표가 있다. 이제 여기부터 부용산으로 오르는 길이 가파르고 험하다. 바위지대에 로프가 매여 있고 가파른 지역에 5번 정도의 로프지대를 더 올라서면 의자가 설치된 커다란 소나무가 있는 쉼터에 닿는다. 이제 여기부터는 능선이 완만해지며 산불감시카메라가 있는 지점을 지나 좀 더 오르면 부용산 정상이다. 정상에는 3개의 정상석이 있으며, 삼각점, 산불감시초소, 등산안내도가 있다. 부용산 정상에서 하산로는 여러 군데로 있다. 사정리, 오생삼거리, 육령리, 충주방향, 우리가 올라온 음성 방향등이다.
임도위 산소 12:45 ~13:08 (중식)
정상에서 우리가 내려서야 할 길은 우측편 충주방향이다. 오생삼거리 방향으로 길이 좋지만 이 길은 지맥 길에서 벗어난 길이고, 충주방향으로 내려서다 다시 방향을 틀어야 한다. 첫머리 가파른 지점을 내려서면 이후로는 크게 어려운 곳은 없이 충주방향으로 길이 좋다. 10분후 능선이 좌측으로 꺽이는 봉에서 좌측으로 능선을 따라 2~3분을 진행하면 능선 좌측으로 표지기가 몇 개 붙어 있는 지점이 나온다. 이곳에서 좌측 사면으로 내려서야 한다. 충주로 가는 길은 좋은 반면 여기서 지맥 길은 표지기만 있을 뿐 길이 안 보인다. 대충 사면을 따라 내려서면 길인 듯 아닌듯한 능선을 따라 내려서게 된다. 10여분을 이렇게 내려서면 능선으로 길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산소가 있는 지점에 닿는다. 산소에서 약간 좌 방향으로 확실한 길을 따라 내려서면 좌측 편에 산소군이 보이고 능선으로 길은 좋다. 산소에서 6~7분을 내려서면 좌, 우측으로 민가가 가까이 보인다. 좌측은 오생리, 우측은 수월리로 곧 양쪽으로 내려서는 안부가 나온다. 안부를 지나 좀 더 가면 예전에 많이 넘어 다녔을법한 널찍한 안부가 나오는데 다닌 흔적은 안 보인다. 안부를 지나 잠시 올라서 평탄한 능선을 따르면 2분후 좌측으로 방향이 살짝 꺽이고 다시 2분여를 가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292봉에 닿는다. 삼각점 안내문이 있다. 삼각점봉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는 지점에서 능선으로 올라서서 조금 더 가면 세멘포장이 되어 있는 고개로 내려선다. 이 고개는 오생리 수용마을과 수월리 새터마을 잇는 고개로 우리는 세멘포장길을 넘어 산소가 있는 양지바른 능선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납골묘위 봉(11.8km, 약247m) 13:34
양지바래기 묘지군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우측에 있는 수월리 새터말 마을길로 내려와 마을 안길을 따라 나오면 앞쪽으로 주덕, 신니면에서 생극, 무극으로 가는 큰 도로변에 닿는다.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못고개 표지석이 보인다. 좌측으로는 오생삼거리가 위치하고, 우측으로는 오생교차로가 위치한 중간지점이다. 못고개에서 길을 건너면 우측 편으로 버스정류장이 있는 곳으로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라 오르면 묘지가 있는 곳에 닿는다. 묘지가 있는 능선으로 올라서면 이곳은 사방으로 온통 도로가 지나며 절개지 아래로 공장이 있다. 앞쪽으로 공장과 고속도로를 지나 능선이 이어지며 그 뒤편으로 수레의 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저기 까지 가는 것이 오늘의 관건이다. 산소에서 우측아래 공장지대 위쪽 절개지를 따라 난 도랑을 따라 간다. 도랑을 지나 언덕에 올라서면 앞쪽으로 절개지가 나오며 그 아래로 공장건물이 있고 널찍한 평탄지가 나온다. 절개지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 우측 아래도 공장지대이며 절개지로 되어 있다. 절개지를 따라 좌측편 공장지대 널찍한 대지로 내려서서 가면 고속도로 위쪽 절개지에 닿는다. 고속도로 절개지와 우측 공장 절개지의 모서리를 따라 내려서면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는 주덕, 신니면에서 생극 장호원으로 이어지는 널찍한 중원대로에 닿는다. 고속도로 아래 중원대로를 차가 없는 틈을 이용하여 건넌 후 고속도로 북쪽편의 절개지를 따라 오르면 능선으로는 정말 지독한 가시밭길이 나온다. 가시밭길을 헤치고 전진을 하면 우측으로 3개의 납골묘가 보인다. 묘지위 능선의 가시밭길을 따라 조금 높다란 봉에 닿으니 해발 약247봉이다. 고속도로 절개지에서 이곳까지가 가시밭길로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쉼터 삼거리(14.05km, 약510m) 14:36
납골묘지 위쪽 봉에서 조금을 지나면 능선으로 길이 나온다. 좌측으로 여러채의 빨강지붕의 건물들이 보이는 곳은 기도원이 아닌가 싶고, 좀 더 지나면 좌측으로 벌목지가 나온다. 벌목지에서 좌측으로 꺽이는 지점의 290봉을 지나면 우측으로 연수원 건물이 보이고, 좌측으로 빠지는 길이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삼거리에서 잠시 내려서면 안부사거리로 좌측은 북각동으로, 우측은 모남리로 하산을 하게 되며 이곳에서 올라서며 등산로는 매우 좋아져서 6~7분을 능선을 따라 가면 좌측 골프장에서 친 전기철선이 나온다. 철선을 따라가면 5분이 지나 좌측 골프장과 우측으로 연수원으로 내려서는 안골고개에 닿는다. 이곳을 지나고 나면 이제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여 굵직한 소나무가 울창한 지대를 지나 드릅나무 군락지를 지나고 좌측으로 보이는 산소가 있는 지점을 지나 좀 더 가파르게 오르면 의자가 등산로 양쪽으로 놓여 있는 쉼터 삼거리에 닿는다.
수레의 산 정상(14.94km, 679.4m) 15:07 ~15:20
쉼터삼거리를 지나며 우측 능선 아래로 골프장이 보이기 시작한다. 수레의 산으로 오르는 능선 양쪽으로는 골프장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잠시 오르면 바위가 있는 해발 약530봉을 지나 잠시 내려서서 안부에 닿은 후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이곳이 오늘 산행 중 가장 어려운 곳이 아닌가 싶다. 부용산을 오를 때는 그곳이 가장 힘들었던 같았는데 그곳 보다 수레의 산으로 오르는 이곳이 더 힘이 든다. 수북히 쌓인 낙엽으로 한겨울 눈길을 헤치고 가는 것처럼 푹푹 빠지고 미끄러지고 보통 힘든 것이 아니다. 경사도도 만만치가 않다. 온힘을 쏟으며 안부에서 25분가량을 올라서니 드디어 수레의 산 정상석이 좌측으로 보인다. 부용산 정상석은 3개였던 반면 수레의산 정상석은 2개다. 산림청 헬기로 세웠다는 최근의 정상석과 전에 세운 정상석이 있다. 삼각점이 있고 이정표가 있다. 묘구재 2.3km, B코스 1.1km, C코스 1.9km가 적혀 있으며 우리가 올라온 충주방향을 폐쇄라 적혀 있다. 정상에서 묘구재로 가는 길과 병풍바위로 향하는 등산로는 매우 좋다. 다음 오갑지맥 때는 묘구재에서 올라와야 할 것 같다. 정상에서 조망은 그런대로 괜 찬치만 잡목이 점점 자라 조망이 가리니 잡목을 제거 했으면 좋겠다.
497.7봉(삼각점, 16.51km) 15:59
수레의 산에서 내려서는 곳이 얼었다 녹아서 아직은 미끄럽다. 5분여 진행하면 해발 659봉으로 이정표가 있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 코스가 B코스로 0.78km, 수레의 산정상은 지워졌고, 병풍바위가 0.52km 적혀 있다. 이봉에서 내려서서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성터가 허물어진 봉으로 해발 641m의 오갑지맥 분기봉이다. 여기서 좌측으로 솔고개를 지나 원통산에서 좌측으로 가면 오갑지맥이고, 우측 국망봉 쪽으로 가면 원통지맥 또는 국망지맥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서서 부용지맥 길로 향한다. 분기봉에서 첫머리 내려서는 지점이 매우 가파르다. 또한 등산로가 썩 좋은 편은 아니라서 가끔씩 나뭇가지가 걸리고 낙엽이 많이 쌓인 곳이 있다. 우측으로 골프장이 보이고 좌측으로 법동마을이 보인다. 이후 회문리와 법동리를 잇는 안부사거리를 지나 7분을 더 가면 삼각점이 있는 497.7봉이다. 나뭇가지 높은 곳에 표지판이 붙어 있다.
능안고개(숭선고개, 19.3km, 약265m) 17:01 ~17:08
삼각점봉에서 능선을 따라가면 우측으로 골프장이 보이고 10여분 후 해발 약494봉을 지나고 산 아래 고속도로가 지나는 신니면 위쪽의 신덕저수지가 보인 후 38번 송전탑이 있는 해발 약492봉을 넘어서면 우측 산 아래 나뭇가지 사이로 회문저수지가 보인다. 이후 좀 더 가면 능선에 큰 바위가 나오고, 좌측으로 법동리를 지나 국망봉이 보이기 시작한다. 우측으로는 음성뒷산인 가섭산이 조망이 되며 해발 약475봉인 좌꺽임봉에서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내려서는 곳이 가파르다. 급경사지대를 내서면 법동리 쪽으로 벌목을 하여 시야가 확 트인다. 벌목지위를 지나는 임도를 따라 잠시 가면 임도는 법동리 쪽으로 빠지고 잠시 후 웃고개에 닿는다. 이곳부터 서서히 올라서 해발 약373봉에 닿고 널찍한 안부고개에 닿치만 여기서는 양쪽으로 내려서는 길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움푹패인 함몰지를 지나 방향이 좌측으로 꺽이는 해발 약320봉에서 능선을 따르면 앞쪽으로 절개지가 나오며 절개지의 우측을 따라 내려서게 된다. 여기 내려서는 지점에 드릅나무가 많고 곧 능안고개에 닿는다. 또한 숭선고개라고도 하는데 신덕저수지 방향으로 숭선사지 당간지주가 있어 숭선고개라 하는 것 같다. 반대편 언덕 높다란 곳에 자리 잡은 건물은 평화의 집이라고 하는 곳으로 숭선골이라 한다. 이곳에서 잠시 쉬었다 산행을 이어간다.
419봉(20.57km) 17:40
능안고개에서 우측으로 오르기 시작하여 능선에 닿은 후 오르기 시작하면 7~8분후 송전탑이 있는 곳에 닿는다. 이후로는 송전탑을 세우며 닿은 임도가 아직도 남아 있어 진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8분을 진행하면 해발 377봉이 나온다. 이봉에서 우측으로 거의 직진방향으로 가니 능선이 끝나는 앞쪽으로 채석장이 있다. 다시 옆으로 돌아서 좌측 능선에 붙여서 진행을 하면 철탑 길을 따라 앞쪽에 보이는 높다란 봉으로 오른다. 이봉에 오르면 나뭇가지에 414.4봉이라 적어서 걸어 놓았다. 지도에 419봉으로 표시된 곳이다.
한흥건철앞(23.30km) 18:45 ~18:49
419봉에서 6분을 가면 송전탑이 나온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능선이 이어지고 13분을 더 가서 송전탑이 있는 봉에서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철탑 길을 따라 안부사거리에 닿고 여기서 올라서면 조망이 좋은 송전탑이 있는 봉에서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능선은 우측으로 둥그렇게 원을 그리듯 이어진다. 이후 앞쪽으로 고속도로가 나오며 고속도로 절개지를 따라 좌측으로 내려서면 과수원이 있는 곳에서 고속도로 굴다리를 지나게 된다. 이후 한번 더 굴다리를 지나면 농업법인 건물이 나오고 건물을 돌아가면 널찍한 마당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복숭아과수원이 있다. 과수원으로 올라서면 곧 능선에 올라서고 조금 진행하면 신니면에서 노은 쪽으로 이어지는 신도로 절개지에 닿는다. 절개지를 따라 내려서서 신도로를 건넌 후 다시 절개지를 따라 오르면 절개지 수로 변으로 복분자가시와 아카시아 나무가 많아 거리는 짧지만 애로를 많이 겪는다. 절개지를 다 오르면 나지막한 봉으로 앞쪽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평택~제천간 고속도로 중계지점으로 도로가 매우 복잡하게 뒤엉켜 있는 것이 보인다. 이곳에서 능선을 따라 조금 가면 곧바로 덕고개로 내려서게 된다. 신도로와 덕고개 사이 짧막한 길이 좋지 않으니 도로를 따라 덕고개로 가는 편이 좋겠다. 여기 능선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이렇게 하여 덕고개에 닿은 후 우측 신니면 쪽으로 조금 내려서면 한흥건철 공장앞 널찍한 곳이 있다. 이곳에서 덕고개에 닿기 전 수배를 한 신니면 택시를 기다려 잠시 후 도착한 택시를 타고 신니면 버스정류장에 도착하니 택시비 7000원이다.
신니면 버스정류장에서 주덕으로 가는 19시 버스시간에 맞추어 정확히 산행을 맞추고 택시로 이동하여 무사히 주덕역에서 청주방향으로 가는 19시 28분차를 탈수 있게 됐다. 정류장에서 5분을 기다리니 19시 버스가 2분전에 도착을 하여 우리 둘을 태우고 주덕역 앞에서 내려준 후 빈 버스로 충주로 향한다.
요즘 시골버스 종종타고 산행을 하는데 미안할 정도로 손님이 없다. 운영비야 우리가 내는 세금으로 채운다고 해도 이러다가 아예 버스가 없어지지 않을까 심히 염려가 된다.
오늘 산행 거리에 비해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예상 밖으로 산행이 어려웠다.
다행히 예상한 열차는 탈수 있었지만 조금만 늦장을 부렸드라도 막차를 타야했다.
함께한 적막님 오늘도 수고 많았습니다.
감사 혀유~~~
산행시간 : 10시간 10분 소요
산행거리 : 23.30km
청주역 ~음성역 열차비 : 3100원
음성역 ~감우리 큰곰집앞 택시비 : 1만원
덕고개 ~신니면 버스정류장 택시비 : 7000원
신니면 ~주덕역 버스비 : 1300원
주덕역 ~청주역 열차비 : 3800원
~~~~~~~~~~~~~~~~~~~~~~~~~~~~~~~~~~~~~~~~~~~~~~~~~~~~~~~~~~~~~~~~~~~~~~~~~~~~~~~~~~~~~~~~~~~
부용지맥1구간 보현산~부용산~수레의산
갈 때
청주~음성 ; 6:20, 6:41, 6:55,7:00,7:02,7:16, 7:30, 7:40등 1시간 5분소요 50.6km 5900원
청주역 ~음성역 : 6:47(오송 6:40)~7:24, 7:41(오송 7:34)~8:17, 8:27~9:04등 3100원
천안아산 ~오송 : 6:24~6:36, 6:48~7:01, 7:20~7:31
음성역 ~감우리 큰곰집 : 약 7km(음성택시 :043-873-8001,0111, 872-3078)
올 때
덕고개~주덕역 : 11km, 덕고개~노은 : 2.3km,
주덕택시 : 043-855-4121, 846-0004, 846-6317, 신니택시 010-5482-0080, 043-852-4435
노은~주덕: 16:12~16:45, 17:07~07:40, 18:00~18:25, 19:17~29:50, 20:05~20:35,
신니(용원) ~주덕 : 17:30~17:50, 17:50~18:00, 18:00~18:10,18:40~18:50,18:50~19:00, 19:00~19:20, 19:00~19:10, 20:15~20:25, 20:35~20:45, 21:20~21:30(동락,못고개에서 3km,18:50~주덕19:10,수월리,오생2리 ~주덕역: 16:32~16:55, 17:22~18:10, 광벌,대화교차로 18:09~18:50, 20:22~20:45)
주덕역~청주역 : 17:52~18:39, 18:35~19:22, 19:28~20:16, 21:36~22:22 3800원
보현산 약수터 – 1 – 보현산 – 1.2 - 감우재 – 3.1 - 사정고개 -3.4 - 부용산 – 2.5 – 못고개 – 4.5 – 수레의 산 – 1.7 - △500.0봉 - 3 – 능안고개 – 4.2 - 덕고개
◈ 산행코스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1.8km (맥10.5km + 진입 1.3km ) . 5시간
충북 음성군 감우리 구 37번도로-한남금북정맥 승주고개-부용지맥 분기봉(477m)-감우재(37번 신,구도로)-385.3m봉-사정고개-가섭지맥분기봉-503m봉-부용산(644.3m)-294m봉-못고개(82번도로).
◈ 산행코스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2.8km . 5시간
충북 음성군 무극면과 충주시 신니면 경계인 못고개(82번도로)-3번국도-290m봉 -530m봉- 수레의산(679.4m)-오갑지맥분기봉인병풍바위(641m)-500m삼각점봉-웃(윗)고개-숭선고개(능안고개.9번군도)-419m봉-음성제천고속도로-덕고개(49.82번도로).
부용지맥 1구간(분기점~3번 국도)
[분기점/×477-(1.1/26)-감우재/377국도-(1.35/30)-△385.3-(0.65/14)-×362분기-(0.35/9)-사정고개-(0.95/28)-×497/가섭지맥분기-(0.3/14)-×389분기-(0.6/9)-×503-(1.2/33)-부용산-(0.45/9)-×467분기-(0.9/27)-×310-(0.85/14)-못고개/82국지도-(0.75/15)-3번 국도]
도상거리:11.1km (지맥:9.75km,접근:감우리-0.85-승주고개-0.5-분기점)
소요시간:6시간
[3번국도-(0.7/20)-×290-(0.75/19)-안골고개-(1.1/26)-×531-(0.75/24)-수레의산-(0.85/16)-×639-(0.7/21)-△497.7-(1.75/44)-윗고개-(0.25/8)-×374-(0.6/28)-숭선고개/능안고개-(1.25/39)-×414-(0.9/17)-×313-(1.0/33)-평택.충주고속도로-(0.4/14)-덕고개 약11km 5시간 40분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26 부용지맥2 덕고개~매방채산~남산~자주봉산~햇골산~평풍산~송수산~삼봉~수용골산 2016.03.21.월요일 맑음 (1) | 2023.01.22 |
---|---|
0925 이천,음성 백족산~도투미산~임오산~조족봉~팔성산~이진봉~두껍바위산~용바위산~칠성산 2016.03.19.일요일, 맑음 (0) | 2023.01.22 |
0923 보성,순천 제석산~시루봉 2016.03.13.일요일 흐린후 약한비 (2) | 2023.01.22 |
0922 만뢰몽각단맥 바라박산~매봉산~동성산~광덕산~몽각산 2016.03.09..수요일 맑음 (1) | 2023.01.22 |
0921 괴산 도명산(시산제) 2016.03.05.토요일 흐림 (1)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