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기록

1035 진양기맥5 내율고개~광제산~용산치~장아산~양마산~남강댐 2017.10.30.월요일 맑음

진양기맥5 내율고개~광제산~용산치~장아산~양마산~남강댐

광제산420m, 장아산200m, 양마산156.5m

 

2017.10.30.월요일 맑음

참석인원 : 적막이랑 둘이서

 

청주 집 29 22:00 -버스정류장 22:05 ~22:15 -조치원역 22:50 ~00:14(10분 연착 00:24출발) -순천역 03:22(16분 연착 03:38) ~아침식사 및 휴식 -06:32 -진주역 07:30 -도보 -경상대앞 버스정류장 07:53~07:57 -142번 버스(1350) -신기마을(해발 약110m) 08:45 ~08:50 -임도 삼거리(좌측으로, 1.35km, 208m) 09:11 -내율고개(등산안내도, 공터, 1.47km, 225.9m) 09:13 -116번 송전탑 09:21 -동전마을 삼거리(우측으로, 1.95km, 235m) 09:23 -1분후 능선 사거리 -115번 송전탑(2.16km, 247m) 09:26 -이정표(광제산 봉수대 1km, 2.73km, 315m) 09:33 -삼거리봉(좌측으로, 2.91km, 347m) 09:37 -1분후 113번 송전탑 -홍지소류지 삼거리 이정표(우측으로, 3.33km, 402m) 09:47 -광제산 봉수대(3.62km, 420m) 09:55 ~10:03 -급경사 내리막길 -묘지(4.18km, 350m) 10:13 -덕곡고개(세멘트 임도 삼거리, 좌 덕곡리, 우 외율리, 4.46km, 222m) 10:19 -오르막길 -좌꺽임 능선(4.86km, 290m) 10:26 -능선 임도길 -산길 -해발 약310(5.17km,) 10:31 -정자 삼거리(우측으로, 5.25km) 10:33 -안부(5.53km, 260m) 10:39 -좌측으로 폐 임도 -299.5(삼각점, 우측 좁다란 길로, 좌측은 명석면으로, 5.95km) 10:48 -우측 좁다란 길 따라 내려서면 옛임도길 -107번 송전탑(6.19km, 280m) 10:54 -잠시후 우측 좁다란길로 -좌측으로 널찍한 임도길 보임 -임도고개(6.48km, 190m) 10:58 -209(좌꺽임, 함안조씨묘, 6.57km) 11:01 -204(6.8km) 11:06 -안부고개(7.05km) 11:09 -220(좌꺽임, 7.24km) 11:15 -산소 -242(우꺽임, 내려오는쪽으로 산소, 7.57km) 11:21 -놋종기 먼당(돌탑, 7.94km, 260m) 11:29 -260(우꺽임, 철쪽꽃, 8.32km) 11:38 -내려서는 길 나쁨 -묵묘지대(진양정씨묘, 8.78km) 11:46 -용산치(9.51km, 76m) 11:58 ~12:06 -150(좌꺽임, 9.72km) 12:15 -좌꺽임봉(10.05km) 12:23 -196(삼각점, 10.15km) 12:26 -204(10.44km) 12:31 -묘지 -안부고개(좌측 북천사, 10.65km) 12:35 -240(11.20km) 12:46 -좌측으로 농가 가는길 -좌측으로 묘지 보임 -227(좌꺽임봉, 11.57km) 12:52 -잡목길 -좌측으로 밤나무 단지 -삼거리봉 우측으로 95번 송전탑(12.25km) 13:05 -삼거리봉으로 돌아와서 -장아산(12.77km, 200m) 13:18 -212(좌꺽임, 13.24km) 13:25 ~13:42(중식) -산소 -219.2(작은 바위, 13.63km) 13:49 -218(꺽임, 14.01km, 길주의) 13:55 -산소 -안부 -180(돌무더기, 14.51km) 14:08 -임도고개(진주강씨묘역, 14.75km) 14:11 -능선 임도 -176(14.89km) 14:15 -판문고개 도로(15.21km, 64m) 14:23 -도로 따라 좌측으로 -우측 소로길로 -중부고속도로 대전~통영간 지하통로(15.49km) 14:27 -절개지 철계단 칡덩쿨로 오를수 없음(안쪽 산사면으로) -164(좌꺽임, 15.85km) 14:38 -180(우꺽임, 16.17km) 14:45 -안부사거리(16.48km) 14:50 -146(좌꺽임, 16.80km) 14:53 -안부고개(위쪽으로 산소, 서낭당, 17.34km) 15:03 -삼거리(좌측으로, 17.56km,172m) 15:11 -172.3(삼거리 이정표, 우측 팔각정자쪽으로, 17.80km) 15:15 -좌측 하산로 -삼거리(우측 계단쪽으로) -양마산(팔각정자, 우측으로, 18.10km, 156.5m) 15:25 -쉼터봉(18.79km, 113m) 15:43 -여기부터 보도블럭길(우측 철조망) -안부(좌측 하산로, 19.00km) 15:46 -전망대(19.22km) 15:54 -아시아 호텔 -이재호 노래비 -주차장 16:04 -우약정(19.79km) 16:05 -망향비 06:16 -진양호 공원 앞 버스정류장(20.50km) 16:15 ~16:20 -120번 버스(1300) -진주시외버스터미널 16:45 ~17:00 -버스비11400 -덕유산휴게소 18:20~18:35 -대전복합터미널 19:25~19:36 -버스비3800 -청주시외버스터미널 20:26 -청주 집 20:45

~~~~~~~~~~~~~~~~~~~~~~~~~~~~~~~~~~~~~~~~~~~~~~~~~~~~~~~~~~~~~~~~~~~~~~~~~~~~~~~~~~~~~~~~~~

광제산[廣濟山] 420m 경남 진주

광제산봉수대[廣濟山烽燧臺]1997 1 30일 경상남도기념물 제158호로 지정되었다. 광제산 높은 봉우리에 설치된 군사 통신 시설의 하나로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로 신호를 하던 봉수대이다. 남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하여 그 정세를 중앙에 전달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 중요한 통신 수단이었다. 조선 세종조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남산에서 동래선인 직봉(直烽)을 보조하는 간봉(間烽)으로 남으로는 망진산(望晉山), 북으로는 단성의 입암산(笠岩山) 봉수와 상응하였다. 현재는 화구와 봉수대의 석축 일부 등 흔적만 남아 있다. 통신문명사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백과사전]

 

광제봉수대는 전국의 5개 직봉 가운데 동래 다대포진에서 서울에 이르는 제2간봉으로 남쪽으로 남해 금산  창선 대방산  사천 각산  사천 안점  진주 망진산과 북쪽으로는 산청 신안 벽계봉수대  합천 금성산  충주 망이산으로 전달되었다.

광제산의 높이는 420m로서 비교적 낮은 산이지만 남쪽의 남해바다와 북쪽의 덕유산 자락이 보일만큼 주변의 시야가 매우 좋아 봉수대의 입지로서 최상의 여건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이 봉수대는 그동안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아 상부만 무너진 채 원형을 보전하고 있어 문화재(경상남도기념물 제158)로 지정되었습니다. 2004년 무너진 돌무더기를 이용하여 원형대로 복원함으로써 전국에서도 원형이 살아있는 몇 안 되는 봉수대로서 문화재적인 가치가 높아 청소년들에게 봉수대의 원형을 교육할 수 있는 소중한 곳이다.

명석면에서는 백두대간에서 뻗어내려 자연의 숨결이 그대로 살아 숨쉬고 있는 광제산 줄기를 천혜의 등산로로 개발하여 전국에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광제산맥은 큰 바위가 전혀 없이 흙으로만 형성된 부드러운 산세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한국산 토종소나무 숲으로 덮여있는 산입니다. 등산로는 토종소나무 숲 터널을 따라 만들었으며, 해발 420m 높이의 광제산을 중심으로 남으로 명석면사무소까지 10, 북으로 집현산(572.2m)까지 10 구간으로 총연장 20의 전국최대 토종소나무 숲 웰빙등산로이다.

광제산등산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 최고의 등산로이다.

전구간(20) 100% 토종소나무 숲길로서 인체에 유익한 피톤치드를 다량 흡수할 수 있다. 등산로 바닥에 돌이 없고 낙엽 길로서 쿠션이 좋아 관절을 보호하는 최상의 등산로이다.

등산로의 경사가 완만하여 누구나 충분한 시간만 가지면 쉽게 산행할 수 있다.

등산코스가 다양하여 아마추어와 프로가 다함께 산행할 수 있다.

 

녹종기 먼당

놋종기란 놋그릇 즉, 유기로 만든 조그만 술잔과 그릇종류로 경상도에서는종재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먼당이란 봉우리란 뜻으로 즉, 다시 해석하면 놋그릇 술잔만한 봉우리로 아주 적은 봉우리란 뜻이다.

놋종기먼당의 유래는 옛날 천지개벽시에 이곳에 온 천지가 다 물에 잠겨버리고 산꼭대기가 놋종기만큼 물에 안잠기고 남았다고 하여 놋종기먼당이라 부르며 이 봉우리 중턱에는 청춘남녀가 사랑을 나눴다는 사랑바위가 있다고 한다

 

진양호[晋陽湖 ]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대평면내동면수곡면 사이에 있는 호수.

개설

진양호 공원은 경호강과 덕천강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70 7월에 길이 975m, 높이 21m의 댐이 건설됨으로써 등장한 낙동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 인공호이다. 46m의 계획 홍수위에서 만수 면적과 총 저수 용량은 각각 29.4 3 9200이며, 홍수조절 능력은 27천만이다. 남강댐의 유역면적은 2,293.42이며 유역 둘레는 328.01이다.

자연환경

계획 홍수량 초당 1 570를 사천만 방류와 저수지 조절에 의하여 남강 본류에는 2,000 이하만 방류함으로써, 남강 하류 연안 토지 5ha에 대한 홍수의 피해를 줄이고, 남강 하류의 7,500ha와 낙동강 하류의 2,300ha 농경지에 연간 6천만의 관개용수는 물론 진주시와 사천의 상수도 용수로 각각 하루 10만여를 공급하게 되었다.

현황

주요 시설물로는 남강댐으로서 초당 1 570의 계획 홍수량을 조절, 방류하기 위하여 문비 6문을 보유하는 여수로 시설과 홍수 때 사천만으로 방류를 위한 문비 10문을 보유하는 제수언 시설, 연장 11에 달하는 방수로 시설, 시설 용량 14kw의 발전소 시설이 있다.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 명소의 하나인 이곳은 수려한 호반과 주위에 각종 위락 시설 및 낚시터를 갖추고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아 든다.

주변에 약 2,000그루의 벚나무가 심어져 있어 봄 벚꽃 놀이가 펼쳐지고, 유람선진주 민속박물관전망탑팔각정 등이 호수 유원지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호수 주변 방풍림과 5개의 섬이 잘 어우러져 자연경관 또한 빼어나다. 남강댐 유역을 중심으로 52.623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진양호상수원보호구역은 28.065에 이른다. 진양호 하류에는 진주성과 촉석루가 있으며, 김시민 장군의 진주대첩을 기리는 유등축제가 해마다 개최되고 있다.

 

남강댐

남강댐 수력발전소경남 진주시 판문동에 있는 낙동강 지류인 남강을 가로지른 댐. 낙동강수계 최초의 다목적댐으로 높이 21m, 길이 975m, 부피 825000의 중심코어형 필댐이다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에 있는 낙동강 지류인 남강을 가로지른 댐.

내용

댐 우안은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에 속한다. 19201930년대에 실시한 낙동강개수계획의 일환으로 남강 홍수량의 사천만 방류계획을 성안하여 홍수 조절을 위한 단일 목적으로 1939년에 착공하였으나 방수로에 토석 약 200를 굴착하고 중단되었다. 1949년에 재착공하였으나 댐코어 시공 도중 또다시 중단되었다.

그 뒤 홍수 조절 외에 관개용수·상수도용수 공급 및 발전을 포함하는 다목적댐사업으로 계획을 조정하여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사업으로, 1962 5월 제3차로 착공하여 1970 7월 완공하였다.

낙동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댐으로 높이 21m, 길이 975m, 부피 82 5000의 중심코어형 필댐(fill dam)이다. 상류 표면 경사는 1:2에서 1:2.2, 하류 표면 경사는 1:1.8에서 1:2 구배를 이룬다.

댐 우안은 길이 68.5m의 여수로구간 및 길이 30m의 발전소구간이 콘크리트댐으로 이어진다. 댐 마루는 해발 42m, 계획 홍수위는 해발 39.5m 2.5m의 여유고를 보유하고 있다. 댐 지점의 유역 면적은 2,285, 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수지는 진주시를 위시하여 경상남도 내 3 9개 면에 걸쳐 있으며, 39.5m의 계획 홍수위에서 만수 면적과 총 저수용량은 각각 29.4 1 8900이다.

이 댐은 계획 홍수량 초당 1 570를 사천만 방류와 저수지 조절에 의하여 남강 본류에 2,000 이하만을 방류함으로써, 남강 하류 연안 토지 5에 대한 홍수의 피해를 줄이고, 남강 하류의 7,500와 낙동강 하류의 2,300 농경지에 연간 6천만의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또한, 진주시와 사천 지구의 상수도 용수로 각각 하루 10만여를 공급하며 최대 출력 1 2600의 전력과 연간 43Gwh의 발전량을 공급한다.

댐의 주요 시설물은 본댐 외에 초당 1 570의 계획 홍수량을 조절, 방류하기 위하여 문비 6문을 보유하는 여수로 시설과 홍수 때 사천만 방류를 위한 문비 10문을 보유하는 제수언 시설(制水堰施設), 연장 11에 달하는 방수로 시설, 시설 용량 1 2600의 발전소 시설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 옮김

~~~~~~~~~~~~~~~~~~~~~~~~~~~~~~~~~~~~~~~~~~~~~~~~~~~~~~~~~~~~~~~~~~~~~~~~~~~~~~~~~~~~~~~~~

청주 집 29 22:00

어느덧 날씨가 제법 추워졌다. 내일 아침에는 영하권으로 내려가는 곳이 많다고 한다. 진양기맥을 시작 할 때는 가장 날씨가 무덥던 8 9일 이었다. 그간 진양기맥과 영월지맥을 같이 하며 영월지맥 마지막 구간에서는 비를 맞으며 곱게 물든 단풍과 운무가 서린 태화산의 멋진 모습도 보았고 적막님의 교육으로 2주간을 쉬면서 시월의 마지막 날까지 왔다.

이제 마지막 남은 진양기맥을 마무리 하러 가기로 한다. 적막님은 천안에서 순천으로 가는 마지막열차를 타고 난 조치원역에서 순천으로 가는 마지막열차를 타기로 한다. 조치원역에서 순천행 00:14분 차를 타기 위하여 난 집에서 22시 출발을 한다.

 

신기마을(해발 약110m) 08:45 ~08:50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산행지로 향하자니 행로가 좀 복잡하다. 청주집에서 출발하여 시내버스로 조치원역에 도착을 하니 22 50분이 된다. 순천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는 00 14분차이기 때문에 1시간 20분을 기다려야 한다. 승용차로 시간에 맞추어 오자니 올 때 버스로 와야 하기 때문에 이것도 쉽지 많은 안다. 미리 나와서 좀 기다리는 편이 낫다. 열차가 10분이 늦어 00 24분 출발을 하여 낮잠을 자지 않은 덕에 금시 잠이 들어 익산역 전주역만 기억이 나지 다른 역은 기억이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푹 잘 잔 것 같다. 이윽고 열차는 구례구역에 도착을 하여 마지막 한정거장을 남기고 정신을 차려 순천역에 내리니 열차가 늦어서 3 40분이 된다. 순천에서 진주로 가는 포항행 열차는 6 32분차로 대합실에서 3시간가량을 기다려야 한다. 다행히 순천역에서 행신으로 가는 5 22분차가 있어 문을 닫지 않아 대합실에서 추위에 떨지는 않고 기다릴 수 있다. 티비를 보며 5 30분 까지 기다린 후 역 앞 식당으로 이동을 하여 순대국밥으로 아침식사를 한 후 다시 대합실로 들어와 잠시 기다린 후 포항행 6 32분차를 타고는 또 한숨을 자로 일어나 진주역에 정시로 도착하여 도보로 역 앞으로 조금 나가면 좌측으로 새로 개설한 도로를 따라 가면 20여분 후 경상대앞 버스정류장에 도착한다. 버스는 정류장에 도착 후 4분이 지나 도착하여 7 57분 출발하여 대략 1시간 후 인 8 45분 우리의 목적지인 신기마을 종점에 도착을 한다.

 

광제산 봉수대(3.62km, 420m) 09:55 ~10:03

신기마을 종점에 도착하여 잠시 산행준비를 마친 후 산행에 들어간다. 잠시 후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는 노거수 정자 앞을 지나고 좀 더 가면 좌측으로 솔기저수지로 올라가는 지름길이 있다. 난 약은 꽤를 부려 저수지 둑을 타고 올라가니 시간이 더 걸리는 것 같다. 제방둑을 지나 좌측편 임도 길을 따라 올라가면 마지막에 세멘트 길이 나오고 잠시 후 임도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측 편으로 오르면 내율고개다. 널찍한 공터가 있고, 광제산 등산안내도와 산림정화 안내문이 있다. 예전에 있었던 버스회차지점 표지판은 없어졌다. 몇 해 전 적막님과 함께 홍지마을에서 광제산 봉수대로 올라와 집현산 7봉 종주를 마치고 생비랑면으로 내려 갈 때만해도 버스회차지점 표지판이 있었다. 내율고개에서 등산로는 좌측편 계단으로 오른다. 잠시 올라서서 능선을 따라 가면 116번 송전탑이 나오고 2분을 더 가서 좌측편으로 동전마을로 하산하는 지점에 이정표가 있다. 동전마을 2km, 광제봉수대 2km가 적혀 있다. 이후 우측편 능선 길을 따라가면 1분후 능선을 가로 지르는 능선 사거리를 지나서 115번 송전탑이 있는 지점부터 산길이 잠시 오르기 시작하여 돌로 봉분아래를 쌓은 산소를 지나고 광제산 봉수대 1km가 적혀 있는 이정표를 지나서 삼거리봉에 닿는다. 이곳을 네이버 지도나 다음지도에는 광제봉으로 표시하였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1분후 113번 송전탑을 지나고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면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좌측으로 홍지소류지 2km, 광제산 봉수대 0.3km가 적혀 있다. 이제 우측 능선을 따라가면 좌측으로 홍지주차장 2.0km,  0.2km가 적혀 있는 샘삼거리를 지나서 잠시 더 오르면 광제산 봉수대가 있는 정상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 내율임도 2km, 홍지주차장 2km,  0.3km, 집현산 6.0km가 적혀 있다. 돌로 둘레를 쌓은 봉수대를 우측으로 돌아서 가면 봉수대로 들어가는 계단이 나온다. 광제산 봉수대에 대한 안내도와 광제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봉수대 안쪽으로 들어가면 광제산 봉수대 정상석이 있고, 봉수대 3개를 복원하여 놓았으며 3개의 조망도에는 남쪽으로는 사천의 와룡산, 진주시내, 망진산, 월아산등이 표시되어 있고, 서쪽의 조망도에는 진양호, 지리산 천왕봉, 웅석산, 둔철산, 황매산등이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동쪽의 조망도에는 집현산, 자굴산, 방어산, 월아산, 진주시내가 표시되어 있어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렇듯 광제산 봉수대는 조망이 매우 좋다. 청명한 날씨에 바람 한 점 없는 조금은 쌀쌀한 날씨지만 산행하기는 딱 좋은 날씨다.

 

299.5(삼각점, 우측 좁다란 길로, 좌측은 명석면으로, 5.95km) 10:48

광제산 봉수대에서 명석면 방향으로 내려가면 산길은 널찍하니 좋다. 서서히 내려서는 길 양쪽으로는 푸르른 대나무숲이 우거져 있으며 119구조 광제산-8번 지점부터 가파르게 내려서는 길에는 소나무숲길이 이어진다. 묘지를 지나고 좀 더 내려서면 임도 삼거리가 나온다. 덕곡고개로 좌측은 덕곡리, 우측은 외율리로 이어진다. 이곳에는 명석면사무소에서 광제산 봉수대까지 10km, 최고의 소나무길 웰빙 광제산 등산로 표지판이 있다. 덕곡고개에서 임도 중간 능선으로 오르기 시작하면 이곳도 길은 널찍하니 좋다. 7분여 오르면 능선은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널찍한 임도 길로 연결이 되어 해발 약310봉으로 오르는 입구까지 이어지며 이후 산길을 따라 잠시 더 오르면 해발 약310봉에 닿는다. 310봉에서 내려서는 길로 조금 가면 사각정자가 나온다. 정자앞 이정표에는 광제봉수대 2km, 좌측으로 덕곡마을 2km, 우측으로 명석면사무소 8km가 적혀 있다. 명석면사무소 방향인 우측으로 내려서면 6분이 지나 안부에 닿고 잠시 가면 좌측으로 폐 임도가 보이고 이후 좀 더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 약299.5봉에 닿는다. 삼각점 안내문에는 286.5m로 되어 있다. 여기서 널찍한 길은 명석면사무소 방향인 좌측으로 진행이 되고, 기맥 길은 우측 좁다란 길로 내려서야 한다.

 

놋종기 먼당(돌탑, 7.94km, 260m) 11:29

299.5봉에서 우측편 좁다란 길을 따라 잠시 내려서면 널찍한 능선 길에 닿는다. 능선 길을 따라 잠시 내려서면 우측으로 107번 송전탑이 나오고 여기서 1분을 채 못가서 우측 편으로 내려서는 좁다란 길 쪽으로 표지기가 붙어 있다. 이 길을 따라 내려서면 잡목 길을 따라서 진행이 되며 능선 좌측 편으로 널찍한 임도길이 나란히 가고 있는 것이 보인다. 능선을 따라 몇 분간을 진행을 하면 앞쪽으로 임도고개가 보이며 잠시 내려서서 임도에 닿은 후 다시 건너편 능선으로 달라붙어서 올라선다. 여기 임도는 용산리 연화암과 오미리 소원사를 잇는 임도로 개설한지 오래 되지는 않은 것 같다. 이제 오르기 시작하면 함안조씨묘가 있는 해발 209봉으로 능선은 이곳에서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이 되어 50분을 가면 해발 약204봉 다시 3분후 안부고개를 지나서 오르기 시작하면 잡목으로 덥여 있는 220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면 산소가 있고 다시 올라서면 해발 약242봉으로 여기서 능선은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내려서면서 봉분이 사라진 폐 묘지가 있으며 7~8분을 더 가면 시커멓게 변색이 된 작은 돌탑이 나온다. 돌탑 앞쪽에 표지석이 있는데 글씨가 전혀 보이지 않고 돌탑 앞쪽에 세워둔 안내문도 글씨가 퇴색이 되어 거의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다. 올봄 사진만해도 이곳 표지석에 놋종기 먼당이란 글씨가 뚜렷하게 나왔는데 내가 잘못 본 것인지는 몰라도 글씨를 보지 못했다. 안내문의 글씨를 전에 올려놓으신 분들의 자료를 살펴보면

놋종기먼당(해발265m) 등산로 안내

본 등산로는 진주시 명석면 오미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놋종기먼당은 백두대간인 덕유산에 뿌리를 두고 금원산, 황매산을 거쳐 집현산을 일구었고 두 줄기로 나뉘어져 동쪽으로 달려나가 진주시 소재 비봉산을 이루었고 서쪽으로 부드러운 형상으로 뻗어 나가 후덕한 광제산(해발 420m)을 이루어 그 아래로 서남쪽으로 내려와 자리잡은 작은 산봉우리입니다.

그 유래는 천지개벽 시에 놋종기 만큼 남았다고 하여 놋종기먼당 이라 부르며 아래 중턱에는 청춘남녀가 사랑을 나누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사랑바위가 있습니다. 동남쪽으로는 국시봉과 만리산이 보이며 남쪽으로는 대평면 전경과 진양호가 훤이 보이고 서북쪽으로는 장군이 투구를 쓰고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장군대좌(將軍大座)가 보여 주변의 시야가 매우 좋습니다. 이런 역사적인 자리에 오미경로회와 구 청년회가 뜻을 같이 하여 주변을 정리하고 2009 3 8 11시에 표지석을 세웠으며 앞으로 만인의 건강증진의 쉼터로 자리매김하기를 기원합니다.

2009 10 12

놋종기회

이런 글씨가 안내문에 적여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진양호가 내려다보이며 호수 뒤편으로 높다란 산들은 지리산 줄기인 옥종면의 옥산부터 주산 삼신봉 지리산 천황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다. 이렇듯 놋종기 먼당의 위치도 조망이 매우 좋은 곳이다.

 

196(삼각점, 10.15km) 12:26

놎종기 먼당에서 능선은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이 되면 산길은 별로 좋지를 않치만 서서히 내려서는 평탄한 길을 따라 내려서서 안부를 지나 잠시 오르면 놋종기 먼당이 있는 봉과 높이가 같은 해발 약260봉에 닿는다. 이곳은 따뜻해서인지 진달래가 피었고, 어떤 철쭉 나무는 때를 분간 못하고 꽃을 만개해 겨울이 닿아오는 계절에 철쭉꽃을 구경한다. 이봉에서 능선은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서서히 내려서게 되고 내려서는 능선으로도 철쭉꽃이 여럿 보인다. 이렇게 내려서면 산길은 매우 좋지를 못하며 10여분을 못가서 묵묘가 여럿 있는 지점에 닿는다. 진양 정씨묘역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잡목 길을 헤치고 내려서면 마지막 용산치 고개에서 산길은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용산치 절개지 북쪽 끝 지점으로 내려서게 된다. 잠시 후 차량이 뜸한 틈을 이용하여 도로 중간 팬스를 넘어 뛰어 반대편으로 넘어선다. 잠시 좌측으로 올라가면 용산치고개 정상에 작은 휴게소가 있다. 커피, 칡즙, 삶은 계란등을 판매하고 있다. 적막님이 이곳에서 삶은 계란 2 1000원에 사서 하나씩 나누어 먹으며 휴식 후 출발을 한다. 용산치에서 오르는 길은 우측편 세멘트 길 좌측 편으로 표지기가 붙어 있는 곳으로 오른다. 절개지 옆 능선으로 올라서서 잡목을 헤치고 오르면 좌꺽임봉인 해발 약150봉에 닿고 잡목지대 능선을 따라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8분후 첫 번째 좌꺽임봉을 지나서 3분을 더 가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 약196봉에 닿는다. 조각이 난 표지판이 걸려 있다.

 

212(좌꺽임, 13.24km) 13:25 ~13:42(중식)

196봉을 지나고 5분후 204봉을 지나며 내려서는 곳에 봉분이 없는 묘지가 나오고 다시 4분을 더 가면 좌측으로 북천사가 있는 안부고개에 닿는다. 안부를 지나서 240봉에 올라서서 능선을 따라가면 여기도 철쭉꽃이 여러그루 만발해 있다. 좀 더 가면 우측으로 조망이 확 트이며 개인사유지라고 출입을 금지한다는 푯말이 나온다. 여기부터는 길이 좋아지며 좌측으로 농가로 가는 길이 있고 좌측편 능선 사면 아래로 산소지대 및 멀리 마을까지 보인다. 이렇게 하여 좌꺽임 봉인 227봉에 닿은 후 이어지는 산길은 잡목 길로 매우 좋지를 않다. 산소를 지나고 좌측으로 밤나무단지를 지나고 여러개의 표지기가 붙어 있는 삼거리봉에서 우측 편으로 보이는 송전탑에 가까이 가니 95번 송전탑이다. 다시 삼거리봉으로 돌아와 잔 소나무 틈새로 빠져나가면 10여분이 좀 더 지나 해발 약200m인 장아산에 닿는다. 작은 소나무로 둘러 쌓인 봉으로 표지기 몇 개만 붙어 있다. 다음지도에만 장아산으로 표시되어 있는 봉이다. 이후 점심식사 할 장소를 찾으며 진행을 하니 마땅한 장소가 없어 좌꺽임봉인 212봉에 자리를 잡고 점심식사를 한 후 출발 한다.

 

중부고속도로 대전~통영간 지하통로(15.49km) 14:27

212봉을 출발하여 진행을 하면 조망이 트이는 장소가 나온다. 지나온 광제봉 까지의 능선이 조망이 되고 멀리 웅석봉, 둔철산, 황매산 까지의 안쪽 산들이 올망졸망 시야에 들어온다. 이후 잠시 올라서면 참나무 가지에 표지기가 붙어 있는 작은 바위가 있는 해발 약219.2봉에 닿는다. 서서히 내려서고 다시 오르는 길에는 바위들이 보이고 앞쪽으로 진주시내까지 조망이 확 트이며 우측으로 진양호의 물길이 보이기 시작하며 218봉에 닿는다. 218봉에서 무심코 우측으로 보이는 길을 따라 가니 길에서 벗어난다고 한다. 다시 돌아 올라와 좌측으로 보니 길이 보인다. 첫머리 가파른 지대를 내려서면 이후로는 능선으로 길이 그런대로 나 있다. 산소를 지나고 안부를 지나며 평탄한 능선을 따라가면 굵직한 소나무 기둥아래 돌무더기가 있는 해발 180봉에 닿는다. 우측으로 진양호변을 지나는 교량이 보이고 앞쪽으로는 널찍한 임도고개의 평탄한 안부 부근으로 산소가 있는 것이 보인다. 내려서는 좌측으로 고사리밭으로 들어가지 말라고 철조망이 쳐져 있고 잠시 내려서면 진주강씨묘역이 있는 널찍한 임도고개에 닿는다. 이곳에서 능선으로 난 널찍한 임도를 따라 잠시 오르면 해발 약176봉으로 여기서 잡목 길을 따라 내려서면 10분을 못가서 판문고개 도로에 닿는다. 도로에서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 가다가 우측편 소로 길로 들어가면 중부고속도로 대전~통영간 도로아래를 지나는 지하 통로가 나온다.

 

양마산(팔각정자, 우측으로, 18.10km, 156.5m) 15:25

지하통로를 건너서 우측 편으로 철 계단이 있는데 칡 덩쿨이 점령을 하여 올라 설수가 없다. 절개지 옆 사면으로 따라 올라선다. 이곳으로 간혹 올랐는지 길 흔적이 있다. 이렇게 올라서면 좌 꺽임봉인 해발 약164봉이다. 이제 좌측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하면 7분이 지나 우꺽임봉인 해발 약180봉에 닿는다. 180봉에서 5분을 내려서면 안부사거리다. 이제 능선으로 길은 많이 좋아 졌다. 좌꺽임봉인 해발 약146봉을 지나고 안부고개가 보이는 위쪽 산소를 지나 내려서면 서낭당터인 안부고개에 닿는다. 여기부터 산길은 제대로 나 있다. 잠시 씩씩거리며 8분여 오르면 우측편 진양호 쪽에서 올라온 길과 만나는 삼거리봉인 해발 약172봉이다. 이제 능선으로 길은 매우 좋다. 3분여 진행을 하면 우측으로 우회길이 있는 삼거리를 지나 잠시 더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 해발 약172.3봉인데 잡목과 가시덤불로 덥여 있여 삼각점은 찾을 수 없고 여기서 산길은 두 갈래로 갈린다. 좌측은 상락원입구, 판문예술촌 방면이며, 우측은 팔각정자가 있는 양마산으로 가는 길로 300m가 적혀 있다. 우리가 온 쪽으로는 호수변 1100m가 적혀 있다. 삼거리 우측편 우회길 쪽으로 쉬어가라고 의자가 놓여 있고 잠시 내려서면 좌측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는 삼거리를 지나서 의자 몇 개가 놓여 있는 널찍한 삼거리에 닿는다. 좌측은 파크골프장 250m, 우측 계단으로 올라서 100m를 가면 팔각정자가 있는 양마산 정상이다.

 

진양호 공원 앞 버스정류장(20.50km) 16:15 ~16:20

양마산 팔각정자 앞쪽 이정표에 상락원입구와 진양호 전망대 두 갈래로 이정표가 있다. 기맥 길은 진양호 전망대가 있는 우측 길을 따라가야 한다. 잠시 서서히 내려서고 평탄한 능선 길을 따라 진행을 한다. 등산로는 매우 좋다. 우측으로 진양호가 지척으로 보이고, 진양호변으로 가파른 절벽지대 옆으로는 안전 목책이 쳐져 있다. 이렇게 하여 진행을 하면 진양호의 푸른 물결을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작은 돌탑이 세워진 곳에 닿는다. 이곳에서 모처럼 진양호를 배경으로 사진도 담아보고 즐긴다. 이후 굵직한 와이야 로프가 쳐져 있는 길을 따라 오르면 사각으로 된 보도블럭 위로 의자가 놓여 있는 쉼터봉에 닿는다. 이제 이곳 부터는 보도블럭 길을 따라 간다. 우측으로 철조망이 쳐져 있는 길을 따라 내려서면 안부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고, 우측으로는 시설물이 들어서 있으며 앞쪽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길이 나온다. 편백나무 계단 길을 따라 오르면 오늘의 마지막 봉이라 해야 할 전망대에 닿는다. 화장실, 매점, 장애인용 오르는 길 등이 마련된 진양호를 조망 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전망대다. 가장위쪽 3층인가 여기에는 의자도 마련이 되어 있어 진양호를 감상하며 앉아서 쉬었다 가기 좋다. 이곳에서는 남해의 망운산에서 시작하여 하동 금오산을 비롯하여 지리산 천왕봉까지 조망이 된다고 조망도에 그려져 있다. 우리는 이제 갈 길이 바빠서 잠시 사진 몇 장만 남기고 급히 마지막 종점을 향해 내 달린다. 호텔을 지나고 이재호 노래비가 있는 좌측편 동물원쪽 주차장을 바라보며 내려서면 놀이기구가 있는 진주랜드를 지나서 내려서면 주차장이 나온다. 주차장을 지나서 잠시 오르면 우약정이라는 정자가 나오고 이후 산길을 따라 내려서면 진양호의 끝자락인 보트가 놓여 진 곳으로 닿는다. 잠시 호수 변을 따라가면 망향탑이 나오고 위쪽으로 올라가면 우측으로 충혼탑이 있고, 좌측으로 오늘의 마지막 지점인 진양호 공원 커다란 문앞에 닿는다. 여기 버스정류장을 지나 좀 더 내려가려고 하니 버스가 막올라와 진양호 공원 대문앞 버스정류장에서 진양기맥 산행의 마지막을 고한다.

 

8 9일 무척이나 무덥던 여름에 시작하여 3번째 구간까지 하고 영월지맥을 시작하여 이후 영월지맥과 병행으로 산행을 하여 영월지맥 5구간, 진양기맥 이번으로 5구간으로 마무리 한다. 쉽지 않은 산길 가시에 찔리고 넘어지기를 몇 번씩 하며 그래도 크게 다치지 않고 무사히 산행을 마치게 되어 감사하다. 함께 한 적막님 고생 많이 했습니다.

항상 건강하고 오래도록 산행을 함께 이어나 갈수 있길 바라며 진양기맥을 마감합니다.

감사 합니다.

 

산행시간 : 7시간 25분 소요

산행거리 : 20.50km

 

청주 ~조치원 버스비 : 1200

조치원역 ~순천역 열차비 : 17200

순천역 앞 식당 아침 식사비(순대국밥) : 7000원씩

순천역 ~진주역 열차비 : 4200

진주 경상대~신기마을(142)버스비 : 1300

남강댐 ~진주시외버스터미널 버스비 : 1300

진주시외버스터미널 ~대전복합터미널 버스비 : 11400

대전복합터미널 ~청주시외버스터미널 버스비 : 3800

 : 47400

~~~~~~~~~~~~~~~~~~~~~~~~~~~~~~~~~~~~~~~~~~~~~~~~~~~~~~~~~~~~~~~~~~~~~~~~~~~~~~~~~~~~~~~~

 

진양기맥5구간 내율고개~광제산~장아산~양마산~진양호선착장

 

조치원~순천 : 00:14~3:22 17200, 순천 ~진주 : 6:32~7:30 4200

청주~진주 : 9:10,12:30,14:30,17:00,18:50 2시간50 12800

진주역~용산치(오미정류장,용산고개):140(농협중앙지점 이현동방면) 50분소요, 35분 간격 29회 운행

145(농협중앙지점 대평방면) 50분소요 약2시간 간격 10회 운행

청현재아래 축산시험장~신안(원지시외버스터미널) : 6.6km, 청현재~축산시험장 : 1.5km 30

원지 택시:055-972-0752,8800(경호택시),0788(신흥),973-8888

청현재 우측 신기저수지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16km (142번 신기마을승차후 1시간후 농협중앙지점하차 도보로 터미널) *진주역 ~개양오거리 : 100,151,150,200,131, 1.6km 도보 20

신기마을에서 청현재 : 2km, 내율고개~신기(솔기)저수지 : 20 , 신기저수지~신기마을 정류장 : 430m

142번버스 1 14회운행 : 공영차고지-2.8km,10 -개양오거리 좌측 정류장 ~신기마을 정류장 1시간 10

공영차고지~신기마을 : 6:00,6:20,7:55,8:35,10:15,11:20,12:40,13:50,15:50,16:20,17:30,18:45,19:40,20:44

신기마을 ~공영차고지 : 6:45,7:15,8:50,9:35,11:20,12:20,13:45,14:50,16:10,17:10,18:30,19:45,20:30,21:40

공영차고지 ~농협중앙지점 약 25~30분 소요,개양오거리 약5~10, 농협중앙지점~신기마을 ; 1시간 소요

 

진양호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6.5km 120,301,300 반도병원정류장 하차, 420,290번 농협중앙회정류장 하차 30~40분 소요

진주~청주터미널 : 8:10,10:00,13:00,15:00,18:30 3시간 12800

진주 ~천안 : 10:10,14:40,18:50, 2:50 22600

진주~대전복합: 직행 6:00,8:00,13:00,17:00 2:10 11400

우등 7:00,9:00,10:00,1100,12:00,14:00,15:00,16:00,18:00,19:30,21:00 15900

금토일 추가운행 9:30,10:30,12:30,13:30,14:30,15:30 ,일요일 16:30,18:30, 토요일 7:30,8:30

진주역~천안아산역 : 20:10~22:58 41700원 진주역 ~대전역 : 17:45~19:59 34300

진주~마산 : 18:13~18:59, 18:51~19:22(S-train) 마산~동대구: 20:00~21:10 동대구~천안아산:21:35~22:40

 

청현-(0.5)-324.1-(2.55)-광제봉-(0.2)-광제재-(0.4)-봉화대-(2.15)-299.5-(3.2)-용산치,3번국도-(0.4)-196-(2.1)-장아산-(0.8)-219.2-(1.4)-통영-대전간고속도로-(2.1)-172.3-(1.25)-팔각정-(0.6)-우약정-(0.7)-남강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