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기록

0687 여수 무선산~안심산-사방산-비봉산-안양산-고봉산-봉화산~요지막산 2013.4.24.수요일 비혼후 갬

여수 무선산~안심산-사방산-비봉산-안양산-고봉산-봉화산~요지막산

무선산217m, 안심산347.8m, 사방산251m, 비봉산311m, 안양산327m, 고봉산363.7m, 봉화산372m, 요지막산 80m

 

2013.4.24.수요일 비혼후 갬

참석인원 : 나홀로

 

청주 23:40 -조치원역 0:05~0:13 -여천역 4:01(22분 연착) ~4:10 -무선초등학교 버스정류장(1.63km) 4:29 -남양APT 204동옆 무선산입구(1.85km) 4:29 -체육시설(2.08km) 4:42 -무선산 정상(2.7km) 4:54 ~4:58 -운동시설(3.19km) 5:09 -광주방송,여천교회앞(3.8km) 5:18 -심곡마을비 5:26 -유심온천앞 등산로입구((5.33km) 5:41 -능선이정표 5:47 -안심산 정상(5.93km) 5:57 ~6:03 -유심천,소호지 삼거리 6:09 -정관마을,소호지 사거리(6.49km) 6:15 -221(산소)(6.68km) 6:18 ~6:20 -다시 되돌아나와 소호지 쪽으로 -안부 이정표(사방산 0.8km, 안심산1.4km) (7.35km) 6:32 -절개지 끝부근(세멘트길) (7.72km) 6:37 -능선(8.1km) 6:44 -육각정자(이정표)(8.69km) 6:55 -사방산(8.94km) 6:57 ~7:10(조식) -알바 후 안부 (10.6km) 7:50 -  -명신주유소 (11.5km) 8:10 -성주동마을 좌측끝 하얀집위로(여기서 길 잘못들어 알바, 성주동마을 우측 옷닭집으로 가야함) -산소군(주등산로와 만남) 8:45 -전망대(13.2km) 8:53 - 헬기장( 294m, 13.4km) 8:59 -비봉산(13.6km) 9:03 ~9:13 -헬기장쪽으로 되돌아오면 조금아래 남쪽으로 길 있음 -전망바위(14.3km) 9:27 -작은 저수지 보이는 능선(14.6km) 9:33 - 185(14.7km) 9:37 -능선사거리(15.4km) 9:45 -도로(감도리,화양간 상전고개) (15.9km) 9:53 -암봉삼거리(187m, 16.7km)(좌측으로 내려서야함) 10:05 ~10:10 -안부 지나 -바위(17.3km) 10:22 -216.5(17.8km) 10:30 -2차선도로(제일타조농장 간판)(18.3km) 10:42 -세멘포장임도고개 (18.8km) 10:52 -나진공동묘지 위쪽 능선으로 -바위(19.4km) 11:10 -288(소사나무,잔바위돌)(20.1km) 11:29 -안부 편백림 -전망대(좌측으로 조망) (20.8km) 11:52 -안양산 정상(20.9km) 11:54 ~12:00 - -임도 안부 고개(21.3km) 12:10 -230(21.7km) 12:23 -묘지군 -화양고교앞(22.3km) 12:39 -좌측으로 도로 따라 가다 작은 집은 있는 곳에서 좌측편 안부고개로(평평한 바위) (23.6km) 13:00 ~13:11(중식) -임도따라 조금 가다 위쪽으로 오르는 임도길 따라 가면 능선에 닿음 -능선에서 우측으로 -산소 위에서 좌측으로 돌아가면 조망이 확 트이는 바위 있음 (24.4km) 13:32 -잡목헤치고 오르면 의자 4개 있는 쉼터봉(227, 24.5km) 13:38 -바위 -280(25.8km) 14:03 -넓은길(26.1km) 14:10 -안부 5거리(해발약 190m, 26.2km) 14:12 - - 도로공사 현장 14:20 -307봉 삼거리봉(27.2km) 14:34 ~14:38 -세멘트임도길(27.3km) 14:40 -고봉산(27.5km) 14:52 ~14:55 -반대편 이명산 쪽으로 가다 되돌아옴(고양산) (28.0km) 15:03 -임도길 (해발약 297m, 28.4km) 15:07 -활공장 15:14 -능선길로 - 바위 암봉지나 -능선사거리(해발약340m, 29.2km) 15:21 -봉화산(29.4km) 15:25 ~15:30 -임도(해발약 152m, 30.1km) 15:45 - 다음 임도에서 좌측편 임도타고(198봉 좌측) -골프장끝 (해발약 140m, 31.2km) 16:02 -77번도로(31.7km) 16:09 -좁은 마을길 따라 -세포교회앞 16:18 -요지막산 (32.7km) 16:28 -돌산개 마을 버스정류장(33km) 16:35 -곧바로 버스타고 -쌍봉사거리 17:12 -보도 -여천역 17:33 ~18:08 -익산역 15:59 ~20:17 -조치원역 21:48 -청주집 22:20

~~~~~~~~~~~~~~~~~~~~~~~~~~~~~~~~~~~~~~~~~~~~~~~~~~~~~~~~~~~~~~~~~~~~~~~~~~~~~~~~~~~~~~~

무선산 219m 전남 여수시 선원동

신선이 춤추는 것 같이 보이는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가 되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 동쪽은 경사가 가파르나 서쪽은 완만한 편이다. 호남정맥이 지나는 순천 계족산에서 분기한 여수기맥이 이곳 무선산을 지나 백야곶까지 이어진다. 주요 식생은 동백나무와 소나무 등 혼합림이 분포한다.

산 정상에는 기우제를 지내던 터가 있으며, 멀리서 바라보면 산의 형상이 신선이 춤을 추는 듯이 보인다. 동쪽 아래에는 도원초등학교와 여천중학교가 있으며, 시내를 잘 조망할 수 있는 공원시설이 산중턱에 마련되어 있다. 교통은 국도 17호선에서 여수 석창사거리까지 이동한 다음 우회전하여 여천중학교 정문 옆을 지나 무선산으로 진입하면 된다. 여수시청에서 이곳까지 거리는 승용차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안심산 347m 전라남도 여수시 소호동과 소라면 관기리 사이에 있는 산

무선산에서 이어지는 여수기맥이 통과하는 곳이며, 죽림천의 발원지에 해당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사면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나 동쪽과 남쪽사면은 경사가 가파르다. 주요 식생은 산자락에 동백나무와 후박나무등 상록 활엽수림과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림이 함께 분포한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연 평균기온이 14이며, 연 강수량은 1,400 내외이다

 

산의 정상에서 보면 동쪽에 요트경기장이 있는 가막만이 펼쳐져 있다. 과거 안심채석장이 있어 이곳에서 골재를 채취한 적이 있으나 지금은 방치되어 자연경관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안심사와 죽림사 옛터가 있다가 최근에야 중건되었다. 이 산에서 소호동까지 이르는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고, 산 아래에는 안심산온천이 자리잡고 있어서 평상시에도 생활 체육 공간으로 즐겨 찾는 곳이다.

 

안심산온천은 게르마늄 수질로서 구례군 산동면에 있는 지리산온천과 수질이 같다고 한다. 교통은 남해고속도로 순천나들목에서 여수방면 국도 17호선에서 여수시청까지 이동한 다음, 우회전하여 화양방면 도로를 따라가다가 부영여자고등학교 입구를 지나 안심산온천 방면으로 좌회전하면 접근할 수 있다. 이 산에 이르는 등산로는 온천입구에서 왼쪽에서 시작된다. 등산 안내도를 확인하고 능선을 따라 오르다가, 오른쪽 집단 운동 시설 지구에서 계속 오르면 정상이 나온다.

 

비봉산 239m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용주리와 옥적리 사이에 있는 산.

비봉산에 관한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에는 곡화목장의 말들이 서로 지나간다고 하여 마거산이라고 하였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풍화된 육산으로, 산 전체의 경사가 가파른한 편이다. 높이는 310.7m이다. 호남정맥이 지나는 순천 계족산에서 분기한 여수기맥이 앵무산과 무선산, 안심산을 지나 비봉산에 이르며 백야곶까지 이른다. 기후는 대체로 온난하며, 비가 많다.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다습한 기후환경에서 만들어진 적색토가 넓게 분포하며, 수목이 우거져 울창하다. 보리딸기·청미래덩굴·찔레·인동초·소나무·편백·도라지·소사 등이 자라며, ·나비·하루살이·거미·벌 등이 서식한다.

비봉산 남쪽 산록에는 695년에 지어진 용문사가 있어 이곳을 찾는 불자들과 관광객들의 내왕이 잦은 편이다. 비봉산으로 가는 방법은 여수시청에서 연결된 지방도 22호선을 타고 화양면 창무리까지 가서 나진초등학교 용창분교장을 지나 용주리에 있는 용문사로 진입하면 된다. 용문사 오른쪽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약 40분 정도 오르면 산 정상에 도달할 수 있다. 여수시청에서 이곳까지 거리는 약 15로서 승용차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안양산 327m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화동리·나진리·서촌리 사이에 있는 산.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 전체의 경사가 가파른 편이다. 무선산에서 이어지는 여수기맥이 안심산을 지나 통과하는 곳이며, 서촌천의 발원지에 해당된다. 서쪽으로 바다와 접한 곳에는 넓은 간석지가 발달하였다. 주요 식생은 안양산 자락에 떡갈나무와 갈참나무 등의 낙엽 활엽수림과 소나무 등 침엽수림이 함께 분포한다.

 

산 서쪽 중턱에 안양암의 옛터가 있으며, 조선시대에 곡화목장(曲華牧場)이 있던 곳으로 산 아래 감목관아사(監牧官衙舍)가 있었다. 곡화목장은 소호동 바닷가로부터 오천동까지 곡화목장 분계성을 만들고 그 서쪽 화양반도를 목장으로 삼아 말을 놓아서 길렀다. 이 당시 곡화목장에서 길렀던 말은 1,027필이었으며, 목자는 446명이었다.

 

봄에는 통구미산, 여름에는 이영산, 가을에는 천마산, 겨울에는 서이산 등 계절에 따라 이목구미의 5개 산으로 목장을 이동하였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서 산 정상에서 동쪽의 가막만과 서쪽의 여자만에 이르기까지 주변 조망이 아주 잘 되는 곳이다. 교통은 남해고속도로 순천나들목에서 여수방면 국도 17호선을 타고 여수시청까지 이동한 다음, 우회전하여 화양방면 지방도 22호선을 따라 가다가 화양면 화동리 화양고등학교에서 올라갈 수 있다.

 

~~~~~~~~~~~~~~~~~~~~~~~~~~~~~~~~~~~~~~~~~~~~~~~~~~~~~~~~~~~~~~~~~~~~~~~~~~~~~~~~~~~~~~~

청주 출발 23:40]

오래전부터 가려고 준비해 두었는데 가지 못 한곳이다. 돌산도 종주를 한 후 그 반대편으로 뻗은 여수 화양면의 여수지맥길의 끝 부분이다. 계획은 백야도 백호산 까지 가보려 하지만 될는지 모르겠다. 오늘은 적막님도 근무로 맞지를 않아 혼자서 출발을 한다.

 

여천역 4:01(22분 연착) ~4:10

조치원역에서 0 13분 여수로 가는 막차를 타니 맨 뒷칸이 온통 비어 있다. 편히 의자 두 개 차지하고 금시 잠자리에 든다. 방송소리에 몇 차례 잠에서 깨기는 했지만 순천까지 잘 잤다. 순천에서 일어나 내릴 준비를 하니 승무원이 와 주무시더니 깨셨내요 한다.  ~` 답을 하고 잠시 후 여천에서 내리니 열차가 많이 늦게 도착을 하였다. 여천역에서 4시 정각에 출발하려 하였는데 4 01분에 도착을 하였다.

 

남양APT 204동옆 무선산입구(1.85km) 4:29

여천역에서 준비를 마치고 4 10분 출발을 한다. 여천역에서 나오면 큰도로 입구의 좌측 코너로 도로를 빠져 나가는 굴다리가 있다. 이곳을 빠져 나가 삼거리에서 우측편 도로를 따라 가면 마을에서 다시 삼거리다. 좌측편 도로를 따라 고개를 넘으면 작은 도로가 나온다. 이 도로를 건너서 민주노총 골목길을 따라 가면 큰 도로가 나온다. 큰 도로를 건너면 좌측으로 무선초등학교 버스정류장이 나온다. 정류장에서 조금 더 가면 국군묘지 이정표가 보이는 좁은 도로를 따라 들어간다. 남양 APT 204동 옆으로 공영주차장이 있는 곳에 무선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무선산 정상(2.7km) 4:54 ~4:58

남양아파트옆 무선산 초입에서 후레쉬를 밝혀들고 산으로 오른다. 계단을 따라 한발 한발 옮기기 시작하여 13분을 오르니 운동시설이 설치된 곳이다. 이곳에서 길이 여러 갈래다. 좌측 능선으로 붙기 위하여 이곳에서 좌측 편에 있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니 7~8분후 좌측 능선 길에 붙는다. 이곳에 올라오니 산 아래 시내의 야경이 볼만하다. 바위가 군데군데 있는 능선을 따라 오르니 어제부터 밤까지 내린 비로 인하여 물기를 흠뻑 머금은 곱게 핀 철쭉꽃이 너무 이쁘다. 얼마 안가 무선산 정상에 도착을 하니 아직도 주위는 어둠이 가시지를 않아 후레쉬가 아니면 분간이 안 간다. 무선산 정상에서 보는 시내의 야경이 일품이며 멀리 커다란 건물을 휘감고 있는 저 조명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가는 길이면 꼭 들려서 확인을 해봐야겠다. 무선산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가 있고, 산불감시탑, 빛바랜 안내도, 삼각점이 있다. 무선산 임을 가리키는 정상석이나 표지판은 보이지 않는다. 무선산 정상은 작은 바위들이 여러개 모여 있는 조망이 좋은 곳이다.

 

광주방송,여천교회앞(3.8km) 5:18

무선산에서 올라온 길 반대편 길을 따라 내려선다. 내려서는 첫머리 바윗길이 새벽까지 내린비로 인하여 매우 미끄럽다. 가파르게 내려서는 길은 13분 후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 닿는다. 지금 시간이 5시를 조금 넘겼는데 벌써 몇 분이서 운동을 하고 계신다. 그중 한분에게 안심산으로 가는 길을 물으니 자세히 알려 준다.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서 길을 따라 내려 가 동네뒤 큰길을 따라 빙 돌아가니 큰 도로가 나온다. 이 도로를 건너면 광주방송이다. 광주방송 도로를 건너 우측편 언덕에 여천교회가 있다.

 

유심온천앞 등산로입구((5.33km) 5:41

광주방송 코너를 돌아서 여천교회 사이에 있는 도로를 따라 올라서면 안심산으로 가는 길이다. 서서히 올라가는 길로 8분을 가니 심곡마을 앞 마을비가 있는 곳이다. 바닷가 동네라 버스가 일찍 다닌다. 벌써 버스 한 대가 위쪽으로 올라가고 있다. 지맥길은 이곳에서 능선을 따라 올라야 한다. 난 무선산에서 보았던 휘황찬란한 커다란 불빛이 있는 곳을 확인하기위하여 도로를 따라 오르기로 한다. 심곡마을비가 있는 곳에서 도로를 따라 15분을 더 올라서야 그 불빛이 있는 커다란 건물앞 도로에 닿는다. 이곳은 유심천이라고 하는 유심온천 리조트다. 건물규모가 매우 큰데 이 건물 전체 외벽능선으로 네온불을 밝혀 멀리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기세는 매우 많이 나갈 듯 하다.

 

안심산 정상(5.93km) 5:57 ~6:03

유심온천 주차장 앞에 안심산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입구에 등산안내도도 있다. 이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6분후 산소가 여러기 있는 능선사거리에 닿는다. 이정표에 유심천, 심곡 모아미래도 아파트, 정상 소호동이 적혀 있다. 이곳에서 조금 오르면 운동시설이 있고, 철쭉꽃이 양쪽으로 곱게 핀 가파른 계단길을 따라 오르면 정상에 닿기 전 부영여고 2km가 적힌 이정표가 나오고 이곳부터는 완만한 능선길로 2분후 안심산 정상에 닿는다. 안심산 정상부는 바위봉으로 산불감시초소, 산불감시탑, 정자, 안내도 이정표가 있다. 이제 날이 어느 정도 밝아와 날씨는 구름이 많이 끼여 있지만 주위를 분간할 정도는 된다.

 

안부 이정표(사방산 0.8km, 안심산1.4km) (7.35km) 6:32

안심산에서는 소호지 방향으로 간다. 조금 내려서면 소호지와 유심천을 가는 삼거리가 나온다. 좌측편 소호지 방향으로 내려오면 커다란 바위지대가 나오고 , 물기가 흠뻑 먹은 노란 억새잎이 색이 짙어 보기에 매우 아름답다. 아주 평탄하게 내려서는 흠뻑 젖은 억새길을 이른 새벽 걷는 기분이 매우 좋다. 운치가 있다고 할까~ 공기도 좋고 기분도 상쾌하고 혀튼 매우 좋다. 정상에서 12분여를 내려오니 안부 사거리다. 우측은 정관마을, 좌측으로 소호지다. 여기서 그냥 앞쪽 능선을 따라 가니 221봉으로 산소가 있는 봉이다. 이곳에서 보는 조망이 좋다. 앞쪽으로 바다가 가까이 보인다. 지도를 찾아 보이 백초리다. 이곳에서는 소호지 쪽으로 높다랗게 서있는 디오션 호텔도 가까이 보인다. 이곳에서 다시 내려와 삼거리에서 소호지 쪽으로 내려오면 안부에 이정표가 있고 사방산 등산 안내도가 있는 곳에 닿는다. 이정표에 사방산 정상 0.8km, 안심산정상 1.4km, 소제마을 1.0km가 적혀 있다.

 

사방산(8.94km) 6:57 ~7:10(조식)

안부에서 이정표가 있는 사방산 쪽으로는 갈수가 없다. 백초마을과 소제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 공사로 인하여 절개지가 매우 높다. 여기서 소호지가 있는 쪽으로 가면 소호지 끝에서 절개지는 끝이 나며 반대편으로 건너가면 사방산 쪽으로 오르는 절개지 옆으로 세멘포장길이 되어 있다. 이 도로를 따라 오르다 좌측으로 임도를 따라 들어가면 사방산으로 오른 길이 보인다. 소호지에서 보는 경치가 매우 좋다. 소호지 위쪽으로 있는 계단식 전답들과 바다가 보이며 돌산대교 부근의 구봉산도 이곳에서 볼 수가 있다. 절개지 끝 세멘포장길과 임도를 따라 삼나무숲을 지나면 능선길에 붙는다. 능선길에서 부터 오르는 계단길이 10여분 숨을 몰아쉬게 하고 앞쪽에 육각정자가 나오면 이제는 평탄한 능선길이다. 여기서 사방산 정상 까지는 0.3km, 안심산은 1.9km가 적혀 있지만 절개지를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이보다는 거리가 더 멀어 진다. 이정표는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GPS거리로 약 3km가 나온다. 잠시 후 사방산에 도착하니 정상에 의자가 2개 있고, 나뭇가지에 정상표지판이 걸려 있다. 이곳에서 아침식사를 한 후 출발을 한다.

 

명신주유소 (11.5km) 8:10

사방산에서 내려가는 길이 좋다. 한참을 내려가다 마을 쪽으로 내려가는 기분이 들어 산경표를 보니 비봉산으로 가는 길과 방향이 틀리다. 오면서 그쪽으로 빠지는 길을 못 보았나 휴대폰을 들고 산경표를 확인하며 가니 다시 사방산으로 오른다. 사방산에서 부터 다시 내려 왔다 갔다 두 번을 하지만 그 방향으로 길은 없다. 다시 사방산 너머에서 그 방향으로 간 길이 있나 살피는데 고사리를 꺽는 주민이 올라온다. 이분에게 물으니 용주리 쪽으로 내려가다 철조망이 끊기는 부분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라고 한다. 고맙다고 하고선 휴대폰을 들고서 가리키는 방향으로 무조건 내려서니 길이 없다. 내려가다 바위너덜에서 넘어져 정강이를 훌떡 깨고 말았다. 에고 아픈지고 정강이뼈 있는 곳이 움푹 들어갔다. 아픔을 참고 내려서서 좌측으로 이동을 하니 휴대폰 산경표 하고 위치가 딱 맞는 곳에 서있다. 세멘포장 안부고개로 내려와 위쪽 산소로 오르는 세멘트길을 따라 오르니 산소 위로 희미한 길이 있다. 그저 지맥을 한다는 몇 분이서 헤메며 오른길이다. 산소 위 봉을 넘어서 내려가니 앞쪽으로 마을이 보이며 마을뒤편으로 높이 보이는 산이 비봉산으로 보인다. 또한 도로변에 주유소도 보인다. 주유소 옆쪽으로 공사현장이 있어 밭 가장자리로 하여 내려서니 바로 옆으로 명신주유소가 있다.

 

비봉산(13.6km) 9:03 ~9:13

명신주유소에서 조금 더 옆으로 길 건너 앞쪽 마을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길 어귀에 옷닭집 간판도 보았으나 그저 생각을 않고 가다가, 옷닭집 반대편 좌측으로 들어가니 마을 끝 하얀집이 나온다. 집 좌측 밭 가장자리로 올라가니 곧 길이 좋아진다. 올커니 잘 찾아 왔구나 하고 오르니 산소에서 길이 끊긴다. 여기서부터 잡목 가시넝쿨등을 헤치며 고생고생 올라서니 능선에 닿는다. 능선에는 아주 희미한 길이 있어 따라 오르니 잘 가꾼 산소가 있는 곳에 닿는다. 이곳부터는 등산로가 제대로 되어 있다. 다시 생각하며 지도를 보니 옷닭집이 있는 우측 능선으로 올랐어야 이 길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옷닭집은 오면서 저쪽 능선위에 잠시 보였었다. 여러기의 산소가 있는 곳에서 등산로와 만나 8분을 오르니 마을과 사방산이 마주보이는 조망이 좋은 바위전망대에 닿는다. 전망대에서 다시 6분을 더 오르니 헬기장이 나오고, 평탄한 능선길에 바위와 분홍색 진달래가 곱게 핀 길을 따라 4분을 더 가니 돌로 쌓다만 탑이 있는 비봉산 정상에 닿는다. 탑 조금 위쪽 나뭇가지에 비봉산 표지판이 있다. 비봉산 돌탑 반대편으로 넘어가니 산불감시초소가 있고, 이곳에서 보는 조망이 매우 좋다. 우측으로는 대운우도 방면으로 바다가 가까이 보이고, 좌측으로는 안양산으로 가는 능선이 조망이 된다.

 

2차선도로(제일타조농장 간판)(18.3km) 10:42

비봉산에서 다시 돌아 나와 헬기장으로 오면 조금 더 아래쪽에 우측(남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보인다. 몇 분간을 내려서면 조망이 아주 좋은 커다란 바위가 나온다. 이곳에서 보는 조망이 매우 좋다. 산 아래 조금만 저수지가 보이고 멀리 화양리와 그 앞바다가 그림처럼 보이는 곳이다. 이곳에서 등산로는 다시 조금 올라와 우측으로 가야한다. 전망바위가 있는 곳에서 5~6분 내려서면 좌측으로 전망바위에서 보이던 작은 저수지가 능선에 바로아래 보인다. 저수지 우측 편으로 편백림인지 삼나무숲인지 구분은 안가지만 울창한 숲이 보인다. 이 능선에서 4분여 오르면 해발 약 185m가 되는 봉을 넘고 8분여 더 가면 능선 사거리를 지나 또 다시 8분을 더 가니 화양 감도리간 고개인 상전고개에 닿는다. 이 고개에서 널직한 임도를 따라 산허리를 가로 질러 가는 길을 따라 능선에 닿은 후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길게 늘어선 산소가 있는 곧을 지나 오르면 길은 그런대로 갈만하다. 높은 능선에 닿은 후 길은 다시 좌측으로 꺽여서 간다. 능선길은 다시 우측으로 둥글게 방향이 바뀌며 좌측면이 바위로 된 암봉(187m)삼거리에 닿는다. 암봉에서 능선을 따라 가는 길이 좋지만 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 좋지 않은 길을 따라 가파르게 내려서면 안부에 닿은 후 다시 올라서며 바위지대가 나온다. 바위지대에서는 앞쪽으로 바다와 마을이 이쁘게 조망이 된다. 바위지대를 지나 해발216.5봉을 넘어서면 좌측으로 파란 잔디구장이 보이는 학교가 보인다. 이학교는 화양중학교다. 이후 차량이 넘어 다니는 편도 1차선 도로에 닿는다. 이 도로변 한쪽에 타조농장 간판이 있다.

 

안양산 정상(20.9km) 11:54 ~12:00

타조농장 간판이 있는 도로에서 널직한 길을 따라 오르면 산소가 즐비한 능선이다. 능선아래 타조농장이 보인다. 잠시 후 세멘포장임도고개가 나온다. 임도를 건너면 나진공동묘지로 가는 길로 묘지를 따라 위로 위로 오르면 능선으로 오른 길이 보인다. 능선에 닿으니 길은 매우 좋지를 않다. 잡목이 많이 걸치적거리고 몇 번이고 허리를 구부리고 가야하는 길이다. 얼마를 안가 조망이 좋은 바위지대를 지나고, 잡목이 우거진 아주 좁은 길을 따라 몇 분을 가면 좌,우로 지나는 조금 널직한 길을 지나 오르게 된다. 이곳으로 오르면 소사나무가 많이 있는 군락지위 작은 바위돌이 있는 288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내려서면 안부에 편백림이 있으며 간신히 사람만 비집고 오른 안양산으로 오르는 길도 잘 찾아 올라가야 한다. 옆으로 가는 길을 따라 가다 다시 우측 능선으로 붙어 희미한 길로 오르니 정상이 잡목과 억새가 있는 안양산 정상에 닿는다. 조망은 좋지 못하며 정상표지판이 붙어 있다.

 

화양고교앞(22.3km) 12:39

안양산에서 내려오는 길도 안 좋다. 묘지를 지나 안양산에서 12분여 내려오면 널직한 길이 나온다. 안부 사거리를 지나 오르면 해발 229.4m가 적힌 봉이다. 봉 넘어에 김녕김씨묘가 있고, 이곳에서는 화양 쪽으로 조망이 확 트이며 산 아래 농공단지가 보이고 화양고등학교도 보인다. 화동리를 지나 고봉산 쪽으로 가는 능선 우측으로 산 가운데로 오르는 길이 보인다. 이 길은 이경산과 고봉산 중간지점에 위치한 화동리 산전마을로 가는 길이다. 이곳에서 8분여 내려오면 묘지군이 나오며 곧 공동묘지를 통하여 화양고등학교 앞에 닿는다. 화양고등학교 앞에는 커다란 느티나무 아래 화동리 고인돌이 있다. 고인돌 앞 도로에 버스 정류장과 커다란 공적비가 있다.

 

의자 4개 있는 쉼터봉(227, 24.5km) 13:38

화양고등학교 앞 도로에서 좌측편 공적비가 있는 쪽으로 돌아가면 우측으로 화동리 산전마을로 가는 도로가 나온다. 도로 모서리에서 위쪽으로 송신탑이 보인다. 지맥 능선길은 그곳으로 올라야 하지만 이곳으로 오르는 길은 보이지 않는다. 굳이 지맥을 하는 것도 아니고 하여 난 도로를 따라 가다가 우측으로 한 채의 민가가 있는 곳에서 농로를 따라 우측편 안부로 오른다. 안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앉아서 점심식사를 한 후 반대방향 임도를 따라 100m 들어가다 위쪽으로 난 임도를 따라 가니 사면길이 이어지다 능선에서 끊긴다. 능선에서 우측으로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산소가 나온다. 산소에서 좌측 편으로 돌아가면 조망이 확 트이는 바위가 나온다. 바위 위쪽으로 오른 흔적을 따라 가면 곧 의자 4개가 있는 227봉에 닿는다.

 

도로공사 현장 14:20

227봉에서 내려오면 간벌을 한 지대가 나온다. 간벌 후 나무를 치우지 않아 길을 찾는데 애를 먹는다. 길도 매우 좋지 않은 곳이다. 몇 개의 바위가 있는 곳을 지나 280봉에 닿은 후 내려오면 널찍한 길이 나온다. 이제 걸을 만 하다. 넓은 길에 닿아 2분을 가면 안부에 5거리가 나온다. 우측으로 2, 좌측으로 1, 능선으로 가는길이다. 능선으로 가는 길은 곧 두갈래로 갈린다. 이곳에서 우측편 능선으로 오른다. 능선으로 오르는 길도 널찍하지는 않치만 좋다. 봉을 하나 넘어서면 앞쪽으로 고봉산과 이경산이 보인다. 잠시 후 도로공사 현장에 닿는다. 산전마을과 골프장이 있는 원포마을을 있는 도로로 보인다.

 

고봉산(27.5km) 14:52 ~14:55

도로 공사 현장을 넘어가면 고봉산 쪽으로 오르는 계단이 보인다. 계단을 지나 오르는 길도 좋다. 15분 정도를 오르면 307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봉화산 쪽으로 길이 좋다. 고봉산으로 가기 위해선 우측으로 가는 길을 따라야 한다. 다니는 사람이 많치않으므로 길은 좋지 안다. 살며시 내려서면 세멘트 임도길이 나오고, 임도를 넘어 고봉산으로 오르는 길은 표시가 잘나질 않는다. 10여분을 오르면 능선에 좋은 길이 나오며 곧 고봉산 정상에 닿는다. 고봉산에는 삼각점이 있고 정상표지판이 붙어 있다. 조망은 매우 좋다. 지나온 안양산쪽과 산아래로는 장수만의 널찍한 해변이 둥그렇게 보인다. 장수만 좌측으로 섬으로 건너는 교량이 보이며 높은 산이 하나 솟아 있는 섬이 보인다. 바로 백야도인 것이다.

 

봉화산(29.4km) 15:25 ~15:30

고봉산에서 방향을 잘 못 잡아 또 반대편으로 향했다. 반대편 이경산 쪽으로 가는 길이 매우 좋은 편이라 별생각을 안 하고 가다가 생각을 하니 봉화산이 오면서 좌측 편으로 보였고 백야도 위쪽이 아니던가 ~` 에고 또 알바 오늘 산행 중 알바를 여러 번 했다. 다시 고봉산으로 돌아오니 왕복 500m 8분이 경과 했다. 이제 봉화산으로 향하니 길이 매우 좋다. 4분을 가니 아주 넓은 임도길이다. 시원하게 뚫린 임도를 따라 가니 7분후 활공장이 나온다. 활공장부터는 다시 능선 길로 접어든다. 능선 길은 조망도 좋고 커다란 바위들이 여러개 있다. 오늘 산행 중 처음으로 이곳에서 두 분의 산행객을 만났다. 임도에 있던 4륜구동차의 주인으로 보인다. 능선을 따라 7분을 가니 좌,우에서 올라온 길이 있는 능선 4거리에 닿는다. 의자가 놓여 있고 안내도 구급함이 있다. 이곳에서 4분여를 더 오르니 봉화대가 있는 봉화산 정상이다. 오늘 산행 중 조망이 좋은 곳이 매우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봉화산에서의 조망은 으뜸이다. 육지의 끝인 핫도로 가는 좁다란 산길과 그 앞에 백야대교와 백야도의 백호산이 보이며 앞쪽으로 펼쳐진 바다위에 점점이 떠있는 섬들 멀리 고흥반도의 우주센터의 높은 탑까지도 이곳에서 조망이 된다. 봉화대에 오르니 오늘 지나온 높고 낮은 산군이 아주 멀리 멀리 까지 보인다. 오기도 참 많이 왔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난다. 봉화대에 올라 사진도 몇장 남기고, 앞에 있는 여수~고흥 연륙 연도교 조감도를 보니 이공사가 끝나는 그날엔 좋은 관광지가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조감도는 여수 돌산도~월호도~개도~백야도~화양면 육지를 경유하여 조발도~낭도~둔병도~적금도를 거쳐 고흥반도 까지 있는 대대적인 공사다.

작년 고흥반도를 한 바퀴 돌 때 팔영산 아래에서 둔병도 낭도 적금도 쪽으로 놓인 다리를 본적이 있다. 오늘 고생하며 산행한 보람을 이곳에서 잠시 찾았다.

 

요지막산 (32.7km) 16:28

오늘 저 끝에 있는 백야도 백호산 까지는 가기가 어렵겠다. 봉화산을 내려서면서 계산을 해본다. 18시 차를 타더라도 백야도 까지 가는냐 아니면 백야도를 포기하고 16 30분차나 17시차를 타고 나오느냐 계산을 하며 산행을 한다. 18시차를 타야 여천역에서 막차를 탈수 있다. 봉화산에서 15분을 내려서니 첫 번째 임도에 닿고 다시 두 번째 임도에서 좌측편 임도를 따라 198봉을 우회하여 지나니 옆쪽, 앞쪽 다 골프장이다. 능선에 골프장 공사가 아직 덜된 공터를 지나니 능선을 돌아가는 모서리에도 골프장이다. 되돌아보니 봉화산이 높다랗게 보인다. 골프장 끝에서 능선으로 내려간 길이 있다. 들어오지 말라는 경고문이 있지만 내려가는 쪽에서는 안 보인다. 내려가는 능선으로 철쭉이 곱게 피었다. 능선 끝에서 파랗게 자란 마늘 양파밭을 지나 도로에 내려선다. 도로를 건너 마을 안길을 따라 반대편 도로에 닿으면 옆으로 세포교회가 있다. 세포교회 반대편으로 올라 첫 번째 봉에 올라선 후 좌측 편에 있는 봉으로 가니 이곳이 요지막산이다. 해발 80m. 오래된 산행기에는 72.5m로 표기되어 있다.

 

여천역 17:33 ~18:08

요지막산을 마지막으로 여수 핫도 까지의 산들은 거의 다 거친듯하다. 요지막산을 넘어서니 백야대교가 바로 앞으로 보인다. 노란 억새길을 걸어 내려오는데 백야대교를 건너는 버스가 보인다. 아래쪽 도로변에는 버스정류장이 보인다. 백야도에서 16 30분 버스인 것이다. 빨리 뛰어 내려가니 놓칠 것 같던 버스가 좀 시간이 지난다음에 온다. 핫도 선착장이 있는 동네를 다녀서 오느라 좀 지체 된 것이다. 이곳 이정표를 보니 돌산개 마을이다. 이곳에서 백야대교 까지는 1.35km, 핫도 선착장까지는 1.85km 정도가 된다. 지맥을 한다거나 할 것 같으면 핫도 선착장까지 가보겠지만 무리하여 그곳까지 가지 않으려 한다. 거길 다녀서 17시 차를 타면 혹여 여천까지 나가는 시간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좀 일찍 버스를 탄다. 오면서 백야도 백호산은 포기 했다. 다녀오려면 18시까지 1시간 정도는 더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깝기는 해도 오늘 이것만도 족하다.

 

돌산개마을 버스정류장에서 1분여 기다려 버스를 타고 여천 쌍봉사거리까지 나오니 37분이 소요되어 17 12분에 도착을 한다. 쌍봉사거리에서 도로를 건너고 다시한번 더 도로를 건너 앞쪽에 보이는 고개를 넘어가면 여천역이 있는 곳이다. 택시를 타면 금시 가겠지만 시간도 있고 하니 걸어서 가기로 한다. 보통걸음으로 걸어가니 21분이 소요된다. 거리가 1.6km 정도가 나온다.

 

여천역에 도착하여 머리를 감고 발을 닦고 양말을 갈아 신고 나니 시원하니 좋다. 오늘 새벽에 어제부터 밤까지 내린비로 인하여 비는 그쳤지만 물방울이 맺혀 바지가랑이와 신발이 모두 젖었다. 여천역에서 18 08분 열차를 타고 익산을 거쳐 조치원역에 내려 집에 돌아 오니 22 20분이다.

 

오늘 산행 중 길이 나쁜 곳이 많아 고생은 많이 했지만 그래도 보람은 있다. 여수의 양쪽으로 길게 늘어진 두 줄기 육지 끝을 이제 모두 돌아 봤다.

 

산행거리 :GPS거리 : 33km(알바거리 포함) (도상거리 여천역부터 약 26km)

산행시간 : 12시간 25분 소요

 

돌산개 버스 정류장 ~쌍봉사거리 버스비 : 1100

~~~~~~~~~~~~~~~~~~~~~~~~~~~~~~~~~~~~~~~~~~~~~~~~~~~~~~~~~~~~~~~~~~~~~~~~~~~~~~~~~~~~~~~~~

 

여수 안심산-비봉산-안양산-고봉산-봉화산~요지막산

천안 23:52 -조치원 0:13 - 여천 3:39 - 여수 3:49

 

여천 13:15 -조치원 16:47 -천안 17:07

여천 14:40 - 조치원 18:23 -천안 18:43

여천 16;05 - 조치원 19:30 -천안 19:50

여천 17:15 - 조치원 21:03 -천안 21:23

여천 18:10 -익산 20:11 ~20:17 -조치원 21:48

여천 19:15 - 조치원 22:47 -천안 23:07

 

여수 미평~백야도 버스노선 28번 시간표

미평발 6:10, 6:20,7:30,8:00,9:00,10:10,11:10,11:40,12:40,

백야도발 14:20,15:30,16:30,17:00,18:00

 

여천역 ~여천전남병원(무선산 입구 대주아파트) 2.53km

여천역 ~쌍봉사거리 1.6km

 

산행코스 : 4차선 도로(안심사 입구)안심산(347.8m)227m사방산(252m)콘크리트 포장임도22번 국지도비봉산(311m)233m상촌 도로199m219m도로288m안양산(327m)232m화양고등학교 앞 도로227m도로307m도로고봉산(363.7m)도로봉화산(372m)도로863지방도77번 국지도77번 국지도76m힛도(백야대교)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4차선도로 안심사입구 -2.1km 1:04 -안심산 -1.8km 44 -사방산 -1.4km 40 -22번국지도 -1.5km 46 -비봉산 -1.6km 39 -상촌도로 -1.5km 46 -도로 -2.km 59 -안양산 -1.5km 32 -화양고등학교앞 도로 -39km 1:58 - 고봉산 -1.1km 27 -봉화산 -2.2km 46 -863번 지방도 -1.9km 40 -백야대교

 

산행거리 :22.5km

산행시간 : 10시간 소요

 

[17번 군도-(0.35/22)-×199-(0.7/16)-×219-(0.54/16)-2차선 도로/제일타조농장 입구-(0.52/11)-나진공동묘지입구/시멘트도로-(0.83/34)-×288-(0.49/22)-×327/안양산-(0.76/26)-×232/영진5229.4-(0.57/17)-도로/여수화양고교-(1.27/52)-×227-(1.06/32)-×280-(1.37/38)-×307-(0.34/13)-고봉산 분기-(0.94/26)-봉화산-(0.93/20)-×198-(1.03/25)-77번국도-(0.56/12)-77번국도/세포교회-(0.45/11)-×80/영진5만 요지막산(72.5)-(1.35/28)-×76-(0.6/24)-힛도선착장] 14.66km/7hrs25min

일자: 2012.02.05()

 

코스: (접근)06:18웅동 버스정류장06:35상전고개/17번 군도/고갯마루 우측 철조망 지난 후 산길/어둠 속의 산길이라 좋은 길 버리고 잡목 속으로 가는 바람에 간벌과 잡목으로 고생하고올라섬06:57~07:02×19907:13바위()우회07:18~20×219/()꺽임/11시 방향07:36제일타조농장 입간판/2차선 도로07:40()묘지군 따라서07:47시멘트 도로/나진공동묘지 입구08:02~04전망바위-잡목08:08등로 넓어짐08:09잡목-수렛길-잡목08:23×288/잔바윗돌-내려와서()사선으로↓→08:31편백나무 숲08:34축대08:45×327/영진5만엔 안양산/헬기장/억새08:5208:59임도09:03경주정씨 가족묘09:11×232/영진5만엔 229.4/김녕김씨 묘09:19묘지군09:22공동묘지09:28여수화양고교/화동 고인돌/22번 도로09:33비포장 도로09:35통신탑09:38간벌지09:46밀양박씨 가족묘09:50밀양박씨 가족묘09:54~10:03시멘트길-잠시 우측으로 간 뒤 좌측으로10:04비닐하우스()10:09과수원 끝/잡목이 심해 과수원 끝 좌측 수렛길로 우회해 오름10:17수렛길 끝()/잡목 시작10:28우횟길 끝/×227직전10:29~34×227/벤치4-내려와서 좀전에 우회해서 합류한 지점 우측10:40잡목10:50바위10:53바위11:06×280/내려와서 좌/잡목/주의11:18수렛길11:20산전 임도/봉화산로 방향 표시목11:29시멘트 길/이정표(봉화산 1900m)11:44~47×307()/좋은 길은 직진으로 가고 지맥은 우측 잡목 속11:50~53시멘트길/잡목 속으로↑→12:02고봉산 분기12:03~04高峰山(363.7)12:05고봉산 분기()12:11임도 갈림길()12:16임도 합류12:30~55烽火山(×372)/봉수대 우측13:09직진 버리고()시멘트길-곧바로 직진 숲으로13:13시멘트길13:15×198(통과)은 오르지 않고 좌측 임도 따라서13:22×198봉에서 내려오는 도로/넓은 공터의 임시폐기물 야적장 따라서13:30~40통신기지국 내려와서 곧바로 직진의 잡목 속으로/ 잡목이 너무 심해 다시 나와서 골프장도로 우측으로 작은 소로가 보이는 곳으로 내려섬13:53 77번 국도13:57억새/공터()-김해김씨 가족묘14:01시멘트길14:05세포교회/77번 국도-도로 건너 묘지와 밭이 있는 곳으로14:16×80/영진5만 요지막산(72.5)()14:25 77번 도로 따라서14:34BUS/남경수산 입간판/좌측으로 간 뒤 곧바로 우측 수렛길↑→14:37LGT통신탑/간벌지14:41×7614:43수렛길14:44백야대교 갈림길()/김령김씨 돈영공파 납골묘14:50314:54수렛길/비닐하우스/힛도마을 갈림길-전주이씨 가족묘14:57마지막 봉/가막만 조망/우측으로 차광막이 둘러쳐져 있으나 길이 없어 다시 수렛길로15:03수렛길/힛도마을 향해서15:07마을회관15:08힛도선착장

 

도상거리: 15.72km (접근:1.06km, 지맥:14.66km)

소요시간: 8시간50(접근:17, 지맥:7시간25, 휴식:1시간08)

 

(여천중에서)05:56여천중(\1,100)06:08~18웅동(도보)06:35상전고개

(힛도에서)15:57힛도(\1,100)16:07~30백야리정차17:01~18:50쌍봉사거리(택시\3,000)18:55~19:15여천역(\22,400)23:23

 

백야도 백호산

.산행코스: 77번국도 백야등산로 버스정류장 건너들머리(등산안내도)-1-2

-백호산 정상(3.286.4m)-백야삼거리-77번 국도변 쉼터-백야등대

0.산행시간 : 2시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