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38 한남금북5구간 모래재~보광산~오대산~행치재~큰산~보현산~감우리 2015.04.3.금요일 비온후 흐림
한남금북5구간 모래재~보광산~오대산~행치재~큰산~보현산~감우리
보광산539m, 오대산408m, 큰산510m, 보현산487m
2015.04.3.금요일 비온후 흐림
참석인원 : 푸른소나무와 둘이서
청주집 6:00 - 서원초교앞 버스정류장 06:03 ~ 06:10 -증평 우체국앞 버스정류장 07:00 ~07:10 - 소매리,방축리 경유 - 모래재 07:38 ~07:40 -큰도로 등산안내도(0.30km, 약237m) 07:45 -우측 시동마을 하산로 이정표(1.18km, 약397m) 08:04 -1분후 내려서서 임도 삼거리 -정면 임도따라서 -임도옆 이정표(우측 산길로, 1.6km, 약479m) 08:12 -약498봉(좌꺽임, 1.71km) 08:14 -2km 지점 좌꺽임 -우측고리터재 하산로 이정표(2.09km, 약527m) 08:21 -보광산 정상(2.27km, 539m) 08:23 ~08:26 -우측 소암리 하산로 08:49 -삼각점봉(3.72km, 395m) 08:50 -넘어서면 좌측으로 임도 보이고 -임도(3.87km, 약390m) 08:52 -고리터고개(4.21km, 약355m) 08:58 -좌측 백마저수지 하산로 이정표(4.53km, 약345m) 09:03 -약370봉(4.84km0 09:07 -옛임도 사거리(5.15km, 약345m) 09:11 -백마산 삼거리(5.74km, 약365m) 09:20 -묵묘 -돌계단 내려서고 -내동고개(5.95km, 약346m) 09:25 -우측 산소 2기 -우측 벌목지 -쉼터봉(6.43km, 약375m) 09:34 -395봉(6.71km) 09:37 -나무계단 내려서고 09:39 -우측 옛길(6.98km, 약370m) 09:40 -삼각점봉(7.18km, 378m) 09:43 -로프 -벌목지 쉼터(7.48km, 410m) 09:48 -445봉(7.6km) 09:52 -돌계단 내려서고 -우측 하산로(7.65km) 09:54 -보천고개(8.91km, 약245m) 10:12 -마을에서 올라온 임도(9.15km) 10:19 -오대산 삼거리봉(9.46km, 약377m) 10:30 -우측 능선으로 -안부사거리(9.79km, 약350m) 10:35 -오대산 정상(10.1km, 408m) 10:42 ~10:45 -다시 오대산 삼거리봉(10.8km) 10:57 -삼각점봉(10.9km, 378.5m) 10:59 -내리막 계단 -로프,계단 -안부사거리(좌,우로 전답보임, 11.5km, 약260m) 11:08 -고개올라 좌측으로 산소,벌목지 -벌목지 좌측으로 봉넘어 -내리막 안전팬스 -임도(11.9km, 약215m) 11:17 -좁은 아스팔트 삼거리(마송고개, 우측 임도쪽으로, 12.2km, 약205m) 11:22 -세멘트임도길 삼거리(12.3km, 약195m) 11:25 -능선 삼거리(여기까지 임도, 우측으로, 12.7km, 약240m) 11:30 -약271봉(13.0km) 11:35 -임도고개(13.3km, 약229m)11:40 -행치재(13.8km, 약190m) 11:47 -반기문 기념관(14.1km, 약215m) 11:54 ~12:12(중식) -능선이정표(14.2km, 230m) 12:15 -안부 사거리 이정표(14.4km, 229m) 12:18 -계단올라 -쉼터봉(14.8km, 약338m) 12:27 -로프,계단 급경사 올라 -큰산 정상(15.2km, 510m) 12:43 -~12:50 -임도정상(15.5km, 약435m) 13:01 -515봉(우꺽임봉, 16.0km) 13:10 -긴계단 내려서고 -쉼터(16.4km, 약425m) 13:18 -삼실고개(아스팔트도로, 17.7km, 약245m) 13:37 -약305봉(좌꺽임봉, 18.0km) 13:47 -밤나무재(세맨트 임도, 18.2km, 약295m) 13:49 -쉼터봉(18.5km, 약346m) 13:55 -좌측 산소 -삼각점봉(18.8km, 352.7m) 14:02 -내리막 로프 -쉼터(19.1km, 약330m) 14:08 -도로 삼거리(신 돌고개, 19.4km, 약285m) 14:12 -구 돌고개(19.5km, 약281m) 14:15 -좌측 벌목지, 축사 -이정표(20.0km)14:22 -임도(20.0km, 약278m) 14:23 -좌꺽임봉(20.2km, 약299m) 14:28 -임도(20.3km, 약305m) 14:30 -약 317봉(우꺽임, 20.6km) 14:36 -송전탑(20.7km, 312m) 14:38 -우측 하산로(21.4km, 약275m) 14:47 -산소 -구례고개(아스팔트도로, 21.7km, 약280m) 15:53 -만생쉼터(22.2km, 약286m)14:58 -산소 위 임도(22.3km, 약330m) 15:08 -임도따라서 -보현산 약수터(22.7km, 약357m) 15:13 -임도 정상(22.8km, 약370m) 15:18 -급경사 올라 -쉼터봉(보현산 정상, 23.1km, 483m) 15:27 -산불감시초소(실제 정상, 23.6km,약473m) 15:34 ~15:36 -감우리임도(24.1km, 약384m) 15:44 -감우리(큰곰집옆 버스정류장, 24.9km, 약152m) 15:56 ~16:05 -택시 -음성시외버스터미널 16:10 ~16:24 -청주시외버스터미널 17:32 -집 17:53
~~~~~~~~~~~~~~~~~~~~~~~~~~~~~~~~~~~~~~~~~~~~~~~~~~~~~~~~~~~~~~~~~~~~~~~~~~~~~~~~~~~~~~~~~
보광산 539m
보광산은 산세가 빼어나거나 경치가 좋고 기이한 바위가 있는 그런 산은 아니다. 그저 나즈막한 육산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상의 봉학사지에 얽힌 전설이 현실에서의 인간 욕심이 무상하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접근이 용이하고 험하지 않아 가족단위로 등산할 수 있는 좋은 산이다.
원래 이름은 봉학산이었다가, 조선 중기부터 보광산이라고 부른다. 정상에는 봉학사 터가 있다. 사찰 건물은 남아 있지 않으나,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충북유형문화재 29)이 전해진다. 고려 때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일제강점기 때 무너졌던 것을 1967년 복원하였다. 산 아래에는 봉학사의 후신인 보광사가 자리잡고 있다.
보광사는 없어진 봉학사의 후신으로 그 명성을 간직하여 오고 있으며 봉학사지 석조여래상을 대웅전에 주존불로 모시고 있다. 대웅전 처마끝에서 보면 끝없이 펼쳐지는 낮은 산들이 손에 잡힐 듯 친근해 보이고 마음까지도 시원해 지는 곳이다. 대웅전 오른쪽 바위 밑에선 석간수가 샘솟는데 아무리 가물어도 넘쳐 나는 샘물이 맛 또한 그만이다. 흔적도 없이 사라진 절터에 홀로 남은 봉학사지 5층석탑은 고려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지방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다는 안내판이 있다.
ㅇ 큰산(509m)
ㅇ 위치 : 충북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
ㅇ 산행안내
산 이름 역시 좀 특이하다는 느낌을 준다. 해발 509m의 큰산은 원남면 보룡리, 하당리, 덕정리에 걸쳐있는 산으로서 일명 보덕산이라고 하며 보덕사라는
절과 건강을 지키는 전통음식 발효원인 큰산발효원이 있다. 큰산의 서남쪽으로 꽃절이 있으며 바위가 움푹 패여 10여평이 되는데 특이하게 바위아래 불상
이 있으며 꽃절 바위에서 나오는 약수가 유명하다.
큰산의 등산로에는 임도가 잘 정비되어 있어 등산하기가 매우 편리 하며 천연림이 울창하게생육하고 있다. 산 정상에는 페러그라이딩 출발 장소가 조성되
어 있어 인근의 패러글라이딩 동호회원들이 많이 애용하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ㅇ 등산코스
덕정리 → 보덕사 → 정상 → 원남 하당저수지 [3.5km, 2시간]
보현산 483m
음성군 동음리와 소여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한남금북 정맥줄기에 있는 산이다. 눈보라 날리며 검은 비구름이 강원도 차령산맥을 타고 음성을 휘감아 돌
아 그대가 서있는 발 앞에 멈추어 금강에 피어오르는 흰구름이 금강 줄기를 타고 이곳에서 만나 계절풍으로 조화를 이루어 남서쪽은 금강수 동북쪽은 한
강수 수계를 이루어 금강에 최북쪽이고 한강에 최남쪽이라 한남금북 정맥을 이루어 놓아 동서남북 풍수방향 조화를 이루어 음성에는 조수재해가 없다.
이곳 주민들은 정초에 산신제를 모시고 있어 명산으로 받들고 있다. 지도 지적 공부상에는 보현산으로 표기 되어 있다. 일명 萬生山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
다. 옛 문헌에 萬生山 可㓉 萬人之地라하여 수많은 난늘 피하여 목숨을 유지한 사람의 수가 만 명은 된다는 뜻이다. 뒤로 차령산맥이 다시 서쪽으로 이어
져 협곡을 막은 맹동 통동저수지로 이어져 진천 초평저수지로 이어져 있다. 이곳이 속리산- 경기도 칠장산, 강원도 치악산-진천초평 동서남북 사거리 분
기점이다. 아래 감우재 고개 전설에 영남 소장수가 한양소전에 가는길에 고개에 와서 쉬는 참에 소 신발을 만들어 놓은 짚신이 갑자기 소낙비에 떠내려가
서 한 짝은는 우측 소여리 음성 소이 괴산 불정 달래강 목계 여주 벽절앞 바위틈에 멈추어 있고, 한 짝은 좌측 감우리 금왕 생극 장호원 여주 큰 하천에 있
다는 것을 알고 소장수가 기다리고 있다가 벽절에서 기다리고 있는 짝을 만나 소장수가 건져서 하나님이 내려주신 짚신이라 크게 감동하여 소 장터에 소
문을 내어 많은 돈을 받고 팔아 부자가 되었다.는 전설이다. 이고개가 빗방울이 반쪽으로 갈라져서 좌우로 간다하여 이별의 고개로도 전해지고 있다.
~~~~~~~~~~~~~~~~~~~~~~~~~~~~~~~~~~~~~~~~~~~~~~~~~~~~~~~~~~~~~~~~~~~~~~~~~~~~~~~~~~~~~~~~~~~
청주집 6:00
어제부터 내린 비가 어찌 되었나 새벽녘에 일어나 창밖을 보니 땅바닥은 물기가 흠뻑 먹었으나 현재 빗방울은 거의 멈춘 상태다. 하늘엔 구름이 시커멓게 덥고 있으나 오늘 오전부터 개인 다는 일기예보가 있었으니 비는 오지 않을거 같아 친구에게 산에 가도 되겠다고 전화를 하고 산행준비를 한다. 물 준비하고, 세수하고, 밥 먹고, 옷 입고, 배낭 메고 나서는 일 항상 동일한 동선이다. 6시가 조금 못되어 밖을 내다보니 친구가 차를 주차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내도 배낭 메도 밖으로 나가 친구 하고 집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으로 향한다.
모래재 07:38 ~07:40
집 앞 서원초등학교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버스를 기다리니 출발지에서 출발시간이 많이 지났는대도 전광판에 어디 온다는 것이 안 보인다. 오늘 첫 버스를 빼먹는 것 같다고 하며 기다리고 있자니 어디서 나타났는지 우리가 타려는 증평으로 가는 105번 버스가 혜성같이 나타난다. 정확히 몇일 전에 탓 던 그 시간이다. 불행 중 다행이다. 이 버스가 안 오면 다음 차는 증평에서 괴산으로 가는 버스를 탈수 없는 시간이기에 조바심을 하였다. 우리는 이 버스로 증평 우체국 앞에 내리니 7:00시다. 버스정류장의 괴산으로 가는 버스 시간을 보니 7시 10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 의자에 앉아 기다리고 있으니 7시 10분이 조금 못되어서 소매리 방축리 등이 적힌 버스가 도착하여 물끄러미 바라고 있노라니 우측 끝으로 괴산이란 붉은 글씨가 보인다. 아차 싶어 버스에 올라타며 괴산 가는거 맞냐니까 맞다고 하며 어디까지 가느냐고 묻는다. 모래재 까지 간다고 하니 모래재 간다고 한다. 이 버스는 사리에서 소매리 끝 동네를 돌아서 나와 또 다시 사리에서 반대쪽 방축리라고 하는 동네를 다녀서 괴산으로 향한다. 이윽고 버스는 7시 38분 모래재에 우리를 내려준다.
보광산 정상(2.27km, 539m) 08:23 ~08:26
모래재에 도착하여 간단히 준비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구도로에서 우측으로 좁은 농로를 따라 들어가면 수암낚시터가 나온다. 낚시터를 돌아서 가면 큰도로 아래 굴다리가 나온다. 굴다리를 빠져나가면 보광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안내도를 지나 위쪽에 보이는 산소위로 오르기 시작한다. 어제 내린 비가 그치기는 했어도 아직 구름이 낮게 깔려 있어 주변으로 가까운 거리만 분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날씨로 나무에 맺혀 있던 물방울이 연신 뚝뚝 떨어진다. 산행시작 후 20여분이 지나 우측으로 시동마을로 내려가는 하산로가 있는 곳에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에는 시동마을 40분, 모래재 30분, 보광산 20분이 적혀 있다. 해발 약 397m가 나온다. 이곳에서 1분 정도를 내려서면 임도에 닿는다. 이 임도는 시동마을에서부터 시작하여 보광산을 한바퀴 돌아서 고리터재 위쪽을 지나 소암리로 이어지는 임도로 좌측으로 가면 보광사로 가는 것이고 임도 정면으로 능선으로 오르는 좁은 임도를 따라 오르면 이 임도는 걸어서 보광사 까지 가는 임도다. 이 임도를 따라 조금 오르다. 우측 산길로 접어들어서 능선을 따라가면 해발 약 498봉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진행이 된다. 이후 5분을 더 오르면 좌측으로 5층 석탑이 보여야 할것인데 짙은 구름이 깔려 있어 분간을 할 수 없다. 잠시 내려 살펴보아도 어디에 있는지 찾지 못하겠다. 이곳에서 다시 좀 더 올라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평탄하게 이어지다가 고리터재로 내려서는 부근에 이정표가 있다. 고리터재 30분, 모래재 50분, 보광산 5분이 적혀 있다. 여기서 직진으로 2분을 더 가면 '보광산 해발 539m'가 적혀 있는 까망색 대리석 정상석이 있다. 정상에서 진행방향으로 좀 더 가면 전망대가 있으나 오늘 날씨에 조망을 볼 수 없기에 그냥 금시 하산을 한다.
백마산 삼거리(5.74km, 약365m) 09:20
보광산에서 다시 돌아 나와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가면 내리막길로 이어진다. 한동안 서서히 내려서는 길을 따라 가다 잠시 오르면 이정표가 나온다. 좌측으로는 소매리 둔터골 30분, 우측으로는 소암리 30분, 진행방향으로 백마산 40분이 적혀 있다.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잠시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395봉이다. 이봉에서 내려서며 좌측으로 임도가 보이기 시작하여 잠시 후 임도로 내려선다. 이 임도는 시동마을에서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넘어가면 소암리에 닿는다. 임도를 넘어서 등산로는 계속 내리막길로 연결이 된다. 6분을 내려서면 무너져서 이제는 잘 표시도 나지 않는 돌무더기가 있는 안부가 나온다. 예전에는 고리터재라고 표지판이 붙어 있었으나 떨어져 나갔는지 없다. 이곳에서 좌측은 소매리, 우측은 소암리다. 고리터 고개에서 잠시 올라서면 5분 후 좌측으로 백마저수지 1.7km, 백마산 3.1km가 적혀 있는 이정표가 나온다. 몇 해 전 이곳을 지날 적엔 이정표는 전혀 보지 못했는데 작년 2014년 여름부터 산림조합에서 등산로 정지작업을 하며 이정표도 같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4분을 더 올라 해발 약 370봉을 넘어서고 옛 임도가 있던 사거리를 지나서 오르면 백마산으로 가는 길이 갈리는 삼거리에 닿는다. 음성군에서 설치한 한남금북정맥 등산안내도가 있고, 안기 좋게 만들어 놓은 의자가 있다. 여기 이정표에 백운사 1.1km, 보광산 4km, 보천고개 3.4km가 적혀 있다.
보천고개(8.91km, 약245m) 10:12
백마산 삼거리에서 직진방향으로 간다. 묵묘를 지나고 돌계단을 내려서면 보천 주봉마을과 소암리를 넘어 다니던 내동고개가 나온다. 이곳에서 오르기 시작하면 우측으로 양지바른 곳에 산소2기가 있고 좀 더 오르면 우측으로 벌목지가 나온다. 이제 벌목지 능선을 따라 오르면 벌목지 중간쯤에 있는 쉼터가 있는 봉에 닿는다. 좌측으로는 주봉리가 있고, 우측으로는 몽촌리다. 이 능선을 따라 오르면 해발 약 395봉에 오르고,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서면 우측 몽촌리 쪽으로 다니던 옛길이 하나 보인다. 이제 이곳에서 올라서면 삼각점이 있는 378봉이다. 우측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정맥 길은 직진으로 간다. 이곳을 지나 좌측으로 안전팬스로 쳐 놓은 로프지대를 지나면 다시 벌목지가 나온다. 벌목지 높은 곳에 쉼터가 나온다. 날씨만 좋으면 내려다보는 조망이 꽤 좋을 것 같은 지점이다. 여기서 좀 더 오르면 이곳에서는 가장 고도가 높은 해발 약 445봉이다. 이봉을 넘어서면 좌측으로는 주봉저수지, 우측으로는 석현리가 된다. 돌계단을 내려서고 우측으로 하산로가 있는 지점을 지나고 긴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오면 우측으로 그믈망을 쳐놓은 염소를 키웠던 목장으로 보이는 지점을 지나면 우측으로 곧 전답이 보이기 시작하여 좌측으로도 곧 전답이 보이기 시작한다. 나지막히 내려선 능선을 따라 곧 커다란 느티나무가 서있는 보천고개에 닿는다. 보천고개는 보천에서 괴산 사리로 넘어가는 도로다.
오대산 정상(10.1km, 408m) 10:42 ~10:45
보천고개 느티나무에서 기념으로 사진을 찍고 오르면 이정표가 나온다. 지나온 보광산 7km, 오대산 1km, 행치재 4.1km, 좌측으로 서당골, 우측으로 토옥골이 적혀 있다. 이정표의 방향이 약간 틀어져 있으니 참고를 해서 돌계단을 따라 올라야 한다. 돌계단을 따라 능선으로 오르면 곧 작은 밭이 나온다. 우측으로 토옥동 마을이 내려다보이고 좀 더 가면 토옥동 마을에서 올라온 임도와 만난다.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오르면 곧 산소를 지나 잠시 가파르게 오르게 된다. 10여분을 숨차게 오르면 의자 2개가 놓여 있는 쉼터가 나온다. 이곳이 오대산과 정맥 길이 갈리는 삼거리다. 여기다 잠시 배낭을 벗어 놓고 우측으로 오대산을 잠시 다녀오기로 한다. 삼거리에서 처음 내려서는 부분이 가파르고 다시 평탄하게 이어져 낮은 봉을 넘어서면 안부에 예전에 다니던 고개가 나온다. 토옥동과 음성 상노마을을 넘어다니던 고개다. 이제 이곳에서 앞쪽에 보이는 조금 높아 보이는 봉으로 오르면 오대산으로 이곳에 올라서니 생각보다 봉이 널찍하고 조망도 매우 좋다. 음성시가지와 앞쪽의 수정산이 마주하고 있다. 음성역에서 가막산을 거쳐 이곳까지 산행 길을 잡아도 좋을 것 같다. 다음 겨울이 돌아오면 소수에서 갑산~국사산~가막산~오대산~설봉산으로 이어지는 산행을 한번 잡아 봐야 겠다. 오대산에는 널찍한 평상이 있고, 정상석도 있으나 정상석에 적혀 있는 해발은 조금 틀린 것으로 보인다.
좁은 아스팔트 삼거리(마송고개, 우측 임도쪽으로, 12.2km, 약205m) 11:22
오대산에서 다시 돌아 나온다. 나오며 안부고개를 지나고 봉에 오른 후 좌측 사면길을 따라 나오다가 능선으로 붙어서 가파르게 올라서면 다시 원점인 오대산 삼거리봉이다. 이봉에서 배낭을 다시 메고 산행을 시작하면 2분이면 삼각점봉에 닿는다. 378.5m가 적힌 흰색표지판도 붙어 있다. 삼각점봉에서 내리막 계단을 따라 내려서면 다시한번 로프가 매여져 있는 계단을 내려와 안부 사거리에 닿는다. 안부고개의 좌측 주봉리와 우측 상노리의 전답이 보인다. 안부고개에서 올라서면 좌측 능선 옆으로 산소가 있고 좌측으로 보이는 벌목지의 능선을 따라 오르면 능선이 양쪽으로 갈리는 곳에서 좌측으로 조금 가면 안전팬스로 쳐 놓은 로프 지대를 내려서며 충북선 철도가 지나는 터널 위를 지나 우측으로 얼마 전 조성한 음성공단이 내려다보이는 지점을 지나서 곧 임도로 내려선다. 상노리와 마송리를 넘어 다니는 고개다. 이곳 이정표에 보천고개 1.9km, 행치재 2.2km, 두밭매 0.5km가 적혀 있다. 고개 우측 편으로 오르면 능선으로 길이 연결된다. 능선을 따라 5분을 진행하면 아스팔트도로가 나온다.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조금 이동하면 고갯마루에서 앞쪽으로 가는 세멘포장 임도길이 있는 삼거리다. 이고개가 마송고개로 상노리에서 마송으로 넘어 다니는 고개다. 여기도 이정표가 있다. 행치재 1.9km, 서당골마을 1.0km가 적혀 있다.
반기문 기념관(14.1km, 약215m) 11:54 ~12:12(중식)
여기서 앞쪽에 보이는 산소가 있는 능선으로 오르면 곧 다음 세멘포장 임도에 내려선다. 마송고개에서 앞쪽으로 이어지던 임도가 이곳으로 연결이 되었다. 능선으로 오나 임도로 오나 별 차이가 없는 길이다. 세멘포장 삼거리 임도에서 앞쪽으로 이어지는 좁은 임도를 따라 오르면 우측으로는 산소지대다. 길을 낸지 얼마 되지 않은 임도 길을 따라 능선에 닿으면 임도는 끝이 나고 정맥 길은 우측으로 꺽어져서 간다. 5분을 가면 해발 약 271봉에 닿고, 여기서 내려서면 좌측으로 산소와 전답이 있는 골짜기가 있는 임도에 닿는다. 임도에서 올라서서 능선을 따라가면 잠시 나지막한 봉을 넘어 반기문 생가가 있는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임도에 닿는다. 임도를 따라 내려서면 구 길을 지나 우측으로 새로 난 큰길로 좌측으로 행치재고개가 있고, 우측으로 돌공장 아래로 굴다리가 있다. 이굴다리를 빠져나가 올라가면 반기문 생가가 있는 마을로 생가와 반기문 기념관이 있다. 우리는 기념관 좌측에 있는 쉼터에서 점심식사를 한 후 출발을 한다.
큰산 정상(15.2km, 510m) 12:43 -~12:50
반기문 기념관 쉼터에서 식시를 하고 곧 계단을 따라 오르면 능선에 닿는다. 능선을 따라 조금 가면 이정표가 나온다. 큰산(보덕산) 0.73km, 조금 전 우리가 올라온 반기문피크닉장 0.41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능선을 따라 우측으로 가면 3분후 이정표가 있는 안부에 닿는다. 좌측으로는 검도연수원, 우측은 반기문 평화랜드가 적혀 있다. 여기부터 오르기 시작하면 7~8분후 나무계단을 올라 쉼터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조금 내려서면 우측에서 올라온 철계단과 만난다. 이곳을 지나며 부터 등산로는 가파르게 오르게 된다. 로프지대를 지그재그로 오르면 로프가 매여져 있는 급경사 계단을 올라 몇 분간을 더 오르면 위쪽으로 팔각정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후 4~5분을 더 오르면 큰산 정상 바로 아래에 있는 이정표가 있는 곳에 닿는다. 우측 하당저수지 쪽에서 올라온 길과 만나는 곳이다. 여기서 정상은 1분이면 닿는다. 팔각정 아래 큰산(보덕산) 정상석이 있으며 송신탑 옆으로 대삼각점이 자리 잡고 있다. 안내문에는 해발 510m라 적혀 있다. 큰산 정상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팔각정 정상석 안내도가 있으며 이정표에 행치재 1.4km, 보현산 9.5km가 적혀 있다.
삼실고개(아스팔트도로, 17.7km, 약245m) 13:37
큰산 정상에서 핸드폰 배터리를 바꾸고 나서 트랭글이 안 된다. 이리 만져도 안 되고 저리 만져도 안 돼서 시간이 많이 흘렀다. 임도로 내려가며 만지작거리니 간신히 작동이 된다. 그러는 사이 임도정상에 닿는다. 이 임도는 하당저수지 쪽과 반대쪽 덕정리 화암사 부근으로 연결이 되는 임도로 한쪽으로는 큰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임도로 여기 안내도에는 하늘길이라 적혀 있다. 임도정상에서 앞쪽 능선으로 올라서 가면 10여분 후 로프지대가 나온다. 이곳으로 올라서면 해발 약515봉으로 이곳에서 등산로는 우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급경사 계단으로 내려서야한다. 이곳에서 예전에 직진방향으로 한참으로 가다가 다시 돌아온 적이 있다. 지금은 이정표가 있으나 그때는 이정표가 없을 때다. 여기 이정표에 직진방향으로 짚신고개 2.0km가 적혀 있으며 사향산을 거쳐서 원남저수지나 맹동으로 빠질 수 있다. 우측방향으로는 보현산 8.6km가 적혀 있다. 이제 우측으로 급경사 계단을 따라 내려간다. 계단이 상당히 길게 설치되어 있다. 계단을 다 내려서면 등산로는 다시 평탄하게 서서히 내려서게 된다. 이후 몇 군대의 쉼터를 지나고 벌목지를 지나 하당저수지가 내려다보이는 고개를 지나서 10여분을 더 내려서면 좌측으로 초전리 마을이 보이고 우측으로는 하당저수지 쪽으로 연결이 되는 아스팔트포장 도로인 삼실고개에 닿는다.
구 돌고개(19.5km, 약281m) 14:15
삼실고개에서 정면으로 나있는 세멘포장 임도길을 따라 올라가는 길 양쪽으로는 사과나무 과수원으로 이곳으로 오르면 커다란 물통 2개가 있는 배수지에 닿는다. 배수지에서 곧장 산소 옆으로 오르면 잣나무가 있는 봉을 지나 해발 약 305봉에 닿는다. 여기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조금 내려서면 밤나무재 세멘트 임도길에 닿는다. 임도에서 올라서는 첫머리에도 계단이 설치 되어 있으며 예전에 가시밭길이던 오름길도 어느 정도 정리를 하여 아직은 다니기 괜 찬다. 6분여 오르면 쉼터가 있는 해발 346봉이다. 이봉에서 조금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352.7봉이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다보면 음성 읍내가 곧바로 보이는 지점이다. 이곳을 지나 내리막길에 로프가 있고 쉼터가 있는 곳을 지나 좌측으로 방향이 살짝 꺽어져서 가면 다시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산소가 있는 지점의 도로에 닿는다. 도로변 이정표엔 큰산 4.6km, 보현산 4.9km, 하당저수지 2.0k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조금 이동하면 아스팔트도로 삼거리가 나오고 정면으로 있는 구도로를 따라 조금 가면 돌고개 표지석이 나온다. 이곳 돌고개는 좀 전에 삼거리로 길을 다시 내며 음성방면으로는 다니지 안 는다. 이곳 이정표에 큰산 4.8km, 보현산 4.7km, 음성읍내 3.0km, 좌측으로 초전리가 적혀 있으며, 앞쪽으로 현수막에 2014.4.9 ~6.7일 까지 한남금북정맥 길을 정비했다고 적혀 있다. 이래서 예전에 없던 이정표가 곳곳에 잘 설치되어 있고, 의자를 군데군데 설치하여 쉼터를 만들어 놓았으며 등산로도 가시밭길이 많이 정비가 된 것이다. 이래서 이번산행은 저번에 할 때 보다 한결 수월하니 좋다.
구례고개(아스팔트도로, 21.7km, 약280m) 15:53
구 돌고개에서 언덕을 올라서서 가면 곧 좌측으로는 벌목지가 보이고, 축사가 있다. 좀 더 가면 우측으로 잘 가꾸어 놓은 향나무 농원이 있고 곧 보현산 4.2km가 적혀 있는 이정표가 나온다. 이정표에서 조금 내려서면 임도가 나온다. 이곳으로 내려서는대 어디서 나타낫는지 흰둥이 2놈이 우리를 따라 내려온다. 잠시 후 우리는 한남금북마을이야기 초전리에 대한 글이 적혀 있는 임도고개에 닿는다. 이 고개에서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5분을 올라서 이정표가 나온다. 보현산 3.9km, 백양마을 1.5km가 적혀 있는 곳으로 이곳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내려가면 2분후 나무게단을 내려서서 두 번째 임도에 닿는다. 여기 임도에서도 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6분을 올라 해발 약 317봉으로 여기서 등산로는 우측으로 방향이 꺽어져서 내려서면 곧 송전탑을 지난다. 이후 등산로는 거의 평탄하게 이어지다가 10여분 후 우측으로 하산로가 있는 곳을 지나 조금 오르면 좌측으로 산소가 보이는 봉으로 올라서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내려가면 차량이 넘어 다니는 아스팔트도로인 구례고개에 닿는다. 감우재 쪽에서 초전리 구례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다.
산불감시초소(실제 정상, 23.6km,약473m) 15:34 ~15:36
구례고개에서 좌측 편으로 넘어가면 길옆으로 보현산 약수터 표지석이 보인다. 정맥 길은 표지석 방향으로 들어가는 세멘트 임도길 우측 능선으로 올라서 가면 된다. 임도를 따라가도 곧 만생쉼터에서 만나게 된다. 만생쉼터에서 잠시 목을 축인 후 산행을 이어간다. 임도를 따라 조금 가다가 이정표가 보이는 곳으로 들어가 제1정상이라고 적혀 있는 곳으로 오르면 상당히 가파르게 오르게 된다. 커다란 산소 옆으로 올라서면 임도 길에 닿는다. 여기서 우리는 임도를 따라 가기로 한다. 임도고개 바로 아래에 있는 보현산 약수터에 들러보기 위해서다. 몇 분을 걸어 올라가니 임도 우측 아래로 보현산 약수터가 있다. 잠시 내려가 물 맛을 보려 했으나 물이 지저분해서 배낭에 물을 꺼내서 마시고는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몇분 후 임도 정상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 보현산 정상 1.0km, 큰산 8.5km, 코카스CC 1.5km가 적혀 있다. 임도 정상에서 내려다보면 벌목을 시원하게 해놓아 산 아래 동음리의 골프장 음식점등이 내려다보인다. 이제 이곳에서 우측 능선으로 오르면 만생모궁수에 대한 이야기가 적혀 있는 곳을 지나 능선으로 가파르게 오르면 의자를 만들어 놓은 쉼터봉이 나온다. 이봉이 실제로는 보현산의 정상이나 대부분이 이곳에서 좀 더 가서 있는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을 보현산 정상으로 삼고 있다. 조망이 좋고 부용지맥의 분기봉이다. 아쉽게도 정상석이나 표기가 될 만한 한 것이 없다.
감우리(큰곰집옆 버스정류장, 24.9km, 약152m) 15:56 ~16:05
보현산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에서 내려서면 좌측으로 자작나무 조림지를 지나 곧 감우리 임도 정상에 닿는다. 우리의 정맥은 오늘 이곳까지다. 이제 이곳에서 우측으로 임도를 따라 내려서면 임도는 지그재그로 감우리로 내려간다. 거리가 800m가 나온다. 감우리 도로에 닿기 전 능선 좌측으로 몇 채의 전원주택이 있으며 도로에 닿으면 버스정류장이 있다. 우측으로 큰곰집이라고 하는 식당이 있다.
우리는 이곳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음성으로 가는 택시를 타고 5분후 음성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을 하여 청주로 오는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 왔다.
오늘 산행은 비교적 수월한 편이 었던 것 같다.
등산로도 작년에 정비를 하여 대체적으로 좋았고 이정표와 쉼터도 잘 설치되어 있었다.
오늘도 함께 한 푸른소나무님 수고 많았습니다.
산행시간 : 8시간 16분 소요
산행거리 : 24.9km
~~~~~~~~~~~~~~~~~~~~~~~~~~~~~~~~~~~~~~~~~~~~~~~~~~~~~~~~~~~~~~~~~~~~~~~~~~~~~~~~~~~~~~~~~~
한남금북정맥 제5구간(모래재~큰산~보현산지나 감우리임도)
증평역~괴산 : 7:05, 8:10 청주역 6:46 -증평역 7:06
시내버스 : 석판 5:55 -서원초교 -형석학원 7:20 석판 6:03 -서원초교 -7:31
증평버스터미널 ~모래재 : 10.22km
감우리 큰곰집 - 음성버스터미널 ; 5.61km
음성택시 : 043-873-8001, 872-1611, 872-2981
음성 ~청주 ; 막차 22:00까지 있음
구간거리 21.3km +접속구간
모래재 -1.6 -보광산 -1.8 -고리티고개 -1.8 -내동고개 -2.7 -보천고개 -1.8 -가정자 -1.7 -행치고개 -1 -큰산 -2.2 -삼실고개 -1.8 -돌고개 -3.9 -보현산 -1 -감우리고개(승주)
산행코스
모래재 -보광산 -395.4봉 -고리터고개 -백마산 갈림길 -377.9봉 -보천고개 -378봉-오대산왕복 -263봉 -행치재 -큰산-삼실고개 -삼실고개 -348봉 -351봉 -돌고개 -287봉(철탑) -뱀거리재 -정자 -보현산 -임도(감우리고개)
산행거리 10시간 예상
모래재1.9km, 40분 -보광산 -1.85km, 40분 -고리터고개 -1.35km,30분 -백마산갈림길 -2.95km, 70분 -보천고개 -1.9km, 50분 -바랑골 -1.5km, 30분 -행치재 -1.5km, 40분 - 큰산 -2.4km, 70분 -삼실고개삼실고개 -1.7km, 40분 -돌고개 -2.3km, 50분 -뱀거리재 -1.55km, 40분 -보현산 -2.0km, 50분 -애기봉삼거리(397m)