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황조치봉~연석산~문필봉~사달산~럭키산
황조치봉675.4m, 연석산925m, 문필봉625m, 사달산 634m, 럭키산608.6m
2012.4.2.월요일 오전 맑음, 오후 구름 가끔비
참석인원 : 적막이랑 둘이서
천안역 5:20 -전동열차 -아산역 5:30 -천안아산역 5:35 ~5:58 -서대전역 6:21~6:40 -전주역 7:45 ~7:50 -보룡고개(소태정휴게소) 8:11 ~8:15 -산행초입(도로 건너는데 매우 위험) 8:21 -능선마루 8:40 -공터 8:43 -700봉 8:50 -675.4봉(삼각점)(황조치봉) 9:00 -705봉 9:08 - 황새목재 9:25 -능선마루 9:38 -675봉 9:42 -봉 9:56 -봉 10:07 -우측샛길 10:08 -봉 10:11 -공터봉 10:16 -안부(우측 신궁저수지) 10:22 -820봉(우측 하산로) 10:50 ~10:56 -연석산 정상(보룡고개 6.5km, 운장산 2.5km, 주차장 3.7km,연동마을 4.28km, 만항재0.67km) 11:27 ~11:33 -이정표봉(연동마을 4.07km, 연석산 0.21km, 주차장 3.6km) - 원사봉,연동마을 갈림봉 (연석산 0.7km, 원사봉마을 3.57km, 연동마을 3.57km) 11:48 ~11:59 -안부(리기다소나무 다량) 12:30 -사봉재(원사봉마을 2.22km) 12:33 -안부사거리 12:37 - 조금위쪽 좌측 하산로 12:38 -첫번째 봉 12:50 -전망대(정면에 피암목재) 12:59 -문필봉 13:13 -사달산 13:22 ~13:50(중식) -럭키산,대암벽등반로 삼거리 13:57 -대암벽 하단끝 14:20 ~14:25 -대암벽 상단끝 14:34 -다시 럭키산.대암벽등반로 삼거리 14:44 -쇠다리봉 15:04 -한양조씨묘 15:10 -좌측 하산로 15:15 -헬기장 15:20 -럭키산 정상 15:29 ~15:33 -다음봉 15:39 -마지막봉 15:43 -산행끝지점 도로 16:16 -거인리 주차장 16:23 ~17:35 -버스 2500원 -고산 18:04 ~18:11 -버스 1100원 -전주역 18:46 ~18:56 -조치원역 21:03(천안역 21:23) -집 21:30
~~~~~~~~~~~~~~~~~~~~~~~~~~~~~~~~~~~~~~~~~~~~~~~~~~~~~~~~~~~~~~~~~~~~~~~~~~~~~~~~~~~~~~~~~
연석산(925)~문필봉(625)~사달봉(634)~럭키산(608)
금남지맥 은 진안과 완주군 에 경계에 있는 주화봉삼거리 에서 동으로 금남호남정맥 을 보내고 남~서로 호남정맥 을 떨구고 북~서로 늘어진 금남정맥 을 따라 입봉~보룡고개를건너 675봉~황조치~연석산에 잠시 숨을 돌린다 ,
연석산 정상에서 동으로는 운장산이 있고 (금남정맥)북~서쪽으로 능선따라 가다보면 719봉이 나온다 좌측으로 는 연동마을 로 하산길이고 북~서쪽 으로 늘어진 능선이 금남지맥 이다 이줄기는 문필봉~사달봉~럭키산 을 지나 동상땜 에서 그 줄기를 묻는다 ,
가을에 연석산 으로 출발하여 시간상 맨끝 봉우리 럭키산을 못들려 오늘은 럭키산 부터 출발하려 한다
全州에서 8시20분 버스 (871)를 타고 동상면 종점에 내리니 9시28분 지금 이시간이면 산속을 헤맬 시간인데,,, 55번도로 고산가는 쪽으로 동상땜을 찾아네려간다, 땜 물은 보이는데 등산로 가 보이지 않는다 ~~~~``
산행코스:신성마을-250m 대슬랩-사달산-문필봉-565봉-사봉재-병풍바위-연석산-주차장
산행소요시간:5Hr
○사달산(634m), 문필봉(575m)○
완주군 동산면에 위치한 사달산,문필봉은 어느 지도에도 나와있지 않고 산행소개마저도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가 없고, 다만 지도에는 634m, 575m로만 표기되어 있으며 인근지역의 산꾼들만 숨겨놓고 세상에 노출시키지 않았으나 이제 입소문이 나기 시작한 산이다.
연석산 (硯石山) 960m 전북 완주군 동상면
전주에서 소양을 경유하여 동상면까지는 약 32㎞이다. 연석산은 동상면 소재지를 미처 못는, 전주에서 26㎞ 지점에 있는 사봉리 연동부락 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산이다. 연석산은 운장산 줄기가 서쪽으로 뻗다가 북쪽으로 중수봉, 운암산으로 이어지고 남으로는 황조치를 지나 삿갓봉, 모래재, 만덕산으로 이어지면서 서부는 완주군, 동부는 진안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연석산의 정상에 서면 산허리를 휘어감은 고산·화심을 잇는 순환도로가 인상적으로 조망되는 가운데 원등산의 긴 능선이 흐르는 구름과 함께 꿈틀거리며 손짓을 한다.
이 산의 서부 사면에서 모아지는 계곡물은 동상골에서 사봉천을 이루어 동상저수지, 대아댐이 되어 호남평야의 젖줄이 되고 있다.
특히 연동마을(연석사 입구)에서 거슬러 올라가는 연석계곡은 연석산을 대표하는 승경지로 풍부하고도 맑은 물과 2단, 3단의 크고 작은 폭포, 빙빙 도는 소(沼), 푸르름을 자랑하는 울창한 숲 등 천혜의 비경의 연속이다. 구 연석사 터 주변과 그 상류의 우거진 숲으로 햇빛이 가리워진 반석바위와 신선탕 주변의 기도처는 심산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환상적인 비경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동상면 관광 순환도로가 개통되기가 무섭게 휴일이면 연동마을 주변 도로 양편에는 자가용 행렬이 즐비하고 가족단위 또는 쌍쌍 등산객들로 붐빈 계곡은 먹자판이 벌어져 이 깨끗한 환경에도 오염의 열풍이 불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연석산에는 호랑이가 살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연동마을에서 연석계곡을 타고 올라가면 두 갈래의 계곡길이 나온다. 그 윗자리 연석산의 서쪽 산기슭에 옛날 '도일'이란 사람이 지은 '도일절'이 있었다. 도일이 죽자 그 부인은 남편의 시신을 마당에 묻고 혼자 절을 지키고 있었는데 밤이면 호랑이가 울부짖는 바람에 무서워 살 수가 없어 남편의 묘를 다른 곳으로 이장하고 자신도 그 곳을 떠남으로 절은 폐사가 되었다. 지금은 그 절터와 그 밑에 있었다는 10여 가구 마을의 흔적만이 삶의 무상함을 말해 주고 있다.
산행길잡이
연석산의 산행은 동상면 사봉리에서 오르는 길과 진안군 부귀면 궁항리 상궁항 마을에서 시작하는 길이 있고 연석산과 운장산을 연결하는 코스도 구상할수가 있으나 전주에서는 동상면에서 시작하여 동상면으로 하산하는 것이 무난하다.
등산코스 : 제1코스 : (왕복코스 : 9.8km, 4시간 20분)
사봉리 연동마을(연석사 입구) - 연석사 - 구 연석사 신선탕 - 계곡 갈림길(우측) - 암봉 - 연석산 - 북능 - 조릿대 숲 - 중봉 - 917고지 - 갓봉 - 좌측 내리막길 - 계곡 갈림길 - 구 연석사 터 - 연석사 - 연동마을
제2코스 : (11km, 5시간 10분)
시평리 - 계곡길 - 능선 - 북능선 - 연석산 - 연동마을
제3코스 : (횡단코스 : 11.8km, 5시간 40분)
부귀면 봉암리 상궁항 - 저수지 - 정수암 - 묵은 밭길 - 억새 군락 - 잡목숲 계곡 - 능선 안부 만황치 - 연석의 능선 - 연석산 - 연석계곡 - 구 연석사 터 -연석사 - 연동마을(역코스도 가능)
교통 : 도로안내
전주 - 봉동 - 고산 - 대아 - 동상 연동마을
현지교통
ㅇ전주 모래내 발 ↔ (화심경유) ↔ 동상면 군내버스 5회 운행
ㅇ전주 모래내 발 ↔ (대아리경유) ↔ 동상면 군내버스 4회 운행
전주 쌍용APT ↔ 전주역 발 ↔ 진안 부귀면 상궁항
ㅇ진안 공용터미널 ↔ 상궁항 6회 운행
*모래재-모래재의 모래는 "물"이라는 옛말로 "산'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풀어쓰면 물+고개 즉 모래재이며, 전주와진안을 잇는 유일한 고개로서 대관령,한계령,미시령못지않게험한고갯길로서 사고가 많아 모래재 터널을 뚫었지만 우리가 지나가는야할 보령고개를 통과하는 26번 국도를 다시 개통하는 관계로 통행량이 거의없고 산객들만 넘나드는고개로 안타깝게 변해버림.휴게소및공원묘지가 있고 석간수가 나오는 약수가 아주좋음.
*조약봉(헬기장)-3정맥분기봉을 주화산으로 통칭하나 고도상 여기에서 시작하는것이 좋다.
*주화산-3정맥 분기봉(호남정맥,금남호남정맥,금남정맥).
*입봉(637.4m)-멀리서 보면 산봉우리형상이 삿갓모양으로 보여 삿갓봉으로 불리우기도함.헬기장과삼각점이 있으며 정맥길은 바로 좌틀해서진행(알바주 의).
*보룡고개-진안군과완주군을 잇는4차선26번국도,
*황조치봉(675봉)-산줄기상 황새의 머리및부리에 속하며.
*황조치(황새목재)-황새의 목과같이 길게늘어져있는 형상의 고개마루로 멋진소나무한그루와과수원이있음
*연석산(硏石山,926봉)-벼루연,돌석,말그대로 벼루을 만드는돌이 많이 난다고하여 붙여진이름, 전북완주군동상면과 진안군부귀면정천면에 걸쳐있고 운장산에 가려 2인자로의역활밖에 못했으나 근자에 일반산행지로 유명해짐.
*만항재(늦은목,774m)-상검태에서 정수암,궁항저수지을 잇는고갯길로 연석산혹은 운장산을 넘어오다 늦는경우가 많아 탈출구로 이용되어서 붙여진이름.
*운장산서봉,1122m(칠성봉,독재봉)-금남정맥의최고봉으로 중봉(운장산정상).동봉으로 나뉘지만 조망이 제일좋으며 여기에서 피암목재로 정맥길이 연결됨
*운장산(중봉,주줄산,운장대,1126m)-금남정맥길에서 벗어나 있으며 상여바위을 지나 운장산 3봉중 최고봉으로 서봉과복두봉,구봉산으로 연결되는 전북알프스의 최고봉. 정상에는 항상구름이 감싸고 있어 운장산으로 불리워졌다고 하나 조선중종때성리학자 송익필 선생"자"가 운장,"호"는 구봉에서 비롯됐다고함.
*활목재-골짜기가 많아 말그대로 골짜기로 들어가는 입구라는의미‘
*피암목재-운일암,반일암에서 완주고산으로 넘어가는 험한재. 입구의산세가 활(弓)가운데의 잘룩한목을 닯았다고 해서 붙여짐, 차량통행이 뜸함,넓은주차장과,화장실,옛휴게소가 있음.
(호진이랑옥자랑 블로그에서 퍼옴)
~~~~~~~~~~~~~~~~~~~~~~~~~~~~~~~~~~~~~~~~~~~~~~~~~~~~~~~~~~~~~~~~~~~~~~~~~~~~~~~~~~~~~~~~~
전주역 7:45 ~7:50
새벽에 일이 끝나고 천안역에서 5:20분 신창역으로 가는 전동열차를 타고 아산역에 내려 4층 천안아산역으로 올라가 목포로 가는 5시 58분 고속열차를 기다려 타고는 서대전 역에 내려서 20여분을 기다려 여수로 가는 고속열차로 갈아타고는 전주역에 내리니 7시 45분이다.
보룡고개(소태정휴게소) 8:10 ~8:15
전주역에 내려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택시를 순번을 기다리니 개인택시가 닿는다. 이택시에 승차를 하니 우둥퉁하게 생긴 기사님이다. 어디로 가느냐고 하여 모래재로 간다고 하니 윗모래재냐 아랫모래재냐 하기에 우린 산에 갈 것이라 하니 뭔 모래재라 하며 거기서 많이들 간다고 하며 자기도 거기서 댕겨 왔다고 하며 신나게 달린다. 20여분 후 소태정휴게소라고 하는 곳에 우리를 내려놓고는 행하니 택시는 떠나고 지형을 살피니 모래재라는 애기는 한곳에도 없다. 이상하다 하며 지도를 살피니 에고 이 넘 기사님 아침부터 우릴 엿 먹였다. 소태정휴게소는 보룡고개가 있는 곳이 아닌가 택시는 훌쩍 떠나고 어쩔수 없이 이제 우리는 보룡고개부터 산행을 하는 방법밖에 더 있겠는가!! 괘씸한 택시기사다. 모래재에서 부터 산행을 시작하려 한 것은 삼정맥 분기봉이 있는 조약봉을 지나보려 한것인데 아깝다~~~~
675.4봉(황조치봉) 9:00
소태정 휴게소 앞에는 4차선 큰 도로다. 도로 중간에 못 건너다니도록 팬스도 쳐진 도로라 건너가기가 쉽지를 않다. 아침 출근시간이라 그런지 다니는 차량도 매우 많다. 일단 도로를 따라 고갯마루까지 가니 그곳도 역시나 마찬가지다. 일단 차가 없는 틈을 타서 도로 중간 팬스로 진입을 한 다음 반대편도 차가 없기를 기다리니 금시 때가 맞는다. 팬스가 높아서 간신히 붙들고 넘고 나니 좌측 편으로 올라가는 임도 첫머리에 많은 표식기가 붙어 있다. 산행초입에 접근은 무사히 마쳤다.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임도는 반대편으로 넘어가고 정맥길은 우측 숲속으로 들어간다. 조금을 들어간 숲길은 다시 좌측 능선으로 붙는다. 처음부터 가파르게 오르는 능선길이 숨 가쁘다. 20분을 거친 숨을 몰아쉬며 오르니 가파른 능선 끝 마루에 닿는다. 이제부터는 평탄하게 능선이 진행이 된다. 3분을 더 가니 널직한 공터가 있고, 조금을 더 가니 다시 가파르게 올라서더니 첫 번째 봉인 700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좌측으로 20m 정도를 가면 빨간 프라스틱으로 만든 삼각점 표식이 있는 팻말이 박혀 있다. 다시 돌아와 우측으로 꺽이는 능선을 따라 가면 675.4봉 삼각점이 있는 봉에 닿는다. 이봉이 황조치봉인가 보다. 조금 앞에 있는 705봉에 3000천산을 하시는 어느님이 675.4봉 黃鳥峙峰이란 표지기를 붙여 놓았다. 이봉은 잡목에 가려 조망은 전혀 없다. 이봉의 좌측편 아래로는 황조리라는 마을이 있고 그 넘어 원등산(청량산)이 나뭇가지 사이로 조금씩 보인다.
황새목재 9:25
삼각점이 있는 675.4봉에서 내려선 후 앞쪽에 보이던 뾰족한 705봉으로 오르는 데는 한번땀을 흘려야 한다. 보기와 같이 매우 가파르게 오른다. 705봉을 넘어서면 앞쪽으로 연석산의 암릉이 나뭇가지 사이로 시야에 들어온다. 가파르게 내려서는 길을 따라 17분을 가니 우측편으로 집이 보이는 황새목재에 닿는다. 이 고개에서 황조리 쪽으로는 예전에는 다닌 흔적이 보이나 지금은 다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우측 궁황리 쪽으로는 고개 바로 아래까지 도로가 나있으며 집이 있다.
안부(우측 신궁저수지) 10:22
황새목재에서 오르는 길도 매우 가파르다. 조금 오르면 임도를 한번 건넌 후 가파르게 올라선다. 오르는 길 우측 편으로 원형철조망이 쳐져 있으며 감나무보이는 나무가 심겨진 농장이다. 가파른 길은 위쪽으로 가면서 지그재그로 오른다. 13분을 가파른 지대를 오르니 완만하게 능선이 이어지는 능선마루에 닿는다. 완만하게 진행이 되는 능선을 따르니 4분을 더 가서 지나온 705봉 쪽으로 조망이 확 트인 675봉에 닿는다. 이봉은 완만하게 이어지며 조금을 내려선 후 8분 후 다음봉을 지나고, 전에 임도가 있던 자리로 보이는 널직한 능선길은 지금은 나무와 풀이 뒤엉켜 가운데로 좁은 길이 나있다. 바위가 보이기 시작하는 능선을 따라 오르면 작은 봉을 넘어서 1분후 우측으로 빠지는 샛길이 하나 보인다. 3분 후 작은 봉을 지나고 다시 5분을 더 가면 훤이 트인 공터봉을 지나서 이제는 능선길이 내려서기 시작한다. 앞쪽으로는 높다란 연석산으로 오르는 능선길에 커다란 바위들이 보이고, 좌측편으로는 동상면의 시평리로 빠지는 좁다란 계곡길이 보이기도 한다. 공터봉에서 6분을 내려서니 안부에 닿고 우측 신궁저수지 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잡목사이로 나있다. 1분을 더 가면 다시 우측 신궁저수지 쪽으로 내려가는 소나무사이로 난 양호한 길이 보인다.
820봉 10:50 ~10:56
안부에서 7분여 오르면 오르면서 높다랗게 보이던 바위봉 아래에 닿는다. 바위 우측면으로 까깔막지게 오르는 길이 있다. 힘이 부친다. 적막은 요런길에 빛이 난다. 힘도 안들이고 오르는 적막을 따라 죽을힘을 다 쏟으며 오른다. 잠시 더 오르면 신궁저수지가 잘 보이는 지점이 한번 나오고 이제 앞쪽으로는 높다란 바위봉이 가로 막는다. 바위봉 우측으로 작은 로프가 매여 있다. 이 로프를 잡고 간신히 바위봉으로 오르니 조망이 참으로 좋다. 지나온 능선이 시야에 들어온다. 705봉이 높다랗게 보인다. 동상에서 소양으로 넘어가는 고개도 보이고 대부산에서 원등산까지의 능선도 보인다. 바위전망대에서 다시 5분을 더 가면 작은 돌에다. 삼각점 820m라 써놓은 봉에 닿는다. 이봉이 820봉인가 보다. 앞쪽으로 연석산으로 이어지는 작은 봉들이 여러개 보인다. 이봉에서 신궁저수지 쪽으로 하산하는 길이 있으며 조망은 참 좋은 곳이다. 이곳에서 잠시 빵과 과자로 허기를 달랜다.
연석산 정상 (보룡고개 6.5km, 운장산 2.5km, 주차장 3.7km,연동마을 4.28km, 만항재0.67km) 11:27 ~11:33
820봉에서 조금 위쪽에 소나무가 절벽 우측으로 이쁘게 뻗친 곳이 있다. 이곳에서 운장산과 신궁저수지 쪽의 조망 또한 좋은 곳이다. 다시 조금을 더 가면 바위전망대로 이곳 또한 조망은 똑같다. 이제 조망이 전후좌우로 좋은 능선을 따라 13분여를 가면 바위지대가 나온다. 이곳을 지나 7분여를 조릿대숲을 지나 오르면 좌측으로 연동마을로 하산하는 지점에 이정표가 있다. 주차장 3.6km, 연석산 0.1km 다른 또하나의 이정표에는 정상 0.2km, 연동마을 2.3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다시 2분여를 더 오르면 연석산 정상으로 정상석은 없고, 스텐철주로 된 정상철주가 있다. 이철주에는 보룡고개 6.5km,운장산 2.5km, 연동마을 2.5km가 적혀 있으며, 나무로된 이정표에는 연동마을 4.28km, 주차장 3.7km, 만항재 0.67km가 적혀 있다. 연석산 정상에서는 바로 앞쪽에 운장산이 손에 잡힐 듯 가까이 보이고 운장산에서 성봉, 장군봉을 거쳐 북으로 뻗어가는 금남정맥길이 조망이 되며, 또한 운장산에서 거석교 쪽으로 뻗어 내린 또 하나의 능선이 보룡고개에서 연석산까지 걸어온 능선과 평행으로 이어지고 있다.
원사봉,연동마을 갈림봉 (연석산 0.7km, 원사봉마을 3.57km, 연동마을 3.57km) 11:48 ~11:59
연석산 정상에서 우측길은 운장산으로 가는 길이고, 우리는 좌측길을 따라 연동마을로 내려가는 암릉길 쪽으로 간다. 연석산 정상에서 잠시 내려섰다. 다시 올라서면 연석산에서 3분후 이정표가 있는 봉에 닿는다. 이곳에서 연동마을로 내려서는 길이 있고, 다음 암릉길을 따라 연동마을로 내려서는 길도 있다. 이곳 이정표에는 연동마을 4.07km, 연석산 0.21km, 주차장 3.6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다시 럭키산쪽 능선과 갈리는 삼거리봉 까지는 12분이 소요되며 가는 도중 멋진 암릉이 보인다. 삼거리봉에 닿기 전 암릉 조망이 아주 좋은 곳이 한군데 있다. 삼거리봉에다 잠시 배낭을 벗어 놓고 암릉쪽으로 가니 뾰족한 암봉이 바로 앞쪽에 있다. 이바위봉에 올라서니 암릉 쪽으로 멋진바위가 보이니 이바위가 병풍바위다. 이암봉에 올라서니 바람이 너무 세차게 불어 오래 머물 수가 없다. 사진 몇 장씩을 찍고는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봉으로 돌아왔다. 삼거리봉의 이정표에는 연석산 0.7km, 원사봉마을 3.57km, 연동마을 3.57km가 적혀 있다.
사봉재(원사봉마을 2.22km) 12:33
삼거리봉에서 내려오는 길이 매우 가파르고 얼었다 녹아서 무척 미끄럽다. 잠시도 긴장을 늦출수 없는 내리막길을 15분 정도를 내려오면 능선에 바위가 깔린 곳이 나온다. 이곳에서 뒤돌아보는 경치가 장관이다. 삼거리봉에서 연동마을 쪽으로 뻗은 암릉의 모습이 좋다. 우리가 올라갔던 암봉 아래 병풍바위의 모습도 아주 멋지게 조망이 된다. 언제 이 암릉을 따라 연석산에 올랐다 운장산을 거쳐 구봉산까지 이어봐야겠다. 이제부터 25분여를 능선길을 따라 가면 바위는 간곳이 없고 낙엽이 수북히 쌓인 안부에 닿는다. 이안부에는 리기다소나무가 능선 우측 편으로 많이 식재되어 있다. 이제부터는 걷기가 매우 좋은 길로 살짝 튀어 나온 봉을 넘어서면 좌측으로 원사봉마을 2.22km 이정표가 붙어 있는 사봉재에 닿는다.
문필봉 13:13
사봉재에서 낮은 봉 하나를 더 넘어 가면 양쪽으로 하산길이 있는 안부사거리에 닿는다. 이곳이 사봉재인지도 모르겠다. 하여튼 여기 안부에서 조금을 더 가면 좌측으로 내려서는 길이 한번 더 있고, 이제 부터는 오르막길로 12분을 더 오르니 첫 번째 봉에 닿는다. 이제 능선길은 완만하게 진행이 되며 지나온 연석산과 운장산이 상당히 멀어졌다는 느낌이 든다. 첫 번째 봉에서 9분을 진행하니 우측 편으로 피암목재 오르는 길이 정면으로 보이는 조망이 좋은 바위전망대에 닿는다. 이곳에서 올려다보는 운장산과 연석산의 모습이 보기 좋다. 이후로는 바위 암릉길로 몇 개의 작은 봉을 넘고 넘으니 뾰족한 바위봉이 나오며 그 봉정상에 문필봉이라는 정상목이 걸려 있다. 문필봉으로 올 때 멋지게 보이던 바위사면의 모습은 이곳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문필봉에서 좌측 편으로 있는 봉으로 이동을 하여야 연동마을 쪽으로 뻗은 바위사면이 보일지 모르겠다. 이제 시간이 많치 않으므로 그쪽봉은 가보지 않아야겠다. 문필봉으로 오는 능선도 멀리서 볼 때는 바위절벽으로 보인다.
사달산 13:22 ~13:50(중식)
문필봉에서 사달산은 아주 가까운 거리다. 지금까지는 몇 개의 봉을 넘고 넘어 산 하나를 올랐지만 문필봉에서는 바로 다음봉이 사달산이다. 시간도 10분이 채 못걸린 9분이 걸렸다. 사달산정상에도 사각정상목이 걸려 있다. 이곳에서 잠시 쉬면서 점심식사를 한다. 사달산에서는 바로 아래 신성마을이 내려다 보이고 피암목재로 오르는 곳이 정면으로 내려다 보이며 장군봉이 바로 정면으로 마주 바라다 보이는 곳이다. 앞쪽으로는 깍아지른 바위봉이 보인다.
대암벽등산로 하단끝 14:20
사달산 정상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7분을 가니 럭키산과 신성마을쪽 대암벽 등산반로가 있는 길이 갈린다. 우측 능선을 따라 2분을 가니 암벽등반로 표지판이 나온다. 여성분이나 고소공포증이 있는 분은 절대로 내려가지 말라는 문구가 적혀 있으며, 한번에 2인 이상은 내려가지 말하고 적혀 있다. 잠시 길이 갈린 적막을 기다린 후 암벽등반로 쪽으로 내려가니 앞쪽으로 럭키산과 운암산이 보이는 바위지대가 나온다. 우측 바위로 올라가니 이곳에 길이 30여m 정도의 나일론줄이 매여 있다. 이곳이 대암벽 등반로는 아니겠고, 바위에서 내려와 좀 더 아래로 내려가니 하얀 바위지대가 보이기 시작하며 커다란 소나무에 매어 놓은 라일론줄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줄 우측으로 한가닥 줄이 더 있다. 이 줄을 잡고 내려가니 위에서 보는것과는 달리 상당히 길이가 길다. 10여분 걸려 대암벽등반로를 내려가니 적막이 위에서 내려오는 모습이 보인다. 암벽등반로 끝에서 더 이상은 내려가지 않고 되돌아 암벽 등반로를 따라 오른다.
럭키산 15:29 ~15:33
대암벽 등반로는 신성마을에서 올라 와 사달산으로 오를 때 거치는 코스로 요즘 신성마을 -대암벽 등반로- 사달산 -문필봉으로 오르는 코스가 산악회에 알려져 이곳으로 오르는 산악회가 종종 있다. 이 암벽등반로의 길이는 250m로 로프를 잡지 않고도 오를 수 있는 바위들이 대부분이나 안전을 위해서는 꼭 줄을 잡고 등반을 해야 한다. 내려 올때는 10여분이 소요되었으나 오를 때는 숨이 가파 14분이 소요되었으며 오르고 내릴 때 펼쳐지는 바위면이 볼만하다. 암벽등반로를 올라 다시 10분후 럭키산과 암벽등반로가 갈리는 삼거리에 도착한 후 럭키산으로 향하니 내려오는 구간 좌측으로 사달산 북쪽면도 보기 좋은 바위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사달산을 내려와 멀리서 보이던 수직바위로 된 쇠다리봉 능선을 따라 가면 20분 후 능선이 우측으로 45도 이상 꺽이는 부분의 쇠다리봉에 닿는다. 이봉에는 삼각점이나 표식기등 아무런 표식이 없다. 지도에도 쇠다리봉으로 표시가 된 것이 거의 없다. 쇠다리봉을 지나 6분을 더 가면 한양조씨묘가 있는 작은 봉을 지나고, 5분을 더 가면 좌측 동상 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다. 다시 5분을 더 가면 헬기장이 있는 봉이 나오고 이곳에서 길은 좌측으로 꺽여서 진행이 된다. 이제 막바지 오름길을 따라 씩씩거리며 오르니 위쪽에 길다란 바위가 나오며 삼각점이 있는 럭키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에는 럭키산이라 쓴 빛바랜 표식기가 붙어 있다. 조망은 그리 썩 좋은 편을 아니다.
거인리 버스 종점 16:23 ~17:25
럭키산에서 살짝 내려선 후 바위로 된 다음 봉은 좌측으로 돌아 오른 후 4분을 더 가면 오늘의 마지막 봉이 나온다. 이봉에서 거인리로 내려오는 길은 좌측으로 꺽인다. 직진으로 간 님들도 간혹 있다. 대부분 이곳에서 좌측 능선을 따라 내려오게 되며 내려 오는길이 상당히 가파르다. 중간지점까지 내려오면 커다란 소나무가 한그루 나온다. 이곳에서 마지막으로 기념사진을 찍고는 더욱 가파라지는 길을 따라 내려오면 감나무 농장이 나온다. 농장 가운데로 난 임도길을 따라 내려오면 산행의 마지막 지점인 도로에 닿는다. 이 도로에서 감나무 농장으로 진입하는 길에 사유지 감나무 농장이니 들어오지 말라는 경고문이 붙어 있다. 여기부터 도로를 따라 7분을 가니 거인 산촌마을 이라쓴 커다란 마을비가 있다. 주차장 한켠에는 거인리마을유래와 고종시마실길 안내도가 있으며, 노인회관과 안쪽으로 널직한 공터는 농협창고 마당으로 보인다.
전주역 18:46 ~18:56
이곳에서 고산이나 전주로 나가는 버스를 기다리니 버스가 쉽사리 오지 않는다. 어느 분의 말로 버스가 파업을 하여 안 올리도 모른다고 한다. 이곳에 사시는 분들 대부분이 버스를 타지 않는 듯 정확한 버스시간을 아시는 분들이 없다. 자료에서 뽑아온 버스시간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전주로 나가는 16시 10분 버스는 우리가 감나무농장으로 내려오기 조금 전에 나가는 것이 보였으니 17시 50분 고산으로 나가는 버스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잠시 고산택시에 전화를 했으나 버스보다 시간이 더 걸린듯하여 꾹 참고 기다리니 17시 35분 버스가 나타나며 버스는 금시 방향을 돌려 고산으로 나간다. 거인리에서 동산까지는 29분이 소요되었으며 우리 둘과 운암상회에서 1분이 승차하여 3명이 고산까지 나왔다. 고산에서 7분을 기다려 전주로 나오는 버스를 타니 전에는 25분 소요되었지만 오늘은 승객이 많아서 인지 35분이 소요 된다. 이렇게 하여 오늘 갈때는 택시기사가 모래재를 잘못알고 보룡고개에 내려줘 기분이 상당히 나빳으나 대신 암벽등반로까지 댕겨올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 그런대로 좋은 산행을 하였다.
오늘도 갈비뼈가 부러져 아파하면서도 끝까지 수고 해주신 적막님 감사또 감사~~
산행시간 : 8시간 08분 소요
산행거리 : 14.6km (소태정휴게소~연석산 6.8km, 연석산~사봉재 약 2km, 사봉재 ~사달산 약 1.8km, 사달산~럭키산 약 2km, 럭키산~거인리 약 약 2km)
*병풍바위 11분소요, 신성마을쪽 대암벽 등반로 47분 소요
전주역 ~보룡고개 택시비 ; 2만원
동상 거인마을 ~고산 버스비 : 일인당 2500원
고산 전주역 버스비 : 일인당 1100원
~~~~~~~~~~~~~~~~~~~~~~~~~~~~~~~~~~~~~~~~~~~~~~~~~~~~~~~~~~~~~~~~~~~~~~~~~~~~~~~~~~~~~~~
완주 럭키산~사달산~문필봉~연석산
천안아산 5:58 -서대전역 6:21 ~6:40 -전주 7:45
전주 17:38 -조치원 19:30
전주 18:56 -조치원 21:03
전주 19:51 -익산 20:11 ~20:17(새) -조치원 21:48
전주 20:26(고) -서대전 21:34~22:07 -조치원 22:34 (천안아산 21:58)
전주 20:53 -조치원 22:47
전주역 ~고려병원 : 1.5km (전주역에서 길건너 좌측방향 비사벌주요소에서 다리건너 우측개울길 따라 가다 큰도로 나오면 좌측에 고려병원)
전주역 ~동상면 : 26.04km
전주역 ~소태정휴게소(보룡고개) : 22km (소양면사무소 13.90km)
전주역 ~모래재 ; 18.19km (소양면사무소 10.19km)
전주콜택시 063 -229- 9215, 274-5947, 237-3670
871번 교도소 ~동상 8:20,11:30, 14:40, 17:50, 21:00 (교도소~ 소양 7:55,8:00)
동상~교도소 6:40, 9:50, 13:00, 16:10, 19:20, 22:30
교도소-평화그린1차아파트-동도미소드림아파트-삼성강남아파트-평화주공4.5단지-평화코오롱아파트-한양병원-완산여고-평화주공1.2단지-장승백이-우정
아파트-예그린아파트-공수내다리-싸전다리-전동성당-쌍용화재-중앙시장-모래내-모래내시장-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인후네거리-기린네거리-도매다리-유
일여고-기린아파트-인후시립도서관-고려병원-우아2동파출소-성당묘지-가소마을-삼거마을-아래삼거리-웃삼거리-명덕교-원당마을-황운교-소양면
주민자치센터-소양-용인마을-마수교-왕정리-신왕리-해월리-화심-새터-황토나라-하리-대승리입구-웃밤치-밤치마을-신평리-연동-신사봉-원사봉-목계-
동상
872번 교도소~모래재 ~장승리 5:50, 9:00, 12:13,15:15,18:30,21:19
장승리~모래재~교도소 7:00, 10:10, 13:20, 16:30, 19:40
소양면주민자치센터-소양인덕마을입구-용인마을-마수교-왕정리-신왕리-해월리-화심-화심온천-모래재휴게소-대곡-이랑둥지-원세동-장승리-장승리종점
300번(고산-봉동-용진-전주역-모래내-대성학원-금암아파트-전주역-용진-봉동-고산)
7:05, 7:25, 7:45, 8:05, 8:25, 9:05, 9:45, 10:05, 11:25, 12:05, 13:05,14:05,14:25,
15:05, 16:05, 17:05, 17:25, 18:05, 19:05 (고산출발시간임) (535번 9회운행)
300번(고산~어우리~비봉~백도~이전~수선~동상)
고산~동상 10:20, 12:10, 14:40, 16:40, 18:20, 20:00
동상~고산 7:10, 8:40, 10:50, 12:50, 15:20, 19:00
300번(고산~대아~산천~용연~동상)
고산~동상 6:10, 9:30, 12:20, 14:50, 16:50, 19:00
동상~고산 6:40, 10:30, 13:20, 15:50, 17:50, 20:00
전주 터미널 06;05 진안 경유 주천행 버스
주천서 택시로 내처사동
올때)동상서 트럭으로 전주역
전주역 18;54 용산행 무궁화호
내처사동 버스 정거장 8:05- 상장봉 2.7km 이정표 08;09 -개천 건너고 오르막 길 -주능선08;25~33 -779봉 바로 아래 삼거리 08;44 -좌측 계곡서 길 갈라
짐 -암릉 지대 08;40~58-1023봉 09;35 -상장봉(동봉) 09;47~55 -운장대 10;14 -상여바위 10;23 -서봉10:35~40-정수암쪽으로 내려가다 활목재 삼거리로
빽 11;10 -삼거리.좌측 서봉 우회길 11;13 -삼거리. 우측 사면 길 갈라짐 11;20 -안부 삼거리. 좌측 길 갈라짐 11;25 -늦은목, 좌측 정수궁 하산로 뚜렷,
우측 좁은 상검태 하산로 11;45 -845봉 11;56 -연석산.삼거리 12;06~10-삼거리봉. 좌측 주차장 하산로(3.0km) 12;13 -913봉 12;16 -삼거리 봉. 좌측 연
동 하산로(3.57km) 12;19 -점심 12;50~13;35 -사봉재. 좌측 원서봉, 우측 중검태로 뚜렷한 길 13;40 -621봉 14;11 -문필봉 14;15 - 사달산 14;21 -암벽
등반로 안내판.삼거리 빽 -14;31~40 -한양 조씨묘 봉우리 15;07 -삼거리, 좌측 동상 하산로 15;15 -525봉.헬기장 15;20 -럭키산(607.9m) 15;33 -삼거리
봉. 구덩이.우측 동상호쪽 하산로 갈라짐 15;45 -동상면 거인리 16;12
거석1교 6:13 -599봉 6:57 -604봉 7:10 -812.5봉 8:21 -816봉 9:15 -814봉 9:26 -암릉우회 9:51 -무덤안부 10:22 -730봉 11:10 -정수암갈림길 11:18 -임도 11:32 -운장산서봉12:11 -854봉 12:20 ~12:55 -늦은목 13:08 -연석산 13:30 -917봉 13:44 -능선갈림길13:46 -사봉재 14:42 -621봉 -문필봉 15:23 -사달산 15:31 -525봉 16:24 -럭키산 16:34 -능선갈림길 16:47 -동상 17:21~17:40 -고산 18:20~18:30 -전주역 19:10~20:21 -용산역 22:35
◈ 도상거리 19km
◈ 산행시간 11시간 08분
산행코스 : 신성마을(09 : 55)-대암벽등반로(10 : 27)-사달산(11 : 11)-문필봉(11 : 18)-사봉재(11 : 57)-연동갈림길(12 : 57)-주차갈림길(13 : 07)-연석
산(13 : 16)-연동마을(14 : 50)
2011,11,20 // 4시간 30분 전,후 // 산행 5시간 전,후
산행일짜: 2012년 1월11일 수요일
날 씨 : 맑 음(연무 약간)
산 행 지 : 문필봉 628m 사달산 634m 럭키산 607m
소 재 지 : 전 북 완주군 동상면
산행코스: 사봉리충혼비~동상제3기지~우측능선~문필봉~사달산~럭키산~동상면거인마을
산행시간: 4시간30분(점심,휴식시간포함 널널하게)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3 이천 설봉산394m~도드람산349m, 원적산564m~천덕봉634m 2012.4.9.월요일 맑음 (1) | 2023.01.01 |
---|---|
0622 여수 봉화산~호랑산~영취산~진례산 2012.4.5.목요일 맑음 (1) | 2023.01.01 |
0620 보성,득량 오봉산320m~작은오봉산284m 2012.3.28.목요일.맑음 (1) | 2023.01.01 |
0619 부여,홍산 천보산325m~월명산544m 2012.3.25.일요일 맑음 (강풍) (2) | 2023.01.01 |
0618 광양 억불봉~백운산~매봉~갈미봉~쫓비산 2012.3.21.수요일 맑음 (1)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