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

0840 낙남3구간 유수교~실봉산~와룡산~무선산~귀룡산 ~봉대산~양전산~부련이재 2015.04.09~10 목~금요일 맑음

산야0 2023. 1. 16. 09:43

낙남3구간 유수교~실봉산~와룡산~무선산~귀룡산 ~봉대산~양전산~부련이재

실봉산185m, 와룡산94m, 무선산278m, 귀룡산357m, 봉대산409m, 양전산310.3m

 

2015.04.09~10 목~금요일 맑음

참석인원 ; 3명 푸른소나무, 뽀빠이, 산야

 

청주 출발 09일 22:25 -산남동 22:40 -청원톨게이트 22:55 -함양휴게소 00:07 ~00:25 -서진주톨게이트 00:54 -유수교(해발 약58m) 01:07 ~01:20 -마이크(1.45km, 해발 약121m) 01:30 -해발 약166봉(0.802km) 01:37 -171봉(좌꺽임, 1.04km) 01:41 -가파른 내리막, 철선 -과수원 -매실밭으로 오르고 -매실밭위 봉(우측 임도로, 1.40km, 약132m) 01:48 -임도끝(좌꺽임, 1.81km, 약84m) 01:54 -105봉(우꺽임, 1.92km) 01:57 -파헤쳐진 봉에서 우측으로 -능선으로 과수원 -약100봉(과수원꼭대기,좌꺽임, 2.55km) 02:08 -비리재(2.69km, 약60m) 02:11 -약125봉(2.99km) 02:18 -128봉(좌꺽임, 3.16km) 02:21 -과수원길 -상탑마을위 아스팔트 도로(황토찜질방, 안테나, 3.90km, 약83m) 02:30 -아스팔트도로따라 가다 좌측 산길로 -다시 아스팔트도로 -고개바로전에서 우측 산길로 - 179봉(좌꺽임, 우측길로 가다 잠시 알바) -세멘포장 임도 삼거리(가운데 산길로, 5.92km, 약117m) 03:07 -실봉산(6.52km, 185m) 03:18 ~03:21 -공터봉(7.11km, 약180m) 03:28 -30초 후 해돋이 쉼터(좌측으로, 정자,산불감시초소) 03:29 ~03:32 -내려서면 세멘포장 임도 -임도사거리 03:34 -비포장 임도쪽으로 직진 -위에서 우꺽임 -129봉(좌꺽임, 7.86km) 03:41-산소지나고 -약118봉(좌꺽임, 8.77km) 03:52 -임도길 따라서 올라서면 -약108봉(9.07km) 03:57 -능선길(좌측으로 도로보임) -세멘포장 임도 건너서고(9.35km, 약85m) 04:00 -임도에서 좌측 능선길로(9.62km,약84m) 04:04 ~04:09(간식) -세멘트임도길 04:13 -화원삼계탕앞(10.0km, 약43m) 04:15 -길따라나가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굴다리 빠져나 위로 올라 큰도로 건너고 -굴다리 지나 -좌측 세멘포장길로 언덕 넘어 -중부고속도로굴다리 빠져나감(10.9km, 49m) 04:32 -화봉산(11.4km, 약120m) 04:42 -산소지나 내려서고 -임도 -모산재(아스팔트도로, 11.7km, 약72m) 04:47 -가시밭길 -송전탑 -세멘트임도 건너고(12.0km, 약99m) 04:54 -과수원길 따라가면 절개지 나옴 다시 돌아 나와 계속따라 내려오면 신설도로 굴다리(12.4km, 약64m) 05:04 -좌측 임도따라 올라서 고개(우측으로) -세멘트 임도사거리(축사,12.9km, 약80m) 05:15 -와룡산(임도옆 대나무숲 삼각점, 13.2km, 94m) 05:23 -송전탑(13.6km, 약107m) 05:30 -1분후 삼거리(좌측으로, 13.7km, 약96m) 05:31 -세멘트임도 삼거리(가운데 임도로, 13.9km, 약75m) 05:34 -잠시 후 삼거리(우측으로) -과수원꼭대기 농막 05:40 -이후 세멘트 임도길 따라 -세멘트 임도사거리(우측으로 진주역 보임, 14.4km, 약85m) 05:43 -산불감시초소(14.6km, 약123m) 05:48 ~06:05(아침식사) -앞쪽 민가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면 -신설도로공사장 절개지(생태통로 공사중) -절개지로 올라서면 감나무밭 임도 -세멘트 임도 삼거리(좌측) -잠시후 세멘트 임도 삼거리(우측) -세멘트 임도 삼거리(좌측) -외딴집 06:29 -세멘트임도길 따라 새동네(진주시 문산읍 두산리) 마을길에서 우측으로(앞에 보이는 임도따라, 16.1km, 약72m) 06:33 -평평한봉(16.3km, 약112m) 06:38 -넘으면 과수원 -고미동재(아스팔트도로, 16.7km, 약70m) 06:45 -감나무농원 사잇길로 -잠시 산길 -과수원위 임도길 -능선사거리(17.4km, 약116m) 06:58 -약181봉(우꺽임, 18.0km) 07:07 -계리재(아스팔트도로,18.3km, 약109m) 07:12 -나무계단 올라서 -약151봉(18.4km) 07:19 -계리가는 도로(18.6km, 약108m) 07:23 -도로따라 가면 진주축협 생축사업장 07:26 -조금더가 고개 넘어 우측 산으로 -좌측 하산로(19.4km, 약170m) 07:40 -삼각점봉(19.5km, 170.1m)07:43 -안부(우측 임도, 19.7km, 약138m) 07:46 -166봉(우꺽임, 20.3km) 07:56 -181봉(좌꺽임, 20.6km) 08:07 -217봉(21.2km) 08:17 -225봉(우꺽임, 21.5km) 08:23 -내려서고 -송전탑 08:26 -계단 -봉전고개(아스팔트도로, 21.8km, 약153m) 08:28 -159봉(22.3km) 08:41 -무선산(22.6km, 278m) 08:47 ~08:52 -274봉(23.4km) 09:05 -약206봉(24.8km) 09:25 - 우회길 있는 봉 지나 -안부(우측 하산로, 25.2km, 약115m) 09:28 -사거리(25.4km, 약193m) 09:30 -200봉(25.5km) 09:35 -돌장고개(25.9km, 약107m) 09:42 -도로따라 우측 -통영행고속도로 굴다리(26.3km, 약100m) 09:49 -세메트길로 고속도로 옆으로 가면 이정표(26.7km, 약113m) 09:56 -약186봉(27.0km) 10:05 -약191봉(우측으로 채석장, 27.2km) 10:10 -임도고개(27.4km, 약157m) 10:15 ~10:23 -과수원옆으로 올라(좌측으로 녹차농원보임) -약203봉(좌꺽임,우측 임도, 27.6km) 10:29 -약223봉(우꺽임, 27.9km) 10:35 -약245봉(지도에 260봉, 28.2km) 10:42 -임도삼거리(좌측으로, 29.4km, 218m0 11:02 -우측봉 우회 -321봉(이정표, 좌꺽임, 30.5km) 11:24~11:30 -귀룡산(30.8km, 357m) 11:37 -헬기장(좌꺽임, 32.0km, 310m) 11:56~12:15(중식) -약302봉(32.4km) 12:22 -이정표(좌측 하산로, 32.5km, 약292m) 12:24 -약281봉(32.8km) 12:28 -284봉(33.0km) 12:30 -안부사거리(33.3km, 약247m) 12:34 -약268봉(33.4km) 12:36 -355봉(객숙치, 좌꺽임, 34.2km) 12:53 -봉대산(34.9km, 409m) 13:10 ~13:18 -헬기장 -여기부터 알바구간 -산소(35.5km) 13:28 -삼베마을(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쪽 능선(36.2km, 246m)에서 뒤돌아섬 -다시 봉대산 아래 헬기장(이정표가 가시덤불 넘어에 있어 잘 안보임)37.4km, 약405m) 14:13 ~14:16 -본 등산로로 -송전탑1(37.9km, 약360m) 14:28 -안내도(38.0km, 약362m) 14:30 -송전탑2(38.2km, 약345m) 14:32 -실제 양전산(39.1km, 약320m)14:47 -양전산 정상목(39.4km, 약310.3m) 14:57 -부련이재(40.1km, 약190m) 15:11 ~15:30 -유수교 15:54 ~16:05 -서진주톨게이트 16:26 -산청휴게소16:38 ~16:51 -청원톨게이트 18:20 -청주 집 19:18

~~~~~~~~~~~~~~~~~~~~~~~~~~~~~~~~~~~~~~~~~~~~~~~~~~~~~~~~~~~~~~~~~~~~~~~~~~~~~~~~~~~~~~~~~

청주 출발 09일 22:25

오늘은 낙남정맥 2번째 산행으로 3구간을 가는 날이다. 날씨는 내일 까지 좋다고 한다. 오늘 낮에 잠을 자 두어야 하는데 어쩌다가 한숨도 못자고 말았다. 하는 일도 없는 백수가 바쁜 일도 없는대 잠은 잘 시간이 없는 것이 이상하다. 오늘 밤 23시 출발하기로 했는대 뽀빠이님도 잠도 못자고 하니 좀 일찍 가자고 해서 집에서 22시 25분 출발하여 산남동에서 친구를 태우고는 청원톨게이트로 향한다.

 

유수교(해발 약58m) 01:07 ~01:20

청주를 출발하여 청원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고속도로를 타고 달린다. 오늘 뽀빠이님 컨대션이 너무 좋은 것 같다. 운전하는 것이 시원스럽게 한다. 고속도로로 접어들어 1시간 15분 정도를 달려 함양휴게소에서 잠시 휴식을 한다. 우리는 음료수 하나씩을 마시고, 뽀빠이님은 저녁을 시원 찬이 먹었는지 우동 한 그릇을 비우고는 다시 고속도로를 달려 30여분 후 서진주톨게이트를 빠져나가 우리의 목적지로 향하는대 저번에는 좌측으로 급회전을 하여 이리 돌고 저리 돌고 해서 좁은 도로를 따라갔었는대 이번에는 직진으로 진주 시내를 거쳐서 가니 여기도 몇 번을 돌고 돌아서 하동으로 가는 길을 찾아 가니 13분 후 유수교에 닿는다.

 

비리재(2.69km, 약60m) 02:11

유수교에 도착을 하니 01시 07분이다. 잠시 산행준비를 하고는 01시 20분 산행을 시작한다. 저번에 산행을 이곳에서 끝마치며 대충 산행초입을 봐 두었기에 깜깜한 밤이지만 길을 찾는 대는 어려움이 없다. 유수초등학교 폐교 담 옆으로 들어가면 집 한 채가 있다. 집을 지키고 있던 개한마리가 아닌 밤중에 닿아 오는 낮선 이방인을 향하여 마구 짖어댄다. 잠시 후 산으로 들어가는 초입으로 진입을 하면 대나무숲을 지나 오르면 진양호 홍수경보시설(여러대의 마이크장치) 철조망에 여러개의 표지기들이 붙어 있다. 이제 여기부터는 평탄한 능선이 이어져 7분을 더 가면 해발 약166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4분을 더 가면 해발 약171봉이다. 이봉에서 능선은 좌측으로 방향이 틀어져 이어진다. 잠시 후 잡목 숲을 헤치고 나가면 과수원 옆으로 전기철선이 쳐져 있는 가파른 길을 따라 내려서게 된다. 이곳이 길이 매우 좋지를 않다. 이곳을 내려서면 곧 매실밭 사이를 따라서 위로 올라가게 된다. 꽃이 지고 이제 쌀톨 만하게 열매가 맺기 시작하였다. 매실밭위 봉에서 능선 길은 우측 임도로 진행이 된다. 6분을 진행하면 임도 끝에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에는 와룡산 9.41km, 솔티고개 6.93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틀어져서 진행이 된다. 3분을 더가 105봉에서 등산로는 우측으로 방향이 꺽인다. 잠시 후 파헤쳐진 봉에서 등산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잠시 좌측 방향으로 가다가 잘못 된 것을 알고 우측 능선으로 돌아서 가면 능선으로는 과수원이 이어지며 약 100봉 과수원꼭대기에서 능선은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내려서면 3분이 지나서 아스팔트포장도로인 비리재에 닿는다. 진주시 내동면과 사천시 축동면을 잇는 고개로 진주 쪽에서는 유수재라 부르고, 사천 쪽에서는 신촌재라고 부른다고 한다. 여기 이정표에 와룡산 8.62km가 적혀 있다.

 

실봉산(6.52km, 185m) 03:18 ~03:21

비리재에서 오르기 시작하면 7분후 약 125봉에 닿는다. 여기서 3분을 더 가면 128봉으로 여기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이어진다. 감나무 과수원 길을 지나고 나면 아스팔트포장도로가 나온다. 도로를 따라 조금가면 양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는 사거리다. 이곳 좌측편 아래쪽으로 황토찜질방이 있으나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다. 이고개가 상탑마을위 쪽에 있는 유동재라고 한다. 이곳에서 앞쪽으로 이어지는 아스팔트도로를 따라 가면 상탑햇살농원이라는 간판이 보인다. 이곳에서 도로 좌측으로 산길을 따라 가니 깜깜한 밤중임에도 고사리가 많이 돋아나고 있는 것이 보인다. 한낮이었다면 주민들이 지나지 못하도록 하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봉에 닿으면 등산로는 우측으로 살짝 방향이 틀어져서 간다. 잠시 후 우측으로 도로가 보이며 조금을 더 가다가 도로로 내려서서 이제는 도로를 따라 간다. 몇 분을 도로를 따라가다. 고개마루에 닿기 바로 전에서 우측 산길로 접어들어서 가면 우회 길을 지나 곧 능선에 닿는다. 능선 좌측으로는 세멘트포장 임도가 지나는 것이 보인다. 임도로 내려서서 임도를 따라가도 되지만 능선을 따라간다. 몇 분을 갔는지 앞쪽으로 높은 봉이 나오는데 위로 올라가야 하는데 우측 우회 길로 접어 들어가니 179봉을 지나쳐 가고 말았다. 다시 조금 돌아와서 179봉을 옆으로 돌아서 정맥능선에 닿는다. 지나온 179봉은 내봉면, 정촌면, 축동면의 삼면봉이라고 한다. 179봉에서는 능선이 좌측으로 방향이 틀어져서 간다. 세멘포장 임도가 나오면 임도를 따라 조금 가서 임도삼거리에 닿는다. 임도삼거리에서 이정표가 서있는 가운데 산길로 직진으로 가면 10분이 좀 더 지나서 실봉산 정상에 닿는다. 실봉산 정상에는 삼각점이 있고, 스텐판으로 된 정상표지판이 있다.

 

화원삼계탕앞(10.0km, 약43m) 04:15

실봉산에서 내려오면 널찍한 능선 길을 따라 7분후 공터봉에 닿는다. 주변으로는 진주시내와 사천시의 불빛이 시야에 들어온다. 다시 30초 정도를 더 가면 정자가 나온다. 해돋이 쉼터라고 한다. 한쪽에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곳으로 해발은 180m대로 낮지만 이곳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주변을 두루두루 조망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남해바다 넘어 남해의 산줄기까지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임도가 잘되어 있어 이곳까지 차량이 올라 올수도 있다. 이곳에서 정맥 길은 좌측으로 내려서면 된다. 금시 세멘포장임도가 나오고 임도를 따라 조금 가면 임도사거리다. 임도사거리 이정표에 좌측은 산강마을, 우측은 함촌마을, 진행방향 쪽으로 화원마을이 적혀 있다. 정맥 길은 직진방향 비포장임도 쪽으로 간다. 임도위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가면 129봉이 나온다. 이곳에서 다시 좌측으로 방향이 틀어져 가면 산소를 지나고 해발 약118봉에서 다시 한번 좌측으로 방향이 틀어져 가면 곧 임도 길을 따라서 올라서서 약108봉에 닿는다. 능선 길을 따라가며 좌측으로 도로가 보이기 시작하며 세멘포장 임도를 건너서고 임도에서 좌측 능선 길로 올라서는 곳에서 잠시 간식을 먹은 후 출발을 하여 가면 4분후 세멘트 임도길이 나온다. 임도 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면 우측으로 화원삼계탕집이 보인다.

 

모산재(아스팔트도로, 11.7km, 약72m) 04:47

화원삼계탕집이 있는 곳부터는 아스팔트도로를 따라 간다.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길을 따라 나가면 삼거리다.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굴다리 앞 작은 공원에도 벚꽃이 활짝 피어 가로등빛으로 보는 모습이 아름답다. 이제 굴다리를 빠져나가면 길이 양쪽으로 갈린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가던지 곧장 절개지를 올라서면 큰 도로가 나온다. 이 큰 도로가 진주대로 국도로 여기서 횡단보도를 건너 굴다리를 2개를 빠져나가면 송담추어탕집이 보이는 마을길 4거리에서 좌측편 세멘포장길을 따라 올라가면 과수원으로 농가주택이 있는데 개가 사납게 짖어댄다. 농가주택을 지나 언덕으로 내려가면 우측으로 화동마을이 보이고, 좌측으로 중부고속도로 통영쪽 도로의 굴다리가 보인다. 이 굴다리를 빠져나가면 복잡한 남해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 국도가 교차하는 복잡한 교차로를 무사히 빠져가게 된다. 굴다리를 빠져나가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밭을 지나 오르면 화봉산이다. 밤이라 주변으로는 불빛만 요란하게 보일뿐 아직은 주변을 살필 수는 없다. 화봉산은 110m로 표시되어 있는데 트랭글은 120m를 가리키고 있다. 화봉산 정상은 잡목 숲으로 깨끗하지는 않다. 이제 화봉산을 넘어서면 산소가 나온다. 산소 아래로 내려서서 좌측에 보이는 임도를 따라 내려서면 아스팔트도로인 모산재 고개에 닿는다. 진주시 정촌면 정촌마을과 화개리 내동마을을 연결하는 고개로 주변에 자생하는 꽃들이 만발하였던 곳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꽃골이라 부르게 되었고 화봉산, 화개리의 이름도 이에 연유하는 한다고 한다.

 

와룡산(임도옆 대나무숲 삼각점, 13.2km, 94m) 05:23

모산재에서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의금부도사를 지냈다는 김해김씨의 묘가 나오고 가시밭길을 지나 송전탑이 나온다. 세멘트임도를 건너는 곳에 농가 주택이 있고 과수원 길을 따라가면 절개지가 나온다. 깊숙해 보이는 절개지를 내려 갈수 없어 다시 돌아 나와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신설도로공사현장이 나온다. 도로공사중인 굴다리를 빠져나가 좌측으로 세멘트포장 농로를 따라 올라가면 고개마루에서 우측으로 올라선다. 밭 가장자리를 따라 가면 산소에서 막힌다. 산소 둘레를 울타리를 쳐서 넘어가기 힘들게 만들어 놓았다. 간신히 넘어서니 아래쪽에서 올라온 길이 있다. 이곳까지 우회하여 올라온 길이 있는 것이다. 신설도로공사로 인하여 마루금이 싹둑 잘려나가 많은 사람들이 고생을 하는 것이다. 공사가 끝나면 생태통로를 만들어 편하게 다닐수 있도록 하였으면 한다. 이제 능선을 따라 올라서면 낮은 봉을 넘어서 가게 된다. 잠시 후 축사가 나오고 세멘포장 임도가 시작되면 곧 세멘포장 임도 사거리에 닿는다. 농가가 보이는 곳이다. 이곳에서 직진하여 능선으로 오르면 임도우측으로 대나무 숲이 보인다. 이곳쯤이 와룡산일 것인데 지금까지 와룡산까지의 키로정이 있던 이정표의 주된 목적지가 보이지 않아 의구심이 생겨 대나무숲을 뚫고 위로 올라가니 숲속에 삼각점이 있다. 이정표에 있어서 큰 기대를 하고 왔는대 너무 허무하다. 삼각점 그마저도 찾기 어렵게 있다. 누군가 오래전에 붙여 놓은 아스테지 표지판은 글씨도 보이지 않는다. 와룡산 93.8m 삼각점도 숲속에 묻혀 있어 썩어가고 있다.

 

산불감시초소(14.6km, 약123m) 05:48 ~06:05(아침식사)

와룡산 대나무 숲을 빠져나와 임도 길을 따라가면 송전탑이 나온다. 여기서 1분후 대나무숲의 삼거리에 닿는다.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을 한다. 3분을 더 가면 세멘트 임도삼거리가 나온다. 가운데 임도를 따라 가면 잠시 후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과수원 꼭대기의 농막이다. 이후 세멘트 임도 길을 따라 좌측으로 돌아서 가면 위쪽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으로 오르는 임도길이 보인다. 세멘트길 임도 사거리에 닿으면 좌측으로 새로이 지은 진주역사가 내려다보인다. 예전에 개양역이 있던 자리다. 우측으로는 모산재 우측에 있던 죽봉저수지 쪽으로 가는 길이고, 좌측은 진주역이 있는 쪽으로 가는 길이다. 여기서 뻥 뚫린 능선 길을 따라 가면 우측으로 배나무과수원의 하얀꽃이 만발해 있고 이 꼭대기에 산불감시초소가 있다. 감시초소 아래로는 드릅나무가 많이 있지만 아직은 촉이 많이 자라지 않았다. 이제 날이 밝아와 주변으로는 온통 배꽃이 만발을 하여 흰색의 물결로 춤추고 있다. 이제 우리는 여기서 아침식사를 하고 출발을 한다. 아직 새벽 날씨가 쌀쌀하여 잠바를 걸치고 식사를 완료한다.

 

고미동재(아스팔트도로, 16.7km, 약70m) 06:45

산불감시초소아래에서 아침식사를 하고는 바로 앞쪽으로 보이는 민가 쪽으로 밭두렁을 타고 간다. 정맥 길은 여기서 우측으로 90도 꺽어서 내려간다. 조금 내려가면 높다란 절개지로 인하여 더 이상 진행 할 수 없다. 신설도로 공사현장으로 진주시 초곡리와 두산리를 연결하는 도로로 정맥능선이 여기서 또 끊긴다. 신설도로 건너편 능선으로는 하얀 배꽃이 만발하여 보는 즐거움을 주고 있다. 다행히 신설도로에는 생태통로 공사도 만들고 있어 공사가 다 끝나면 편하게 넘어 갈 수 있겠다. 절개지를 넘어가려면 우측으로 이동하여 세멘트로 수로 공사를 하는 곳으로 내려 가는대 가파르고 높아서 한참을 허우적거리며 기어서 내려가야 한다. 도로를 건너고 다시 절개지로 오르는 곳은 산비탈 쪽으로 길을 내서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이곳을 오르면 감나무 밭을 지나 능선의 세멘포장길에 닿는다. 감나무 밭을 내려서면 임도고개에 닿는다. 이고개가 죽봉고개로 우측으로는 죽봉마을회관동네와 죽봉저수지, 좌측으로도 죽봉마을이 있다. 양쪽 동내를 오가는 고갯길로 좌측으로 향하면 몇 발작을 가서 우측으로 들어가는 세멘포장도로가 나온다. 이곳으로 들어가면 좌측편 도로 아래로는 배꽃이 흐드러지게 핀 과수원이고, 위쪽 둑으로는 드릅나무가 막 촉을 내밀고 있다. 이 길을 따라 2~3백 미터를 들어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좌측 길을 따라 가면 세멘트 임도길이 이어진다. 임도 길을 따라가면 지도에 외딴집이라 표시된 지점이 나온다. 지은지 얼마 되지 않은 아름다운 전원주택이 있고 조금 앞쪽으로 “낙남 새말원”이란 장승이 서있는 집을 지나 3분여를 더 가면 지도에 표시된 새동내가 나온다. 새동내는 진주시 문산읍 두산리로 첫 번째로 빨강색 지붕이 눈에 띈다. 마을길에 닿으면 우측으로 방향을 급회전하여 조금 가서 좌측으로 있는 임도 길을 따라 감나무밭 옆으로 오르게 된다. 이곳으로 오르면 해발 약 112봉으로 평평한 봉에 닿는다. 이봉을 넘어서면 다시 감나무 과수원 길을 따라 내려서서 아스팔트포장도로인 고미동재에 닿는다. 고미동재는 문산읍과 정촌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좌측으로 새말마을이 있고, 우측으로 관봉리 고미경로회관이 있다.

 

계리재(아스팔트도로,18.3km, 약109m) 07:12

고미동재에서 도로를 건너면 등산로표시가 되어 있고 고미동재라 쓴 표지판도 보인다. 여기서 앞쪽의 농로를 따라가다가 우측으로 올라 감나무밭 가운데를 가로질러서 올라가면 정상부에서 잠시 산길이 나오고 다시 과수원 임도길이 나온다. 이 따라 가면 능선 길 좌우로는 온통 단감나무 밭이 보인다. 능선 사거리를 넘어서고 다시 10분 정도를 더 가면 해발 약 181봉이 나온다. 어떤이는 이곳을 금바구니(금암산)이라 적어 놓은 분도 있다. 삼각점도 없고 특별한 것이 없는 나지막한 무명봉이다. 이곳에서 내려서면 아스팔트포장도로인 계리재다. 이정표에는 무선산이 4.4km, 지나온 실봉산이 10.9km, 우측으로 관봉초교, 좌측으로 금곡면이 적혀 있다. 계리재는 닭과 살쾡이가 이쪽 저쪽에 있다고 해서 계리재라 하였다는 이야기와 산세가 고양이 처럼 생겼다고 하여 계리재라 부른다고도 한다.

 

봉전고개(아스팔트도로, 21.8km, 약153m) 08:28

계리재에서 도로를 따라가면 편하게 갈수 있으나 정맥 길은 나무계단을 올라서서 가야 한다. 7~8분을 오르면 해발 약 151봉에 닿는다. 이봉을 넘어서면 곧 계리재에서 이어진 도로에 내려서게 된다. 도로 우측으로 문산배수지의 커다란 둥그런 물통 2개가 있다. 이 도로에서 다시 앞쪽의 능선으로 올라서서 조금 앞쪽에 보이는 도로로 다시 내려와야 하는데 여기는 능선으로 가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아 그냥 도로를 따라 간다. 잠시 후 진주 축협 생축사업장 표지판이 있는 곳에 닿으면 앞쪽으로 보이는 능선으로 오르는 곳이 어디에 있나 싶어 잠시 망설여진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있는 도로고개를 넘어서면 우측으로 산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이곳으로 오르면 곧 좌측으로 문산읍으로 흐르는 영천강이 보이고 반듯하게 경지정리가 된 농경지가 시야에 들어온다. 이후 좌측으로 강을 끼고 이어지는 능선 길을 따라가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 170.1봉이다. 이봉에서 3분후 안부로 내려서면 우측으로 임도가 보이고 다시 서서히 오르게 되면 10분후 해발 약166봉이다. 166봉에서 능선은 우측으로 방향이 틀어져서 가고, 잠시 후 좌꺽임봉인 해발 약181봉을 지나서 10분을 더 가면 해발 약 217봉이다. 여기서 다시 오르면 표지기가 많이 붙어 있는 우꺽임 봉인 해발 약225봉을 지나서 내려서게 되면 송전탑을 지나고 계단을 내려서서 아스팔트도로인 봉전고개에 닿는다. 봉전고개는 정촌면과 금곡면을 이어주는 지방도로로 우측 아래쪽에 관봉리 봉전마을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여기 이정표에 무선산 0.9km, 좌측으로 인담마을, 우측으로 봉전마을이 적혀 있다.

 

돌장고개(25.9km, 약107m) 09:42

봉전고개에서 계단을 따라 오르면 대략 15분을 올라 해발 약 159봉에 닿는다. 이곳에서 다시 5~6분을 더 오르면 이정표가 나온다. 지나온 진주 와룡산 9.20km, 무선산 0.10km, 돌장고개 2.89km가 적혀 있다. 이정표에서 우측으로 조금 더 오르면 모처럼 정상표지판이 있는 무선산 정상이다. 삼각점이 있으며 조망은 잡목에 가려 좋지 않다. 무선산에서 이어지는 능선 길은 산행하기 매우 좋은 길이다. 한참을 걷고 나면 해발 약 274봉을 지나고 다시 20여분을 앞 만보고 열심히 걷는다. 잠시 후 우측으로 우회길이 있는 봉을 올라섰다가 내려서면 안부에 닿는다. 우측으로 하산로가 있다. 여기서 다시 2분을 더 가면 능선에 양쪽으로 길이 있는 사거리를 지나고 해발 약200봉을 넘어서 7분 정도를 내려서면 양지바른 곳 산소 앞쪽으로 좁다란 도로가 나오면 이고개가 돌장고개다. 돌장고개 구도로 앞쪽으로는 통영으로 가는 중부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다. 고속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조금 더 가면 연화산 톨게이트가 있으며 연화산 옥천사등이 있는 곳이다. 돌장고개는 사천읍과 금곡면을 잇는 지방도로다.

 

임도고개(27.4km, 약157m) 10:15 ~10:23

돌장고개에서 곧바로 갈수가 없다. 고속도로가 갈 길을 막고 있다. 지나는 차량도 상당히 많이 있다. 여기서 통과 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가면 길이 두 갈래로 갈린다. 우측 길은 금곡저수지 쪽으로 향하고, 좌측 길은 하 방향으로 고속도로 굴다리를 빠져나가는 길이다. 굴다리를 빠져나가 도로를 따라 가면 채석장으로 들어가는 길 좌측으로 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세멘포장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가면 무선산에서 돌장고개로 내려온 지점과 맞닿는 곳에서 우측 산으로 오르는 곳에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에는 부련이재 10.37km가 적혀 있다. 예전 고속도로가 뚫리기 전 이 고개에 돌장승이 있어서 돌장고개라 불렀다고 한다. 여기서 통나무계단을 따라 가파르게 올라서면 10여분 후 해발 약 186봉에 닿는다. 여기서 다시 5분여를 더 가면 해발 약191봉으로 우측으로는 대단히 큰 규모의 채석장이 자리 잡고 있다. 이봉 우측으로는 상당히 높다란 절개지가 있어 내려다보면 현기증이 날정도로 높다랗다. 채석장 위봉에서 5분여를 내려서면 이름 없는 임도고개에 닿는다. 우측 아래로는 작은 저수지가 보이고 전답아래 금곡리 마을이 보이며, 좌측으로는 석계마을로 녹차밭으로 보이는 농장이 있다.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갖은 후 출발을 한다.

 

귀룡산(어정산, 30.8km, 357m) 11:37

임도고개에서 능선 길을 따라 오르면 좌측으로는 감나무 밭이다. 감나무 밭으로 오르면 좌측으로 녹차농원으로 보이는 밭이 가까이 보이고 잠시 후 우측 산길로 접어들어서 올라가면 해발 약 203봉으로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이 꺽이게 된다. 우측으로는 임도가 보인다. 7분후 약223봉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고, 이어지는 능선의 우측으로는 임도길이 능선과 같이 간다. 7분후 해발 약245봉 지도에 260봉으로 표기된 봉을 지나 평상이 설치된 임도 삼거리에 닿는다. 임도 삼거리에서 가운데 능선으로 올라야 하는대 여기서 쉽게 가려고 했는지 좌측 임도를 따라가니 편하긴 하다. 한참을 임도 길을 따르다가 임도에서 우측 능선으로 올라서는대 길옆 손닿는 곳으로는 드릅을 다 따가고 가시밭 속에 있는 놈 따느라 가시 찔리고 엉망이 된다. 드릅을 따고 위쪽의 임도로 다시 올라서 가면 곧 본 정맥길 능선에 닿는다. 능선에 닿아 얼마를 가면 이정표가 있는 곳에 닿는다. 대략 321봉으로 이곳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우측 사천쪽 능선으로도 길이 좋다. 여기 이정표에 부련이재 6.87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잠시 물 한 모금씩을 마시고 출발하면 6분후 트랭글이 울린다. 귀룡산이라고 뜬다. 어정산이라고도 한다. 네이버지도에는 있는대 우리가 가지고 간 지도에는 표시가 되지 않았다. 표지기만 여러개 붙어 있고 귀룡산이란 표시는 없다.

 

봉대산(34.9km, 409m) 13:10 ~13:18

귀룡산에서 20여분을 능선을 따라가면 310봉 헬기장에 닿는다.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점심식사를 한다. 식사가 끝나고 이어지는 능선으로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다. 7분후 해발 약302봉을 지나고 2분을 더 가면 이정표가 나온다. 봉대산 정상 3.0km, 좌측으로 삼베마을 주차장 2.5km가 적혀있다. 삼베마을은 남악서원이 있는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로 현재는 삼베로 옷감을 짜지는 않는다고 한다. 이정표를 지나 조금씩 내려서는 길을 따르면 약281봉, 284봉을 지나 안부사거리에 닿는다. 안부사거리를 지나 2분후 약268봉을 지나고 한동안 평탄한길이 이어지다가 지도에 객숙치로 표시된 355봉으로 오르는 대는 상당히 가파른 길이다. 숨을 몰아쉬며 씩씩 대고 오르면 작은 돌들이 널려 있고 여러기의 표지기가 나부끼는 355봉 객숙치다. 객숙치는 대실(금곡면 죽곡리) 남쪽에서 사천군 정동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옛날에 골이 하도 깊고 멀어서 길손이 고개를 넘으려면 자고 넘었다고 해서 생겨난 말이라고 한다. 이 골짜기를 객숙골이라도 하며 정동면 소골리 상류 계곡에는 객방, 상객방이라는 마을이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한다. 여기서 내려선 후 다시 오르게 되면 가파른 계단을 따라 올라서 봉대산 정상에 닿는다. 봉대산 정상에는 오늘 처음으로 보는 정상석이 설치되어 있다. 정상에는 산복숭아 나무가 보이고 조망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다시 봉대산 아래 헬기장(이정표가 가시덤불 넘어에 있어 잘 안보임)37.4km, 약405m) 14:13 ~14:16

봉대산에서 조금 내려오면 커다란 헬기장이 있는데 멧돼지가 파놓아 엉망이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매여 있는 표지기를 따라 내려서니 길이 좋다. 산소를 지나고 다시 다음 산소를 지나고 나니 평탄한 능선길이 이어진다. 나지막한 봉을 넘어서며 길옆으로 드릅이 상당히 많이 있다. 여기서 대충 드릅을 따고 좀 더 가니 여기도 드릅이 상당수 많다. 드릅을 일단 먹을 만큼 따고 능선을 따라가다 송전탑이 보여야 하는대 안보여서 아무래도 이상한 감이 들어 산경표를 보니 에고 이건 등산로에서 많이도 벗어났다. 헬기장에서 우측으로 보이는 능선으로 가야하는데 드릅 딴다고 정신이 팔려 삼베마을로 향하는 능선으로 내려서고야 말았다. 헬기장에서 1.2km를 벗어난 지점이다. 에고 클랏다 싶어 되돌아서 가니 뒤에서 드릅을 따고 오던 뽀빠이님 푸른소나무님도 엄청 황당해 한다. 오늘 산중 가장 높은 산인데 가면서 옆으로 빠질 대가 있으면 빠지려고 틈을 보며 위로 오르니 산소를 지나고 가파른 길을 지나 기어코는 헬기장까지 올라 오늘 하루에 봉대산을 2번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헬기장에 도착하여 잠시 쉬면서 길을 찾으니 가시덤불속으로 길이 있어 우리 눈에 띄지 않았던 것이다. 어쨌든 좌측 삼베마을 쪽으로 빠지는 길이 더 좋으니 여기서 길 찾는데 조심하여야 할 곳이다. 가시덤불을 빠져나가면 이정표가 있다. 삼베마을 주차장 3.5km, 고성군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니 고성군 방향으로 가면 된다.

 

부련이재(40.1km, 약190m) 15:11 ~15:30

2.4km를 알바를 하고 본 등산로에 닿아서 산행을 시작하면 헬기장에서 급하게 내려서는 길이다. 10여분을 좀 더 내려서면 첫 번째 송전탑이 나온다. 잠시 후 커다란 낙남정맥등산안내도가 있고 2분이 지나서 두 번째 송전탑이 나온다. 이제 여기서 다시 15분을 더 가면 해발 약320m의 실제 양전산 정상이다. 정상 넘어로 산소가 1기 있다. 이제 여기서 다시 10분을 더 가면 오늘의 마지막 봉인 양전산 정상목이 있는 양전산이다. 이제 이곳만 내려가면 오늘의 최종목적지인 부련이재다. 내려가며 사천 정동면에 있는 택시번호로 전화를 하니 사천이라고 한다. 정동면에는 택시가 없다고 한다. 다시 114로 전화를 해서 물어봐도 좀전의 전화번호와 같다. 이러는 사이 부련이재에 도착을 하고 다시 정동면 전화로 전화를 해서 사천택시건 정동택시건 부련이재로 와 달라고 하니 부련이재를 잘 모른다. 어쨌든 택시기사와 연결이 되어 한참을 설명을 한하니 택시기사님이 10분이면 도착을 한다고 한다. 짐을 정리하고 신발끈을 느슨이 풀고는 그늘에서 잠시 쉬고 있자니 택시가 부련이재에 도착을 한다.

 

유수교 15:54 ~16:05

이렇게 하여 우리는 오늘 알바까지 하여 대략 40km의 거리를 걸어서 산행을 마무리 짓고는 부련이재에서 택시를 기다려 10여분 후 도착한 택시를 타고 유수교로 향하니 정동면을 지나고, 사천시를 지나 유수교 까지는 25분이 소요되었으며 택시비가 22000원이 나왔다.

 

오늘 산행 초반에는 어둠속에서 길 찾느라 고생을 했고,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더 힘이 드는 산행이었다. 오늘 긴 산행 함께한 푸른소나무님과 뽀빠이님 고생 많았습니다.

항상 우리들 태우고 먼 거리 왕복으로 운전하고 다니는 뽀빠이님께 항상 고마운 마음뿐입니다. 항상 웃는 모습이 좋은 뽀빠이님 고맙수 ~~~

산행시간 : 13시간 53분 소요

 

산행거리 : 40.1km (정맥구간 37.7km, 알바구간 2.4km)

택시비 : 22000원

오늘의 경비 : 일인당 3만냥씩

~~~~~~~~~~~~~~~~~~~~~~~~~~~~~~~~~~~~~~~~~~~~~~~~~~~~~~~~~~~~~~~~~~~~~~~~~~~~~~~~~~~~~~~~~~~

 

낙남정맥 제3구간 유수교~실봉산~진주분기점~무선산~봉대산~부련이재

청주 -서진주톨게이트 -유슈교 ; 213.12km 2시간 35분 소요

 

유수교 ~돌장고개 ; 18.15km(금곡택시 055-753-1077.1033, 055-754-2580

유수교 ~부련이재(고봉 주유소앞 고봉교차로 삼거리에서 좌회전 -고시남 소류지) : 23.5km

(사천 정동면 택시 : 055-852-3100)

 

산행거리 34.1km 15시간 소요

유수교 - 6.0 - 실봉산(185m) - 3.6 -남해고속도로 - 2.2 -93.8봉- 2.3 -고미동고개 - 2.1 -계리재 -0.7 -170.1봉- 2.3 - 봉전고개 - 0.7 - 무선산(277.5

m) - 3.5 - 돌장고개 - 0.3 - 191봉 - 3.6 - 357봉 - 3.4 -객숙재 - 0.6 - 봉대산(409m) - 1.7 - 양전산(310.9m) - 0.9 -부련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