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벼슬봉~노적봉~풍악산~응봉 (오수~남원)
567.7m 600m 579m
2009.2.26 목요일 구름
참석인원: 홍재랑 둘이서
천안 5:35분 (신창행 전동열차) -천안아산역 5:45 ~5:56(목포행 고속열차) -익산역 7:13 ~7:25(여수행 무궁화호) -오수역 8:26 ~8:28 -혼불문학관 8:40(택시비 8000원 ) ~8:50 -첫봉 9:40 -왼쪽등산로 9:52 -다음 바위 전망대 9:53 -닭벼슬봉 10:06 -질매재 10:15 -노적봉 10:26 -다음봉(우회로 있음) 10:35 -신치재 11:07 -남쪽 바위봉 (암릉) 11:40 -풍악산 정상 11:50 ~12:40 (중식) -응봉(헬기장) 13:13 -다음봉 (잡석바위지대) 13:30 -냉기재 13:43 -423.4봉 13:50 -시라재 14:18 -전재 (산소)14:28 - 마지막봉 14:39 -비홍치 14:47 ~14:55 버스(1350원) -남원역 버스정류장 15:06 -남원역 15:15 ~15:36 -조치원역 18:23 ~18:29 -청주집 19:00 도착
~~~~~~~~~~~~~~~~~~~~~~~~~~~~~~~~~~~~~~~~~~~~~~~~~~~~~~~~~~~~~~~~~~~~~~~~~~~~~~~~~~~~~~~~~
♣ 풍악산(600m)
풍악산(600m)은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게면의 경계에 자리한 해발 600m의 아담한 산이다.우리나라에는 몇 천m를 헤아리는 많은 산이 있지만, 그 높이가 오백, 욱백, 칠백, 천 등 백미터 단위로 정수리를 이룬 산은 매우 드물다. 또 모처럼 그 산을 찾아 올라도 헬기장을 닦아 놓아 실제와는 높이가 달라 실망하는 일이 다반사인데 오늘 소개하는 풍악산은 제대로 해발 600m를 유지하는 보기드문 산이다. 더더욱이 식물의 천이(遷移) 과정에서 소나무 숲이 줄어들고 있는 요즈음 능선길의 유별난 소나무 단일 수종의 숲과, 동녘 자락에 자리한 마애불(보물 423호)의 자애스런 모습이 유난하여 한 번은 찾아 올라야 할 내 조국의 명산이기도 하다.
들머리는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의 신촌마을이다. 신촌마을에 들어서면 마을 오른쪽으로 콘크리트 포장길이 이어진다. 대숲 사이로 맑은 물이 흐르는 동리를 지나가면 제법 너른 들판 너머로 풍악산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마애불의 위치를 알려주는 첫번재 팻말을 지나면 주차장이 있는 두번째 팻말을 만나게 되고 오솔길을 오르면 콘테이너가 자리한 임도에서 세번째 팻말을 만나게 된다. 다시 울창한 솔숲 오솔길을 따라 오르면 오늘 산행의 첫번재 소득인 보물 마애불을 만나게 된다.
들머리 찾기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의 신촌마을이 산행 들머리다. 신촌마을에 들어서면 콘크리트 포장길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 이때 오른쪽 길이 마애불상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다.
신촌마을의 콘크리트 포장길에서 오른쪽 길을 따라가면 들판길 삼거리에 이르고, 마애여래좌상 팻말에 표시된 왼쪽길을 이어가면 주차장이 자리한 두번째 팻말에 도달한다. 서쪽의 오솔길을 올라가면 콘테이너 한 개가 자리한 임도에 올라서고 세번째 팻말 위쪽으로 올라가면 마애여래좌상을 만나게 된다(마을에서 25분).
마애불에서 10여m 내려와 왼쪽으로 산길을 올라가면 세 곳의 전망바위를 거쳐 능선에 도달한다(40분 소요). 북쪽(오른쪽) 능선길을 이어가면 30분후 정수리에 올라선다.
신촌마을~마애여래좌상~주능선~정상북쪽 능선~임도~운교리를 잇는 코스의 산행시간은 약 4시간이 소요된다.
~~~~~~~~~~~~~~~~~~~~~~~~~~~~~~~~~~~~~~~~~~~~~~~~~~~~~~~~~~~~~~~~~~~~~~~~~~~~~~~~~~~~~~~~~~~
혼불문학관 8:40 ~8:50
천안역에서 5:35분 전동열차를 타고 천안아산역까지 간다음 용산에서 목포로 가는
5:56분 고속열차로 갈아 탄다.
익산역에 7:13분 도착하여 다시 익산에서 여수로 가는 7:25분 무궁화로 갈아 탄다음 전주를 거치고 임실을 지나 오수역에 내리니 8:26분이다.
역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택시가 한 대 있어 곧바로 차에 올라 혼불문학관으로 향하니 남원쪽으로 오수읍내를 빠져 나가 교량을 건너기전 오른쪽으로 냇가를 따라 난 도로를 따라 가다 앞쪽에 고속도로 공사를 하느라 산허리를 파헤친 부근에 다달아 왼편으로 교량을 건너 소로길을 따라 올라가니 서도리를 지나 혼불문학관에 도착을 한다. 혼불문학관은 주차장 시설이 잘되어 있고 주위환경도 깨끗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다만 올라갈 산쪽의 산허리를 자르고 있는 고속도로 공사 현장이 불성사납게 보인다.
혼불문학관은 1980년 4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무려 17년 동안 최명희님이 집필한 대하소설 혼불을 길이 길이 기념하고자 세운곳이다.
[혼불]은 일제 강점기때 사매면 매안마을의 양반가를 지키려는 3대 며느리들과 거멍굴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선조들의 숨결과 손길, 염원과 애증을 우리말의 아름다운 가락으로 생생하게 형상화 햇다고 한다.
혼불의 배경지인 청호 저수지는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앞쪽의 널따란 벌판의 파란 보리싹을 배경삼아 좋은 위치에 놓여 있다.
첫봉 9:40
산행초입은 혼불문학관 왼쪽으로 나아 있는 소로길을 따라 올라 고속도로 공사현장을 건너 가면 위쪽으로 난 임도길을 따라 가다 오른쪽 등산로를 타고 오르면 닭벼슬봉으로 오를수 있다. 우리는 혼불문학관 2동의 건물 중간지점으로 넘어 곧바로 산소가 있는 능선으로 올라 고속도로 공사 현장의 터널위쪽으로 올라 오른편쪽으로 돌아 가면 마을에서 올라온 등산로길을 따라 오른다.
처음에 이길을 못찾아 잠시 10여분간 알바를 햇지만 곧바로 길을 찾아서 올랏다.
오르는 길목에 잡다한 바위가 놓여 있고 혼불문학관에서 구경을 하고 첫봉까지 오르는데 50분이 소요 되었다.
닭벼슬봉 10:06
첫봉에 오르니 조금한 바위가 있고 북쪽으로 마이산의 두귀가 쫑긋이 솟은 모양이 보이고 왼쪽으로 모악산 서쪽으로 내려오며 내장산 동쪽으로 장안산등의 산이 보이며 산아래 펼쳐진 들녘의 아름다운 모습이 조망이 된다.
이곳에서 출발을 하여 능선을 조금 내려선후 다시 오르면 전망이 좋은 바위봉이 있고 다시 양옆으로 잘 정돈된 듯 분위기 좋은 소나무 숲길을 따라 가면 25분후 등산로 오른쪽으로 올망졸망한 모양의 바위 봉이 있으니 이바위봉이 닭벼슬봉이다. 이봉은 위쪽으로 올라설수 있으나 다시 오르던 방향으로 되돌아 나와 내려서야 한다.
노적봉 10:26
닭벼슬봉에서 소나무숲길을 따라 내려서면 혼불문학과 3.9km, 노적봉 0.2km, 수동 0.7km라 적힌 이정표가 있는 질매재를 지나고 ,질매재에서 한숨을 몰라 쉬고 올라서면 커다란 헬기장으로 된 노적봉 정상에 올라서게 된다.
노적봉엔 삼각점이 있고 혼불문학관 4.1km, 대산 2.5km라 적힌 이정표가 있다.
풍악산 정상 11:50
노적봉에서 가파르게 올라서는 봉이 있으나 이봉은 대부분 아래쪽에서 옆으로 우회를 하엿다. 우리는 오늘 산행일정을 짧게 잡은 관계로 등산로 주변의 바위와 봉등을 모두 거치며 산행을 하고 있다. 이봉에 올라서니 크게 볼 것은 없다. 다시 가파르게 내려선후 신치재에 이르는 길은 암릉길로 바위를 타기도 하며 재미있게 산행을 하며 통과를 한다. 신치재에서 다시 올라면 이곳도 암릉지대로 커다란 바위를 지나 아래쪽으로 암릉이 이어져 이암릉을 따라 끝지점까지 도착하니 11:35 이다.
이 암릉길 마지막 바위끝에서 바라보는 앞쪽의 바위모습이 이쁘다.
다시 11:40분 되돌아 나와 마지막 남은 오름길을 올라서니 스텐으로 만들어 세운 풍악산 정상표시가 있다. 또한 그옆쪽으로 뾰족한 바위가 하나 있으니 그바위 모양이 누가 설명한대로 한문으로 산자 같이 생겻다. 또한 그아래 받침대 부근에 물도 고여 있어 샘의 형상을 하고 있다.
우리는 이곳에서 라면을 끊여 홍재 동상이 준비 해온 찹쌀밥으로 맛있게 점심식사를 나눈다. 홍재동상 점심도시락 맛있게 잘먹엇다오 ~
응봉(헬기장) 13:13
정상에서 솔잎이 수북히 쌓인 길을 따라 내려선후 아기자기한 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내령재에 이르게 된다.
내령재아래는 대산면 운교리로 유명한 마애불이 있으나 여기서 내려 갓다 올라 오긴 좀 힘들겟다.
반대쪽으로 내려서면 동계면으로 아래쪽에 보이던 산이 책여산이 아닌가 한다.
내령재에서 다시 올라서게 되면 커다란 헬기장으로 이곳이 응봉이다. 응봉엔 이렇다할 표석이나 이정표도 없다.
423.4봉 13:50
응봉에서 이어지는 능선도 아름다운 소나무 숲으로 삼림욕으로는 그만이 겟다.
조그만한 돌이 등산로 여기저기에 솟아 있어 밋밋한 산길보다는 걷기가 훨낫다.
한동안 이어지는 산길은 오른쪽으로 살짝 꺽이며 내려서는 길이다. 조금을 내려선후 다시 평탄하게 이어지는 능선에도 역시나 소나무숲은 좋다.
산아래 보이는 금지면의 들녘이 평화롭게 조망이 되며 냉기재를 정점으로 다시 길은 오름길로 423.4봉을 살짝 우회를 하여 길은 왼편으로 방향을 틀며 진행을 한다.
비홍치 14:47
423.4봉에서 30여분을 진행을 하면 시라재로 재 아래 전답이 있으며 이곳으로는 농기계 정도는 넘나들 수 있는 고개다. 이 고개에서 다시 능선으로 올라서 10여분을 조금 못가면 잘 가꾸어 놓은 커다란 여러 기의 산소가 있고 이 아래에 전재가 있으며 전재에서 오른편으로는 비홍치에서 넘어 간 도로가 지나고 있다.
전재에서 다시 한숨을 몰아 쉬고 올라 서면 조그만 봉을 하나 더 넘고 마지막 비홍치로 가는 길을 지나 위쪽 봉에 올라서게 된다.
이봉은 전망도 없고 그냥 비홍치 전 마지막봉으로 그 맥을 다한다.
마지막봉에서 조금을 오던길로 내려와 하산을 하게 되면 상석까지 한 커다란 산소 2기를 지나고 조금더 내려 오면 비홍치가 보이며 둘레석까지 한 관리를 잘 하고 있는 산소를 지나며 비홍치에 닿는다.
오늘 산행은 이곳까지 하기로 이미 마음 먹엇기에 시간이 좀이르긴 하지만 여기서 끝을 맺으려 한다.
비홍치에 있는 문덕봉 고리봉까지의 이정표를 보니 개동지맥의 마지막 지점인 상귀까지는 21km 이니 다음에 한구간을 끈으면 딱맞겟다.
오늘 걸은 구간도 14.6km로 나왓으나 우리는 오른쪽으로 봉을 하나더 타고 넘었으니 15.5km는 되겟다.
비홍치에서 기다리는 사이 직행이 하나 지나고 오래 기다리지 않은 8분만에 버스가와 승차를 하고 남원역 앞 버스정류장에 내려서 도로를 건너 남원역까지 천천히 걸으니 15분 정도가 소요된다.
남원역에서 다시 15:36분 열차를 타고 홍재는 천안으로 돌아 가고 난 조치원역에 내려서 청주 집에 도착을 하니 이른 시간인 19시에 도착을 한다.
오늘도 같이 산행한 홍재 동상 고맙고 담산행에서 봄세 ~~
오수역 ~혼불문확관 택시비 ; 8000원 (소요시간 12분)
비홍치 ~ 남원역 버스비 ; 일인당 1350원 (소요시간 11분)
산행시간 : 6:00시간
산행거리 : 15.5km
~~~~~~~~~~~~~~~~~~~~~~~~~~~~~~~~~~~~~~~~~~~~~~~~~~~~~~~~~~~~~~~~~~~~~~~~~~~~~~~~~~~~~~~~
남원,오수 노적봉~풍악산~응봉
천안아산역 5:56 - 익산역 7:13 ~7:25 -오수역 8:25
= 7:16 - = 8:31 ~8:50 -오수역 9:47
천안 8:03 -조치원역 8:24 - 오수역 10:58
남원역 15:36 -조치원역 18:23
= 16:31 - = 19:09
= 18:42 - = 21:32
= 19:41 - 서대전 21:40 - 천안 22:30 (서대전 22:35 -조치원 23:05)
오수역 ~서도리 혼불문학관 : 8.45km 15분소요
남원역 ~서도리 혼불문학관 : 16.07km 30분소요
남원역 ~풍산리 13km (비홍치 11km) 15분소요
산행코스 ; 혼불문학관 -1km - 호성암 -닭벼슬봉 - 3km -노적봉 -신재 -2.8km -풍악산 -2km -매봉(응봉) -2.5km -423.5봉(십자봉) -3.2km -비홍치(14.6km 7시간 30분소요)
남원 ~비홍치 ; 시내버스 23회운행 (동계 10회, 대강 13회)
남원택시 ; 남원 대한택시 1077호 전번 011-682-7353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04 홍도 깃대봉,유람선관광~흑산도 상라봉 2009.3.7일 토요일 맑음1일 홍도 관광 (0) | 2022.12.17 |
---|---|
0403 욕지도 천황산~연화도 연화봉(통영)2009.2.28 토요일 맑음 (1) | 2022.12.17 |
0401 유학산 839m ~ 봉두암산 326.7m (구미,칠곡)2009.2.21.토요일 맑음 (1) | 2022.12.17 |
0400 무척산~석룡산~금동산 (김해 상동) 2009.2.16 월요일 맑음 (2) | 2022.12.17 |
0399 황등산~쌍두봉~지룡산(청도)2009.2.14 토요일 맑음 (1)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