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성주봉~주부산~통점재~천덕산~바루봉~청룡봉
성주봉650m, 주부산678m, 천덕산 673.7m, 바루봉 452.2m, 청룡봉172.4m
2013.5.18.토요일. 맑음
참석인원 ; 나홀로
청주출발 23:40 -조치원역 0:05 ~0:13 -여수역 3:45 ~6:00 -곡성역 6:52 -도보 -곡성터미널 7:05 ~7:10 -(압록,고치리 죽곡 봉성 신풍행 버스 2800원) -봉성마을 정류장(죽성마을) 8:02 -약 415봉(1.98km) 8:52 -약 465봉(2.34km) 9:01 -좌측으로 신풍마을 보임 -약 485봉(2.88km0 9:12 -산소(3.06km) 9:17 -좌측으로 조망(약553m, 3.25km) 9:25 -가파르게 올라 약 598봉(3.37km) 9:30 -바위1(통명산 조망) -바위2(구성재,동악산 조망) -산소(약 623m, 3.55km) 9:38 -성주봉(650m, 3.65km) 9:43 ~9:50 -약 665봉(3.88km) 9:55 -주부산(678m, 4.38km) 10:06 ~10:10 -분기봉(약 670m, 4.83km) 10:19 -뱃듬재 삼거리 이정표(우측으로,512m,6.23km) 10:56 -통점령 임도(7.75km) 11:29 -전망대(8.19km) 11:36 -통점령 위봉(약 605m, 8.37km) 11:53 -헬기장 (약 610m, 8.78km) 12:01 -삼각점봉(617.3m, 9.88km) 12:27 ~12:45(중식) -안부 산소(배롱나무, 약 535m, 10.3km) 12:52 -약 540봉(10.6km) 12:58 -가파르게 올라 - 약 633봉(소나무, 10.8km) 13:07 -여기부터 평탄한길(가는 나일론줄) -약 619봉(철조망시작, 압록쪽 능선 분기봉, 11.3km) 13:18 -철조망 옆 따라 -약 616봉(철조망 끝, 11.9km) 13:38 -안부로 내려섰다 올라서면 -651봉(12.2km) 13:46 -약 668봉(우측은 봉정저수지, 좌측으로 보이는 봉이 천덕산, 12.5km) 13:52 -급경사 내리막길(약630m) -서서히 올라 바위 전망대(약660m, 12.9km) 14:08 -천덕산(673.7m, 13.0km) 14:10 ~14:15 -642봉(13.3km) 14:20 -636봉(13.5km) 14:24 -가파른 내리막 약 4분 -완만한 등산로 -약 465봉(14.5km) 14:54 -바루봉(452.2m, 14.8km) 15:00 -약 435봉(15.5km) 15:24 -능선안부 사거리(좌 남양리, 우 화양마을, 약 383m, 15.8km) 15:33 -약 390봉(우측으로, 16.1km) 15:38 -산소(약 243m, 16.7km) 15:51 -임도고개(세멘포장, 큰 굴참나무, 약 170m, 16.9km) 15:56 -약 180봉(17.2km) 16:02 -청룡봉(삼각점, 179m, 17.5km) 16:07 -도로(18.6km, 약 54m) 16:26 -태평교 -죽곡삼거리(18.9km) 16:29 -버스(압록,곡성 2400원) -곡성역앞 17:00 -곡성역 17:02 ~17:36 -조치원20:22 -청주도착 20:55
~~~~~~~~~~~~~~~~~~~~~~~~~~~~~~~~~~~~~~~~~~~~~~~~~~~~~~~~~~~~~~~~~~~~~~~~~~~~~~~~~~~~~~~~
남도 제일1의 비경 천덕산을 소개합니다(김인수님이 쓰신글임)
남도의 모든산들을 관망 할 수 있는 곳. 곡성 천덕산을 소개합니다.
천덕산 정상에서는 전북 덕유산. 지리산 천황봉 .광양 백운산. 순천 삼산. 송광사 조계산.
화순 백아산. 영암 월출산. 광주 무등산 등을 한눈에 볼수 있는 곳입니다.
모든 등산로에 기점은 와룡 노송이며
제1코스 : 대숲능선길 1.2Km.(1시간)
제2코스 :폭포 습지길 1.6km (40분)
천덕산 완주코스는 4.2km 2시간 30분정도 소요 됩니다.
등산로 소개:
대숲능선길은 천덕산 정상을 가장 빠른 시간에 등반을 할 수 있는 코스이며
소요시간은 오름 산행 1시간정도 소요되고 내림산행은 40분정도 소요됩니다.
정상에서 북쪽 능선길을 경유하여 폭포 습지길로 하산 할 수도 있으며 소요시간은 정상에서
와룡노송까지 두 시간 반 정도 소요됩니다.
폭포 습지길은 명주 실폭포와 와룡습지를 탐방 할 수 있는 산책로 형태의 간단한 등반코스입니다.
와룡마을과 천덕산은 30년 넘게 사람들이 살고 있지 않고 자연에 충실한 곳이며 등산로 외에는 출입을 삼가고 또한 각종 임산물 농산물은 절대 손을 되면 안 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천덕산 아래에는 많은 마을이 형성되어 있는데 와룡마을이 고향인 분들이 많습니다.
천덕산 등산로에 기점인 와룡노송 주소지는 전남 곡성군 죽곡면 남양리 15 번지 .이며 미리 연락을 하고 오시면 5월 한달 동안은 등산로 시작하는 곳 까지 안내 할 계획입니다.
연락처 (와룡 민박) 016-558-0564. 010-4030 -8669
~~~~~~~~~~~~~~~~~~~~~~~~~~~~~~~~~~~~~~~~~~~~~~~~~~~~~~~~~~~~~~~~~~~~~~~~~~~~~~~~~~~~~~~~~~~~
청주출발 23:40
먼 저번에 곡성역에서 부터 시작하여 천덕산~곤방산~주부산~통명산~양천곡산 능선따라 구성저수지까지 다녀온 후 이번에는 죽곡면으로 들어가 성주봉~주부산~통점재~천덕산~바루봉으로 해서 죽곡 까지 돌아보려 한다.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간단히 산행 준비하여 집을 나선다.
곡성역 6:52
조치원역에서 0시 13분차를 타니 대만원이다. 초파일부터 토, 일요일 까지 황금연휴라고 한다. 열차선반에는 배낭이 가득하고 카페칸이고 승강대부근이고 발 디딜 틈도 없이 가득 찼다. 이차가 구례구역에서 지리산으로 갈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대의 열차라 주말이나 연휴 때는 항상 붐비는 차다. 서대전을 지나고 논산을 지나 카페칸에 한자리 구해 쪼그리고 앉아 가다 구레구역을 지나 편안히 여수 까지 갔지만 이번같이 고생 한 적은 드믈다. 여수역에 내려 한 시간여 의자에 앉아 못 잔 잠을 채우고 5시경부터 아침식사 준비하여 아침 먹고 양치 세면하고 나니 6시가 다된다. 이제 6시 여수를 출발하여 익산까지 가는 열차를 타고 다시 곡성으로 올라간다. 가면서 30여분 졸고 나니 내릴 걱정에 잠이 가신다. 이윽고 곡성역에 정시 도착 역 앞으로 나가니 좁은 역 광장에 공사가 한창이라 매우 복잡하다.
곡성터미널 7:05 ~7:10
곡성역에 내려 곡성터미널까지 걸어서 간다. 곡성터미널에서 7시 15분 수곡으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서다. 목사동면에서 죽곡 까지 택시를 타고 갈까 걸어서 갈까 머리를 굴리며 가다보니 곡성터미널이다. 곡성터미널 시간표를 쓰윽 훍어 보니 오호라 7시 15분 수곡으로 가는 버스 말고도 압록 고치리 죽곡 신풍으로 가는 7시 10분 버스가 있다. 현재시간이 7시 8분 버스가 들어오는 곳을 눈이 빠져라 쳐다보고 있자니 버스가 한 대 들어온다. 기사님에게 물어 보니 이차가 맞다고 한다. 버스는 금시 돌아서 신풍으로 향한다. 운이 참으로 좋은날이다. 죽곡 신풍은 석곡으로 가는 차와 압록 쪽으로 가는 차가 두 방향으로 있는 것이다.
봉성마을 정류장(죽성마을) 8:02
곡성터미널에서 7시 10분 출발한 버스는 곡석읍 중간을 지나 곡성역앞 사거리를 지나 오곡면으로 간다. 굳이 터미널 까지 가지 않아도 되었던 것이다. 신풍까지 1시간 10분이 소요된다고 되어 있으니 봉성마을까지는 1시간이면 가지 않겠나 싶나 버스는 섬진강변을 따라 압록 쪽으로 간다. 섬진강 레일바이크, 저번에 다녀온 곤방산으로 오르는 심청마을도 보이고,
목재로 잘 지은 레일바이크의 끝 역인 가정역 이곳 앞쪽으로 섬진강 출렁 다리를 건너 청소년야영장에는 많은 캠핑족들이 몰려 있다. 통점재에서 내려온 봉조리로 들어가는 곳을 지나 압록 삼거리에서 다리를 건너기전 우측으로 냇가를 따라 들어가면 보성강으로 이 강줄기는 주암호까지 이어진다. 강옆 경찰승전탑이 보이고 사계절횟집을 지나 버스는 잠시 좌측으로 강을 건너 고치리라는 마을로 들어간다. 고치리에서 시간이 남는지 몇 분간을 머문 다음 마을 노인 3분을 태우고 다시 나와 원달리 태안사로 들어가는 태안삼거리를 지나 하산 중에 있을 천덕산에서 내려올 수 있는 남양마을을 지나 버스는 죽곡면에 닿는다. 죽곡면에서 우측으로 좁은 도로를 따라 들어가면 화양마을을 지나 버스는 봉성마을에 닿는다. 노인들 세분은 이 버스의 종점인 신풍으로 가고 난 이곳에서 내린다. 이 버스는 올 때는 고치리를 들르지만 나갈 때는 들르지 않기 때문에 노인들은 신풍리 까지 간 후 다시 나와서 곡성까지 가는 분들인 것 같다.
약 415봉(1.98km) 8:52
봉성마을에 내리니 완전 시골이구나 싶다. 이곳에 내려서 앞쪽을 살피니 좌측 제각 쪽으로 높아 보이는 봉 쪽으로 가야 성주봉인 듯싶고, 우측 긴 능선에 높은 산이 천덕산 인 것 같다. 즉 오늘산행은 봉정마을을 한 바퀴 돌아서 오는 것이다. 버스 정류장 앞 구멍가게 노인할아버지에게 성주봉가는 곳을 물으니 제각 옆으로 가면 된다고 한다. 제각 옆 삼거리에서 신풍 쪽으로 오르는 길옆으로 죽성마을비가 있고, 그 위쪽에 경로당이 보인다. 다시 제각으로 돌아와 제각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봉성마을 쪽으로 간다. 몇 분간 들어가니 성주봉 능선 쪽으로 들어가는 농로길이 보인다. 이 길을 따라 들어가면 세멘포장이 끝나는 곳에서 우측은 산소로 오르는 길, 좌측은 능선으로 오르는 길이다. 좌측 능선으로 오르니 능선 넘어에 잘 가꾼 산소들이 보인다. 능선에는 죽성마을 쪽으로는 길이 있지만 이곳부터는 성주봉으로 오르는 길은 없다. 조금 전 세멘포장이 끊기는 곳에서 우측 산소 쪽으로 올라야 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내려 갈수는 없고 능선을 따라 치고 오르니 10여분 후 성주봉으로 오르는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오르면 죽성마을에서 산행시작 후 50여분 만에 첫 번째 봉에 닿는다. 죽성마을에서 높이 보이던 봉이다.
성주봉(650m, 3.65km) 9:43 ~9:50
약 415봉에서 부터는 길이 그런대로 갈만 하다. 길옆으로는 주로 소나무가 많다. 10여분을 가면 능선에 가끔씩 바위들이 보이고 나서 약 465봉을 지난다. 이곳을 지나며 능선 좌측으로 나뭇가지 사이로 신풍마을이 보이고 반대편 능선으로 나중에 죽곡면에서 부터 시작하여 고장산 장군봉 통명산으로 산행을 할 능선이 보인다. 지루한 감이 들 정도로 능선을 따라 가면 약 485봉에 닿고, 여기서 5분후 능선에 산소가 하나 있다. 산소를 지나 오르면 우회길이 있는 곳에서 그냥 능선을 따라 올라 가면 산소에서 8분후 좌측으로 신풍마을이 내려다 보이는 조망이 확 트이는 곳이 나온다. 이곳을 지나 능선길은 가파르게 올라서게 되며 5분 후 약 598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잠시 후 첫 번째 바위가 나오면 앞쪽으로 통명산이 보이고, 두 번째 바위에서는 구성재와 그 뒤편으로 동악산이 보인다. 처음엔 이곳이 성주봉이 아닌가 했지만 성주봉은 이곳에서 더 가야한다. 큰 바위가 있는 곳을 지나 봉분아래부분에 큰 돌로 쌓아 올린 산소가 있는 곳을 지나 5분을 더 오르면 하늘이 뻥 뚫리는 곳이 나온다. 이곳이 성주봉인 것이다. 성주봉 정상은 산소가 차지하고 있다. 정상석으로 보이는 것은 비석이다. 성주봉에서는 조망은 좋다. 죽곡면 쪽으로 확 트여서 시야가 너무 좋다. 천덕봉과 성주봉 사이 좁은 골 사이로 봉성마을이 보이고 산행을 시작한 죽성마을과 그 끝으로 목사동면 위쪽의 신유봉이 높이 솟아 있는 것이 보인다. 좌측으로 천덕봉 능선도 잘 보인다.
주부산(678m, 4.38km) 10:06 ~10:10
성주봉에서 능선을 따라 가면 주부산은 그리 멀지 않다. 5분후 약 665봉을 지나 한번 살며시 내려선 후 올라서면 주부산이다. 성주봉에서 주부산 까지는 16분이 소요되었다. 거리 약 700m 정도가 나온다. 주부산은 저번에 들렸던 봉으로 조망은 잡목에 가려 없다.
뱃듬재 삼거리 이정표(우측으로,512m 6.23km) 10:56
주부산에서 10여분 가면 분기봉이다. 해발 약 670m로 이곳은 통명지맥길에서 주부산, 성주봉으로 갈리는 곳으로 이정표도 있다. 좌측 통명산 쪽으로 구성 신풍재 1.5km, 우측 통점재쪽으로 오곡 미산 7.8km, 지금 온 쪽으로 주부산 0.5km가 적혀 있다. 분기봉에서 부터는 저번에 곤방산에서 부터 온 길이 되겠다. 가면서 고사리가 많은 곳이 몇 군데 있어 꺽으며 가니 시간이 지체가 된다. 1.5km 거리를 40여분이 걸려 도착을 한다. 능선길로 거의 평탄선길이라 20여분이면 족 한곳이다. 여기 삼거리에도 이정표가 있다. 구성 신풍재 2.9km, 통점재 쪽인 오곡 미산 6.4km(오곡면 미산리 덕양서원 위쪽 마을), 좌측 능선 쪽으로 오곡 구성 2.3km(오곡면 구성리 구성저수지 위쪽 마을)가 적혀 있다.
통점령 위봉(약 605m, 8.37km) 11:53
삼거리에서 우측 능선을 따라 통점재로 향하는 길이 저번에는 살며시 오름길이라 힘이 들었지만 이번에는 살며시 내림길이라 갈만하다. 가면서 우측으로는 봉정마을의 끝인 통점이란 마을이 있고, 좌측으로는 덕양서원의 위쪽 마을인 미산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약 33분을 가니 통점재로 가는 임도에 닿는다. 이곳에서 능선길은 저번에 내려온 길이라 이번에는 임도를 따라 가보기로 한다. 임도에서 보는 그림이 매우 좋다. 거미줄처럼 늘어선 임도가 계곡으로 보인다. 그 끝으로 미산마을이 보이며 곡성읍내까지도 보이는 곳이다. 7분을 걸어 올라가니 통점재 전망대에 닿는다. 전망대 위로는 가파른 사면에 철쭉이 이쁘게 피어 있다. 전망대 위 통점재 이정표에는 자전거 도로 임도구간 봉조방향 3.2km, 미산방향 1.9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임도를 따라 올라가지 않고 철쭉이 피어 있는 절개지 사면을 타고 오른다. 혹여 취나물이 있지 않을까 해서다. 가면서 다행히 한 움큼 꽉 잡히게 뜯었다. 이곳에서도 10여분은 더 걸렸을 것이다. 곧 통점재에서 가장 높은 곳 산소가 있는 봉에 닿는다. 이곳에서 천덕산 쪽은 통명지맥길의 연속이며, 통점령 쪽으로는 곤방산으로 가는 길이다. 이봉이 곤방산 분기봉이 되겠다.
삼각점봉(617.3m, 9.88km) 12:27 ~12:45(중식)
통점령위 분기봉에서 천덕산으로 향하는 길 좌측 사면으로 벌목을 하여 훤이 트여서 통점령 넘어 곤방산이 가까이 보이며 봉조리 쪽으로 내려가는 임도길이 간간이 보이기도 한다. 좋은 길을 조금 벗어나 능선길을 따라가니 예전에 헬기장이 있던 곳이다. 지금은 억새와 잡목이 자라 표시도 잘 나지 않는다. 다시 등산로로 내려와 능선길을 따라가면 우거진 숲길을 따라 지루하게 간다. 20여분 이상을 지나 한번 가파르게 등줄기에 땀을 흠벅 적시며 오르면 이곳이 삼각점이 있는 617.3봉이 된다. 이곳에는 표지판이 붙어 있다. 이곳에서 잠시 점심식사를 한 후 출발한다.
천덕산(673.7m, 13.0km) 14:10 ~14:15
617.3봉 삼각점봉에서 점심을 먹고서 7분여 가면 안부에 배롱나무 2그루가 있는 산소에 닿는다. 이곳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한다. 약 540봉을 지나 가파른 길을 따라 10여분을 오르면 소나무 한그루가 서있는 약 633봉에 닿는다. 이곳부터는 능선으로 가는 나일론 줄이 쳐져 있다. 능선은 거의 평탄한길이라 무리 없이 갈만하다. 10여분을 능선을 따라 가면 높다란 철조망이 쳐져 있는 곳에 닿는다. 철조망이 높아서 넘기에도 어렵다. 이봉이 압록 쪽으로 뻗은 능선이 분기하는 봉으로 높이가 약 619m가 나온다. 이봉에서부터 철조망을 따라 가는 것이 매우 어렵다. 철조망 넘어로는 편히 갈수가 있겠지만 넘을 수가 없다. 철조망을 따라 꼭 20분을 오니 끝이 난다. 거리가 약 600m가 나온다. 철조망 안으로 고사리도 종종보이고 철조망 가로 드릅도 있으나 많이 자라서 쓸모가 없게 되었다. 철조망이 끝나고 나니 이제 좀 편히 갈수가 있다. 안부로 내려섰다가 다시 올라서면 약 651봉에 닿고, 여기서 다시 우거진 신갈나무 숲길을 따라 6분쯤을 더 가면 높이 보이던 약 668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우측으로는 봉정저수지 쪽이며, 좌측으로 보이는 높은 봉이 천덕산이다. 잠시 급경사 내리막길을 따라 안부로 내려선 다음 서서히 올라서면 바위전망대가 나온다. 처음 산행을 시작한 죽성마을이 바로 내려다보이는 곳이다. 전망대에서 천덕산 까지는 2분이면 닿는다. 천덕산에는 삼각점이 있으며 정상표지판이 있다. 이곳에서는 죽곡 쪽으로 신유봉이 마주 보인다. 신유봉아래 유봉리로 들어가는 골과 석곡으로 나가는 골이 바로 내려다보인다. 조망이 그런대로 괜 찬은 곳이다.
바루봉(452.2m, 14.8km) 15:00 -약 435봉(15.5km) 15:24
천덕산을 지나 5분후 642봉을 지나고 다시 4분을 더 가면 커다란 소나무 3그루가 버티고 있는 636봉에 닿는다. 이곳에서 내려서는 길이 가파른 길이다. 약 4분 정도를 가파른 길을 내려서면 완만한 등산로가 이어지며 숲은 우거졌지만 간벌을 한 후 치우지를 안아 길이 거의 표시가 나지를 않고 덤불길이 많아 뚫고 나가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렇게 25분 정도를 지루하게 가면 465봉을 지나 6분후 작은 잡목이 우거진 바루봉에 닿는다. 바루봉에는 삼각점이 있고 바루봉 표지판이 걸려 있다. 주위의 조망은 전혀 살 필수 없는 봉이다.
임도고개(세멘포장, 큰 굴참나무, 약 170m, 16.9km) 15:56
바루봉에서 이어지는 길도 지루하게 간다. 24분후 약 435봉을 지나고, 다시 10여분을 더 가면 능선에 양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는 곳이다. 좌측으로는 남양리, 우측으로는 화양마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부 사거리에서 5분을 오르면 약 390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우측 능선으로 가는 길이 표시가 잘나질 않치만 좌측으로 가면 안 된다. 우측으로 방향을 잡아서 내려가면 곧 길은 표시가 난다. 390봉에서 12분후 앞쪽으로 죽곡면의 대단위 콘도로 보이는 건물들이 보이며 곧 능선의 산소가 있는 지점에 닿는다. 여기서 부터는 길이 좋다. 산소에서 5분을 더 내려오니 커다란 굴참나무가 임도에 닿는다. 임도 고개 아래로는 전답이 보이며 마을도 보인다.
청룡봉(삼각점, 179m, 17.5km) 16:07
임도고개 부터는 길이 매우 좋다. 금시 닿을 것으로 생각한 청룡봉은 약 180봉을 넘어서 5분을 더 가서야 나온다. 청룡봉은 삼각점만 하나 있을 뿐 정상표지판도 없고 그 흔한 표지기도 붙어 있지 않다. 가느다란 밤나무가지에 빛바랜 표지기 하나가 나부끼고 있다.
죽곡삼거리(18.9km) 16:29
청룡봉에서 내려서는 길도 매우 좋다. 20여분 가까이 내려오면 밭이 나온다. 이곳에서 더 이상은 능선으로 갈수 없을 것 같다. 우측으로 내려가면 산모퉁이를 돌아가는 풀이 많이 자란 임도길이 나온다. 임도길을 따라 산모퉁이를 돌아가면 죽곡면으로 들어가는 태평교가 보이고 임도 끝 도로에 닿으면 죽곡면 앞쪽으로 보성강을 건너 많은 텐트들이 모여 있는 캠핑장이다. 이번 주는 캠핑족들이 곡성으로 몰린 것으로 보인다. 도로에 닿아 다시 우측으로 길을 따라가면 삼거리에 카누 타는 곳, 캠핑장 이정표가 있는 곳을 지나 하얀 꽃이 만발한 태평교가 나온다. 태평교를 건너 죽곡삼거리에 닿으니 신풍에서 내려온 버스가 막 삼거리를 돌아서고 있다. 이렇게 하여 1분도 기다리는 시간 없이 곡성으로 나올 수가 있었다. 오늘 곡성터미널부터 버스시간이 잘 맞는 것이 일진이 좋을 것으로 보였는데 역시나 나올 때도 버스 시간이 잘 맞는다. 신풍에서 출발시간이 16시 15분 16시 20인 것을 알았지만 너무도 잘 맞았다.
곡성역
죽곡삼거리에서 금시 버스를 타고 곡성을 나온다. 버스비가 2400원이다. 나올때는 고치리를 들르지 않는다. 압록을 지나 가정역을 지날 때 엄청 많은 사람들이 레일바이크를 하려고 기다리는 모습들이 보인다. 강 건너 캠핑장은 지금도 텐트가 꽉 차있다. 심청이 마을 지나고 오곡면을 지나 섬진강기차마을 부터는 차가 정체가 되어 곡성역 까지 오는데 시간이 지체가 된다. 이번 황금연휴를 맞아 엄청 많은 사람들이 몰려 든 것이다. 죽곡 삼거리에서 부터 곡성역 까지는 30분이 조금 더 걸렸으며 나 혼자서 타고 나왔다.
곡성역에서 오늘 송학가루에 먹벅이 된 얼굴을 간단히 닦고, 옷과 배낭을 털어 내는대도 한참이 걸린다. 17시 36분 용산으로 가는 열차는 곡성역 전부터 만원이다. 승강대 한구석 빈틈에 자리를 틀고 조치원역 까지 올라와 집에 도착하니 20시 55분이다.
오늘도 오지의 산 아직은 길이 그리 좋지 못한 산길을 따라 8시간 반 정도를 산행을 하였다. 통명지맥이라고 하는 곳으로 저번에 곡성역 부터 시작하여 곤방산을 거쳐서 통명산 까지 했기 때문에 통명산 부터 청룡봉을 거쳐 태평교 까지는 이어지는 지맥길은 다 훍어 본 것이다.
오늘도 더운 날씨에 산행이 만만치 않았다 그래도 무사히 마치고 나니 기분을 매우 좋다.
산행시간 : 8시간 27분(고사리 취나물 채취약 40분 포함)
산행거리 ; 18.9km
곡성~ 죽곡 봉성마을 버스비 : 2800원
죽곡삼거리 ~곡성역 버스비 : 2400원
~~~~~~~~~~~~~~~~~~~~~~~~~~~~~~~~~~~~~~~~~~~~~~~~~~~~~~~~~~~~~~~~~~~~~~~~~~~~~~~
곡성 성주봉~주부산~천덕산~바루봉
성주봉650m, 주부산678m, 천덕산 673.7m, 바루봉 452.2m, 청룡봉172.4m
조치원 0:13 -곡성 2:49 - 여수 3:45
여수 6:00 -곡성 6:52
여수 7:00 -곡성 7:52
곡성 16:53 -조치원 19:29
곡성 17:36 -조치원 20:22
곡성 18:53 -익산 19:59 ~20:17(새) -조치원 21:48
곡성 20:13 -조치원 22:48
곡성역 ~유풍관관농원입구(불노치) 12.56km
곡성역 ~죽곡면사무소 : 21km
죽곡면사무소 ~ 죽성마을회관 : 3.6km
죽곡면사무소 ~목사동면 입구 : 3.3km
목사동면입구 ~죽성마을 회관 : 7.1km
석곡면 ~목사동면입구 : 5.3km 석곡면 ~죽곡면 : 8.74km
죽곡리 ~유봉리 : 3.2km
*곡성죽곡택시061-362-4679 *목사동택시 061-362-1652 *석곡택시 061-362-3288,7733
곡성~석곡간 버스시간표
06:00 구봉 06:50 06:20 염곡 07:00 07:15 수곡 08:10 08:00 죽곡 09:15
08:40 신풍 10:10 09:40 창촌 10:40 10:20 죽곡 11:10 11:00 석곡 12:00
11:50 순환 12:30 신풍 14:00 13:00 순환고치리경유 13:40 수곡 14:40
14:40 신풍 16:15 15:30 창촌 16:50 16:10 광천 16:55 16:50 신풍
17:20 원정 18:15 17:50 경악 18:10 18:15 죽곡 19:00 순환
*석곡방면 군내버스시간표
석곡경유 죽곡/신풍행 노선은 목사동을 경유, 목사동은 석곡면 옆동네 위치한 작은면임.
*광천:석곡~주암, 구봉: 석곡~구봉, 염곡: 석곡~염곡, 창촌:송광사IC, 원정:목사동면지나
경악 : 석곡 오기전, 수곡: 목사동면 지나서
*곡성~죽곡 신풍 : 1시간 30분 소요 3100원
[곡성 → 압록 방면]
7:10(압록 고치리 죽곡 신풍), 9:10(압록 고치리 죽곡), 11:15(압록 신풍)
13:10(압록 순환 / 고치리 경유) ,14:10(압록,원달), 14:50(압록 순환), 15:30(압록,상한)
16:00(압록,원달) ,17:20(압록,원달) , 18:15(압록,신풍)
예상산행코스
봉정버스정류장 8:30 -봉정마을 -160.4봉 -487봉 -성주봉 650m -주부산△678m 11:35 → x651분기점/오곡마산6.4km,오곡구성2.4k,구성신풍재2.9km이정목 12:00 -이정목안부/통점재0.1km 12:20 -통점재 능선분기점/청송심씨묘 12:30 -x619우회 12:40 -△617.3(구례407/1985재설) 13:30 ~14:00 - 배롱나무 묘지 14:10 - x633/급오름 14:25 -x621/울타리/우 14:35 -울타리끝/능선갈림봉 15:00 -x666/좌 15:15 -천덕산(△672.0/구례21) 15:30~15:40 -오봉산/우내림 15:55 -능선복귀/분기봉 되돌아감 16:10 ~16:30 -봉 16:50 -바루봉(△454.2/구례408/1985재설)/묵은헬기장/좌 16:55 -x438사면 17:25 ~17:35 -x391/우 17:40 -밀양 김씨묘 17:53 -콘크리트임도 17:57 -청룡산(△172.4/구례438/1985재설) 18:07 -죽곡면 입구 태평삼거리/#18국도 18:25
통명지맥-2구간<불로치~통명산~진둔치~주부산~천덕산~바루봉~죽곡면>
산행거리 ; 약 20.7 Km
소요시간 ; <07:50~16;30>약 8시간40분 소요
07;50 불로치→ 09;12 통명산→ 09;59 구성신풍재(진둔치)→ 10;58 주부산(△678.4m)→12;20 통점재→ <12;30~12;45 점심식사> → x632m → 14;28 천덕산(△673.7m)→ 15;21 바루봉(△452.2m) → x436m → 청룡봉(172.4m)→ 16;30 죽곡면(태평교)
통명산~주부산~성주봉
산행코스; 10:35 불로치(27번국도 유풍관광농원입구)→마을길→10:42 능선오름→11:13 ×440봉→11:22 산불초소→×480봉→11:31 임도(시산제 및 점심50분)→12:47 이정표(통명산0.3km)→13:00 통명산△768.4m(조망)→13:04 헬기장→×701봉→×660봉→13:50 진둔치(포장도로)→×630봉→14:42 ×674봉(통명지맥 이탈)→14:52 주부산△678m→15:10 성주봉△650m(조망)→×487봉→×160.4봉→16:14 봉정마을→16:20 봉정버스정류소 도착(죽곡면 봉정리) ♧16시40분 죽곡면소재지 강빛식당에서 오리불고기 하산주 1시간10분
산행소요시간; 5시간45분
산행거리; 10.6km
10:41 주부산(x678) -11:07 x651분기점/오곡마산6.4km,오곡구성2.4k,구성신풍재2.9km이정목 -11:28~35 이정목안부/통점재0.1km -11:46~12:32 통점재 능선분기점/청송심씨묘 -12:41 x619우회 -13:10 △617.3(구례407/1985재설) -13:20 배롱나무 묘지 -13:36~40 x633/급오름 -13:51 x621/울타리/우 -14:14 울타리끝/능선갈림봉 -14:29 x666/좌 -14:44~59 천덕산(△672.0/구례21) -15:11 오봉산/우내림 -15:26~46 능선복귀/분기봉 되돌아감 -16:06 봉 -16:12 바루봉(△454.2/구례408/1985재설)/묵은헬기장/좌 -16:42~52 x438사면 -16:58 x391/우 -17:11 밀양 김씨묘 -17:15 콘크리트임도 -17:25 청룡산(△172.4/구례438/1985재설) -17:42 죽곡면 입구 태평삼거리/#18국도 -17:50~18:45 죽곡~원달~오곡면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95 춘천,화천 종류산811.1m~죽엽산859.2m 2013.5.25.토요일 맑음(폭염 서울 31°) (0) | 2023.01.06 |
---|---|
0694 양구 문바위봉 978m ~사명산 1198m 2013.5.21.화요일 맑음 (1) | 2023.01.06 |
0692 대구 삼정산~절산~통점령 802봉~홍두깨산~대밭골산 2013.5.13.월요일 맑음 (1) | 2023.01.06 |
0691 여수 개도 생금산~천제봉~봉화산, 백야도 백호산 2013.5.12.일요일 맑음 (0) | 2023.01.06 |
0690 영암 하은적봉~관봉~상은적봉~용지봉 2013.5.6.일 월요일 맑음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